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년기 고혈압 관리 대상자의 체질량지수, 허리둘레에 의한 비만정도와 영양소 섭취 상태 비교 연구
Association of Nutritional Status with Obesity by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among Hypertensive Elderly Patie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4 no.6, 2009년, pp.831 - 845  

서경희 (대구광역시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등록관리 시범사업단 수성구교육정보센터) ,  이혜진 (질병관리본부 만성병조사과) ,  임부돌 (질병관리본부 만성병조사과) ,  최윤정 (대구광역시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등록관리 시범사업단 광역교육정보센터) ,  오현미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진숙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pertension and obesity are important modifiable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Korea. Therefore, we assessed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 and obesity in hypertensive patients to formulate health promotion strategies for the older population. Die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식이요인과 혈압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특정 식품이나 영양소에 국한하여 수행되어 왔으므로 각 영양소의 섭취수준, 식습관, 식품섭취 패턴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 중에서 의사로 부터 고혈압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비만 여부에 따른 식품섭취패턴 및 영양소 섭취량 등을 비교하여 비만한 고혈압환자의 식생활 위험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심뇌혈관질환의 고위험군 해당자를 위한 영양 중재 사업에 필요한 기본교육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심뇌혈관질환예방을 위한 국가사업 (KHyDDI project)에 참여하는 1, 2차 의료기관 의사로부터 고혈압 진단을 받은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고혈압당뇨병교육정보센터에서 영양교육과 상담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고혈압환자의 식생활관련 건강 위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들은 이미 약물처방을 받은 상태이고 평균연령은 남자는 73.
  • 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 노년기 고혈압관리 대상자 103명의 체질량지수, 허리둘레에 의한 비만정도와 영양소 섭취 상태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혈압 상승의 주요 인자로 널리 알려져 있는 나트륨은 본 연구에서 대상자 중 2명을 제외한 모든 사람이 우리나라 나트륨 목표섭취량이면서 WHO의 권장량인 2,000 mg을 초과하여 섭취하고 있어 앞으로 더욱 많은 개선이 필요한 사항임을 제시하였다. 나트륨의 섭취와 BMI 간의 관련성은 과체중(5,789 mg)> 정상군(5,380 mg)> 비만군(4,458 mg) 순으로 나타났으나(p <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혈압 발생의 원인은 어떤 것이 있는가? 고혈압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2, 3위에 해당하는 뇌혈관 및 심혈관 질환의 주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Park 등 2001). 고혈압 발생의 원인으로는 고지방식이와 운동 저하에 따른 비만, 흡연, 과잉의 소금 섭취와 낮은 칼륨 및 마그네슘 섭취, 과도한 알코올 섭취, 스트레스 등이 고혈압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생활환경요인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고콜레스테롤, 당뇨병, 신장질환 등과 같은 만성질환도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Sandmaier 2007).
