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심술을 통한 심박동기 와이어의 제거: 관상동맥 치환술을 받은 환자에서 심박동기 삽입 후 발생한 국소 감염의 치료 - 1예 보고 -
Pacing Wire Removal Via a Right Atriotomy: A Patient with Infected Permanent Pacemaker and Who Previously Underwent CABG - A case report - 원문보기

大韓胸部外科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42 no.2 = no.289, 2009년, pp.256 - 258  

김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송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유양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정성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7년 전에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술 받은 63세 환자가 인공 심박동기 삽입 후 발생한 국소 감염으로 입원하였다. 피부 절개 후 심박동기를 견인하여 제거하려 하였으나 와이어가 뽑히지 않았고, 와이어는 절단하여 체내에 남겨둔 채로 치료를 종료하였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국소 감염이 재발하였고, 이에 우측 개흉술로 접근하여 인공 심폐 순환 후, 순환 정지 하에 우심방을 열고 와이어를 제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63-year-old man who had a permanent pacemaker placed 17 years ago presented to us with local inflammatory signs on his chest. The skin was opened to remove the permanent pacemaker. However, the pacing wire was not easily removed. So, the permanent pacemaker was removed from the chest with leav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환자는 관상동맥협착증으로 1991년 2월 7일 관상동맥 우회로술(대복재정맥-좌전하행지, 대복재정맥-후하행지, 대복재정맥-둔각지)을 시술 받았던 병력이 있었다. 1992년 2월 14일 동 결절 기능 부전으로 DDDR 모드의 심박동기를 삽입받았고(좌쇄골하 정맥을 통해 우심방 부속지와 우심실 첨부에 와이어를 고정함.) 1998년 5월 15일, 2006년 10월 19일 두 차례에 걸쳐 배터리 고갈로 generator를 교환 하였다. 이 후로 심박동기 삽입 부위가 부어 오르기 시작하였고, 염증 소견이 지속되어 2007년 5 월 16일 심박동기 제거를 시도하였으나 와이어는 안에서 단단히 고정되 어있어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남겨두었다.
  • 그러나 퇴원 후 수술 부위가 다시 부어 오르기 시작하고 통증이 점점 심해졌으며, 2007년 5월 22일 피와 고름이 섞인 양상의 분비물이 수술 부위 밖으로 터져 나와 다시 입원하였다. 1세대 cephalosporin (sefazolin) 을 10일간 정맥 주사 후, 2007년 5 월 31일 괴사부위 절제 및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그 후 3 세대 cephalosporin (ceftriaxone)으로 7일간 치료 받은 후 퇴원하였다.
  • 2008년 1월 28일 와이어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하였다. 이전 관상동맥 우회술로 인한 유착 가능성 때문에 정중 흉골 절개술 대신 우측 개흉술을 시행하였고, 우측 대퇴 동맥, 정맥 및, 우측 내경정맥에 캐뉼라를 삽관하여 인공 심폐 순환을 시행하였다.
  • 총 인공 심폐 순환 시간은 128분, 순환정지 시간은 10분 이었다. 그 후, 좌측 흉부의 누공 부위를 절개 후 재봉합 하였다. 와이어는 3부위로 나누어 배양검사를 시행하였고, 검사결과 3부위 모두에서 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동정되었다.
  • 반복적인 감염증의 원인이 되는 와이어의 제거를 계획하였고, 피부 절개를 시행한 후 좌측 쇄골하 정맥에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를 조심스럽게 잡아당겨 보았다. 그러나 쉽게 빠지지 않아 수술적 제거를 계획하였다(Fig. 1).
  • 퇴원 후, 2008년 1월 23일 다시 수술 부위의 화농성 삼출을 주소로 외래 통하여 입원하였다. 반복적인 감염증의 원인이 되는 와이어의 제거를 계획하였고, 피부 절개를 시행한 후 좌측 쇄골하 정맥에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를 조심스럽게 잡아당겨 보았다. 그러나 쉽게 빠지지 않아 수술적 제거를 계획하였다(Fig.
  • 4~ 17% 까지 보고 된 바 있으므로 수술적 치료를 결정할 때는 매우 신중하여야 할 것이다[1, 2]. 본 증례에서 저자들은 환자가 이전에 관상동맥 우회로술을 받아 종격동 내 유착이 심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내흉동맥 및 우회로술 이식 판들의 손상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우측 개흉술에 의한 순환정지법을 수술 기법으로 사용하였다.
  • 그 후, 좌측 흉부의 누공 부위를 절개 후 재봉합 하였다. 와이어는 3부위로 나누어 배양검사를 시행하였고, 검사결과 3부위 모두에서 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동정되었다. 술 후 7일간 1세대 cephalosporin (cefazolin)을 정맥 주사 하였고, 술 후 8일째 폐 우하엽의 부분적인 무기폐 소견을 동반한 소량의 흉수 외에 다른 합병증 없이 10일간의 1세대 cephalosporin (cephradine) 경구 항생제를 처방하여 퇴원하였다(Fig.
  • 이전 관상동맥 우회술로 인한 유착 가능성 때문에 정중 흉골 절개술 대신 우측 개흉술을 시행하였고, 우측 대퇴 동맥, 정맥 및, 우측 내경정맥에 캐뉼라를 삽관하여 인공 심폐 순환을 시행하였다. 체온을 섭씨 16도까지 낮추고 순환 정지 하에 우심방을 절개하자 와이어가 바로 보였고, 조심스럽게 잡아당겨 뽑아내었다.
  • 이 후로 심박동기 삽입 부위가 부어 오르기 시작하였고, 염증 소견이 지속되어 2007년 5 월 16일 심박동기 제거를 시도하였으나 와이어는 안에서 단단히 고정되 어있어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남겨두었다. 제거해 낸 심박동기와 농 및, 혈액에서 미생물 배양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혈액과 심박동기의 배양 검사에서는 균이 자라지 않았으나, 농 배양 검사상 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동정 되었다.

