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통신학회논문지. The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네트워크 및 서비스, v.34 no.12B, 2009년, pp.1329 - 1335
최원석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조성래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부)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referred to as DCTW (Dual Channel Transmission Scheme for wireless body area networks). Wireless body area networks (WBANs) requires prioritization mechanism for life-critical data to transmit the data as early as possible. The proposed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무선 인체 통신 네트워크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은 무엇인가? | 프레임의 신속한 전송은 무선 인체 통신 네트워크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무선 인체 통신 네트워크의 응용 분야 중, 의학적 응용의 경우에는 환자의 응급 상태나, 급박한 상태 변화를 신속하게 알려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긴급성에 따라 프레임을 신속하게 전송해 주어야 한다. | |
응급 데이터 발생 시 비응급 데이터의 길이가 상당히 긴 경우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따라서 DCTW에서는 하나의 채널을 비대칭적인 대역폭을 갖는 두 개의 채널로 나누고, 좁은 대역폭(Narrow Band)의 채널은 응급 데이터를 전송하기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비 응급 데이터는 넓은 대역폭 (Broad Band)의 채널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가 효과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
WBAN이란 무엇인가? | 최근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여 무선 인체 통신 네트워크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WBAN은 인체 내부 혹은 외부에서 인체로부터 반경 3미터 이내의 무선 통신 기술로 정의된다. 최근 미국의 Alabama 대학교와 메이요 클리닉, SmartWorld 등 연구기관에서 인체의 활동 상태와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여 테스트 베드를 통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하버드 대학교에서는 CodeBlue 프로젝트로 Mica2 보드 상에 작동하는 ECG 센서를 가지고 실험을 진행 중에 있다. |
IEEE 802.15 WPAN WG homepage, 'http//www.ieee.org/15'
Use cases, Applications, and Requirements for BANs, IEEE 802.15-07-0546-00ban
SG BAN closing report for San Francisco July 2007, IEEE 802.15-07-0806-01-0ban
BAN project Authorization Request (PAR) draft, IEEE P802.15-07-0575-06
BAN application matrix, IEEE 802.15-07-0735-00-0ban
'Medical BAN 표준화 동향 및 주요 Issue,' 주간 기술동향 통권 1310호, 2007. 08. 22
C. C. Y. Poon, Y-T Zhang, S-D Bao, 'A novel biometrics method to secure wireless body area sensor networks for telemedicine and m-health,'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44, pp. 73-81, April 2006
T. Gao et al, 'Vital Signs Monitoring and Patient Tracking Over a Wireless Network,' in Proc. of IEEE-EMBS 27th Annual Int. Conference of the Eng. in Medicine and Biology, Sept. 2005, Page(s):102-105
U.Anliker, 'AMON: a werable multiparameter medical monitoring and alert system,' IEEE Trans. Information Tech. In Biomedicine, vol. 8., Dec 2004
Chris A. Otto, Emil Jovanov, and Aleksandar Milenkovic, 'A WBAN-based System for Health Monitoring at Home,' Journal of Mobile Multimedia, Jan 2006
C. Lu, B. M. Blum, T. F. Abdelzaher, J. A. Stankovic, and T. He, 'RAP: A Real-Time Communication Architecture for Large-Scale Wireless Sensor Networks,' In IEEE RTAS. 2002
Victor Shnayder, Bor-rong Chen, Konrad Lorincz, Thaddeus R. F. Fulford-Jones, and Matt Welsh., 'Sensor Networks for Medical Care', Harvard University Technical Report TR-08-05, April 2005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