60세 이상 노년기 고혈압관리 대상자 103명의 체질량지수, 허리둘레에 의한 비만정도와 영양소 섭취 상태와의 관련성을 파악한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1. 대상자 중에서 복부비만 43.7%이었으며, BMI 23이상인 과체중 또는 비만에 해당하는 사람은 62.4%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2. 복부 비만군과 정상군의 에너지 섭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복부비만군은지방(p < 0.01), 식이섬유소(p < 0.01), 칼륨(p < 0.01), 아연(p < 0.05), 비타민 A(p < 0.05), 비타민 B1(p < 0.01) 비타민 C(p <0.01), 엽산(p < 0.05)의 섭취량이 정상군에 비해 낮았다. 권장섭취량 대비 영양소 섭취 비율은 남성은 비만군에서 엽산이 낮았으며(p < 0.05), 여성은 비만군에서 단백질(p <0.05), 인(p < 0.05), 아연(p < 0.01), 티아민(p < 0.01), 나이아신(p < 0.01), 엽산(p < 0.05)이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 전체에서는 아연(p < 0.05), 비타민 A(p < 0.05), 티아민(p < 0.01), 비타민 C(p < 0.01), 엽산(p < 0.05)의 수치가 비만군에서 낮았다(p < 0.05). INQ는 남성의 경우 비타민 A(p < 0.05), 티아민(p < 0.01), 비타민 C(p <0.05)가 비만군에서 낮았으며, 여성은 티아민(p < 0.05), 나이아신(p < 0.05)가 낮았다, 남녀를 합하면 비만군은 단백질(p < 0.05), 인(p < 0.05), 비타민 A(p < 0.05), 티아민 (p < 0.05), 비타민 B6(p < 0.05), 비타민 C(p <0.01) 수치가 유의하게 낮았다. MAR은 남성의 경우 정상군 0.92, 비만군 0.89, 여성은 정상군 0.96, 비만군 0.89이었고(p < 0.05), 남녀를 합하면 정상군 0.94, 비만군 0.89로 비만군에 비해 정상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 < 0.01). 식품군별 비교에서는 여성(p < 0.05), 그리고 전체 대상자에서 비만군의 채소 섭취량이 낮았다(p < 0.01).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 비율은 정상군 61: 18: 22, 비만군 64: 16: 18이었고 탄수화물(p < 0.05), 단백질(p < 0.05), 지방(0.001)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3. 체질량지수(BMI)로 비교하였을 때 1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남성의 경우 과체중군 > 비만군 > 정상군의 순으로 섭취하고 있었고 여성의 경우와 남녀를 합한 경우는 과체중군 >, 정상군 >, 비만군의 순으로 섭취하였다.여성 비만군은단백질, 지방, 식이섬유소, 회분, 인, 철분, 나트륨, 칼륨, 아연, 비타민 B2, 비타민 B6, 나이아신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았다(p < 0.05). 남녀를 합한 전체 비만군은 단백질, 식이섬유소, 나트륨, 칼륨, 티아민, 비타민 B6, 비타민 C, 엽산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았다(p < 0.05). 권장섭취량 대비 영양소 섭취 비율은 남성의 경우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여성은 비만군에서 단백질, 인, 철분, 아연, 비타민 B2, 비타민 B6, 나이아신이 유의하게 낮았다(p < 0.05). 남녀를 합한 전체 비만군에서는 단백질, 비타민 C, 엽산의 경우에 유의적으로 낮았다(p < 0.05). 영양의 질적 지수(INQ)는 남성의 경우 엽산이 유의한 차이가 이었고(p < 0.05) 여성은 단백질, 비타민B6, 나이아신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 < 0.05). 남녀를 합한 전체 비만군에서 단백질, 티아민, 비타민 B6, 비타민 C, 엽산(p < 0.01)이 유의하게 낮았다(p < 0.05). MAR은 여성 정상군 0.93 ± 0.10, 과체중군 0.93 ± 0.09, 비만군 0.89 ± 0.10으로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남녀를 합하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품군 섭취실태는 비만군에서 채소섭취가 낮았다(P < 0.05).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 비율은 남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여성은 비만군이 탄수화물에 의한 섭취 비율은 높고 단백질과 지방은 다른군에 비해 낮은 비율을 보였다(p < 0.05). 남녀를 합한 경우도 비만군이 탄수화물에 의한 섭취 비율은 높으나 단백질과 지방은 다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섭취 비율을 나타냈다(p < 0.05).
고혈압은 어떤 질환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는가? 고혈압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2, 3위에 해당하는 뇌혈관 및 심혈관 질환의 주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Park 등 2001). 고혈압 발생의 원인으로는 고지방식이와 운동 저하에 따른 비만, 흡연, 과잉의 소금 섭취와 낮은 칼륨 및 마그네슘 섭취, 과도한 알코올 섭취, 스트레스 등이 고혈압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생활환경요인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고콜레스테롤, 당뇨병, 신장질환 등과 같은 만성질환도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Sandmaier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Ahn SH, Son SM, Park JK (2009): Health and nutritional factors related to hypertension of subjects aged over 50 in high income class: Based on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Diet Assoc 15(3): 311-327 