대상 데이터

  • 63세 남자가 영구 심박동기 삽입 부위의 염증 소견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관상동맥협착증으로 1991년 2월 7일 관상동맥 우회로술(대복재정맥-좌전하행지, 대복재정맥-후하행지, 대복재정맥-둔각지)을 시술 받았던 병력이 있었다.
  • 수술 시 상처 부위의 농으로 시행한 미생물 배양 검사에서 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다시 동정 되었으나 혈액 미생물 배양 검사에서는 균이 동정되지 않았다. 퇴원 후, 2008년 1월 23일 다시 수술 부위의 화농성 삼출을 주소로 외래 통하여 입원하였다. 반복적인 감염증의 원인이 되는 와이어의 제거를 계획하였고, 피부 절개를 시행한 후 좌측 쇄골하 정맥에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를 조심스럽게 잡아당겨 보았다.
  • 내원하였다. 환자는 관상동맥협착증으로 1991년 2월 7일 관상동맥 우회로술(대복재정맥-좌전하행지, 대복재정맥-후하행지, 대복재정맥-둔각지)을 시술 받았던 병력이 있었다. 1992년 2월 14일 동 결절 기능 부전으로 DDDR 모드의 심박동기를 삽입받았고(좌쇄골하 정맥을 통해 우심방 부속지와 우심실 첨부에 와이어를 고정함.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Sohail MR, Uslan DZ, Khan AH, et al. Management and outcome of permanent pacemaker an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infections. J Am Coll Cardiol 2007;49:1851-9 

  2. Bracke F, Meijer A, van Gelder LM. Lead extraction for device related infections: a single-centre experience. Europace 2004;6:243-7 

  3. Bracke F, Meijer, A, van Gelder B. Extraction of pacemaker an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leads: patient and lead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requirement of extraction tools. Pacing Clin Electrophysiol 2002;25:1037-40 

  4. del Rio A, Anguera I, Miro JM, et al. Surgical treatment of pacemaker and defibrillator lead endocarditis. Chest 2003; 124:1451-9 

  5. Cho EH, Choi PJ, Ham SY, Sung SC, Woo JS. Removal of infected transvenous pacemaker electrode ?2 cases-.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1995;28:404-8 

  6. Park CH, Woo JS, Cho KH. Subpectoral relocation method for treating the exposed well functioning cardiac pacemaker (report of one case).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1987; 20:19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