  2. Alexander C, Landsman P, Teutsch S, Haffner S (2003): NECPdefind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and preval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NHANES III participants age 50 years and older. Diabetes 52(2): 1210-1214 

  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08): Diabetes, the Heart and Exercise-At the Intersection of Endocrinology and Cardiovascular Medicine. June 6-10 San Francisco, CA 

  4. Appel LJ, Brands MW, Daniels SR, Karanja N, Elmer PJ, Sacks FM (2006): Dietary approaches to prevent and treat hypertension: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Hypertension 47(2): 296-308 

  5. Bazzano LA, Li TY, Joshipura KJ, Hu FB (2008): Intake of fruit, vegetable, and fruit juices and risk of diabetes in women. Diabetes Care 31(7): 1311-1317 

  6. Biolo G, Toigo G, Guarnieri G (2001): Slower activation of insulin action in upper body obesity. Metabolism 50(1): 19-23 

  7. Choi HJ, Jung MH, Kim YS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factors and blood pressure of workers. Korean J Comm Health Nur Acad Soc 18(2): 312-329 

  8. Choi MK, Lee WY, Park JD (2005): Relation among mineral (Ca, P, Fe, Na, K, Zn) intakes, blood pressure, and blood lipids in Korean adults. Korean J Nutr 38(10): 827-835 

  9. Dawson-Hughes B, Harris SS, Krall EA, Dallal GE (1997): Effect of calcium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bone density in men women 65 years of age older. N Engl J Med 337(10): 670-676 

  10. Eom JS, Lee TR, Park SJ, Ahn Y, Chung YJ (2008): The risk factors of the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of rural inhabitants in Chungnam-do. Korean J Nutr 41(8): 742-753 

  11. Esmaillzabeh A, Kimiagar M, Mehrabi Y, Azabakht L, Hu FB, Willett WC (2006): Fruit and vegetable intake, C-reactive protein,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lin Nutr 84(6):1489-1497 

  12. Ford ES, Giles WH, Dietz WH (2002):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AMA 287(3): 356-359 

  13. Gus M, Fuchs SC, Moreira LB, Moraes RS, Wiehe M, Si1va AF, A1bers F, Fuchs FD (2004): Association between different measurements of obesity and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Am J Hypertens 17 (1): 50-53 

  14. Hajjar IM, Grim CE, George V, Kotchen TA (2001): Impact of diet on blood pressure and age-related changes in blood pressure in the US population: analysis of NHANES III. Arch Intern Med161(4): 589-593 

  15. Hamet P (1995). The evaluation of the scientific evidence for a relationship between calcium and hypertension. LSRO report. J Nutr 125(2): 311S-400S 

  16. He FJ, MacGregor GA (2008): Beneficial effects of potassium on human health. Physiol Plant 133(4): 725-735 

  17. Ho SY, Lam TH, Janus EJ (2003): Waist to stature ratio i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an other simple anthropometric indices. AEP 13 (10): 683-691 

  18. Hseih SD, Muto T (2005): The superiority of waist-to-height ratio as an anthropometric index to evaluate clustering of coronary risk factors among non-obese men and women. Prev Med 40(2): 216-220 

  19. Jelliffe DB (1966): The assessment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community. WHO Geneva 

  20. Jeong EG (2004): National Goals and Strategies for Major Chronic Diseases.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1. Katan MB, Grundy SM, Sillett WC (1997): Should a low-fat, highcarbohydrate diet be recommended for everyone? Beyond low-fat diets. N Engl J Med 337(8): 563-566 

  22. Karppanen H, Mervaala E (2006): Sodium intake and hypertension. Prog Cardiov Dis 49(2): 59-75 

  23. Kim MK, Yun YM, Kim Y (2008): Developing dish-bas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epidemiology study of hypertension among Korean. Korean J Community Nutr 13(5):701-712 

  24. Kim SR, Yoon GH (2009):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Recent update for treatment. Proceedings Korean Soc Community Nutr pp. 31-36 

  25. Klein BE, Klein R, Lee KE (2002):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in beaver dam. Diabetes Care 25(10): 1790-1794 

  26.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a):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II (2005) - Depth Analysis(Health Examination). 

  2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Deaths and Causes of Death in 2007 

  28. Lakka HM, Lakka TA, Tuomilehto J, Salonen JT (2002): Abdominal obesit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acute coronary events in men. Eur Heart J 23(9): 701-713 

  29. Lee GY, Park MS, Park TJ (2001): Association of hypertension with body mass index in the rural elderly. J Korean Acad Fam Med 22(7): 1086-1094 

  30. Lee HJ, HS Lee, Lee YN, Jang YA, Moon JJ, Kim Cl (2007): Nutritional environment influences hypertension in the middleaged korean adults : Based on 1998 &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2(3): 272-283 

  31. Lee JH, Jang YS, Kim Y (2004): Dietary habits, obesity statu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Koreans.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62: 538-541 

  32. Lee KM (2000): Waist circumference as a screening tool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Korea: Evaluation of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J Korean Acad Fam Med 21(3): 395-40 

  33. Lee WY, Park JS, Noh SY, Rhee EJ, Kirn SW, Zimmet PZ (2004):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40,698 Korean metropolitan subjects. Diabetes Res Clin Pract 65(2): 143-149 

  34. Lee WY, Bea HJ, (2009): Models and actual of stroke unit services in developed countries . J Korean Neurol Assoc 27(3): 195 - 205 

  35. Lim YH, Park BH, Kim SZ, Cho CG (2007): Waist circumference may be more important than body mass index (BMI) in determinants of left ventricular mass in korean hypertensive patients. J Kor Diabetes Assoc 31(2): 130-135 

  36. Liu S, Willet WC, Stampfer MJ, Hu FB, Franz M, Sampson L, Hennekens CH, Manson JE. (2000): A prospective study of dietary glycemic load, carbohydrate intake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US women. Am J Clin Nutr 71(6): 1455-1461 

  3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Report on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3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Report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3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In-depth Analysis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4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Report on 200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41.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Daegu Metropolitan City (2008): KHyDDI (Korea Hypertension Diabetes Daegu Initiative) Project Reports, pp.19-47 

  42. Moon EH (2004):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patients among adults aged 50 and over. MS thesis, Department of Nutri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43. Moon HK, Kim EG (2005): Comparing validity of body mass index, waist to hip ratio, and waist circumference to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Korean elderly. Korean Nutr Soc 38(6):445-454 

  44. Moon HK, Park JH (2007):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between with and without hypertension using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Korean J Nutr 40(4): 347-361 

  45. Nieves JW (2005) Osteoporosis : The role of micronutrients. Am J Nutr 81(5): 1232S-1239S 

  46. Ninomiya JK, L`italien G, Criqui MH, Whyte JL, Gamst A, Chen RS(2004): Associa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with history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irculation 109(1): 42-46 

  47. Park JK, Kim CB, Kim KS, Kang MG, Jee SH (2001): Meta analysis of hypertension as a risk factor of cerebrovascular disorders in Koreans. J Korean Med Sci 16(1): 2-8 

  48. Park SH, Lee KS, Park HY (2008): Dietary carbohydrate intake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Analysis of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IJCA 11270: 1-7 

  49. Reaven GM (1997): Do high carbohydrate diets prevent the development or attenuate the manifestations (or both) of syndrome X? A viewpoint strongly against. Curr Opin Lipidol 8(1): 23-27 

  50. Sandmaier M (2007): The Health Heart Handbook for Wome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IH, USA 

  51. Son SM, Huh GY (2006): Dietar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5): 661-672 

  52. Song Y, Sesso HD, Manson JE, Cook NR, Buring JE, Liu S (2006): Dietary magnesium intake and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US women in a 10-year follow-up study. Am J Cardio 98(12): 1616-1621 

  53. Wang Y, Wang QJ (2004): The prevalence of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among US adults according to the new joint national committee guidelines: new challenges of the old problem. Arch Intern Med 164(19): 2126-2134 

  54. Whelton PK, He J, Cutler JA, Brancati FL, Appel LJ, Follmann D, Klag MJ (1997): Effects of oral potassium on blood pressure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JAMA 277(10): 1624-1632 

  55. Willett WC (1998): Dietary fat and obesity: an unconvincing relation. Am Clin Nutr 68(6): 1149-1159 

  56. Yim JE, Cho MR, Yin CS, Seo BK, Koh HG, Choue RW (2005): Nutrients and salt consumption of hypertension patients according to treatment status. Korean J Nutr Soc 38(9): 706-7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