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창의성의 발달: 창의적 한국인 사례에 대한 전기적 연구
Scientific Creativity Development: The Case Studies of Creative Korean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19 no.3, 2009년, pp.529 - 563  

강정하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최인수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 분야에서 한 개인이 창의성을 발현에 가는 과정에서 드러내는 다원적 요소의 발달적 특성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세계적인 성취를 이룬 한국의 창의적 과학자 10인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그들의 과학적 성취가 발현되는 성장발달 과정에서 드러난 주요한 행동 특성들은 무엇이고, 그 과정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무엇이며, 그러고 그러한 행동특정들이 변화되어 간 과정들의 특징이 어떠한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총괄적 창의성 체계모델인 '지식진화시스템 (Knowledge-Evolving Systems: KES)'(강정하, 2007)에 의해 분석되었다. 결과, 창의적 과학자는 어린 시절에 과학부문에 대한 강한 지적 호기심과 관심을 가졌었고, 커가면서 이 분야에 관련된 취미활동을 계속하였다. 대학에 들어가면서부터 그들은 전문지식을 체제적으로 습득하였으며, 오랜 집중을 계속했다. 이는 개인의 경험이 다원적 요소들에 의해 점진적으로 성장해 가는 과정이며, 나중에 창의적 성취로 이어진다. 발현과정은 발달심리적 특징과 학령, 그리고 환경적 요인에 의해 크게 4단계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창조기-로 구분되었고, 단계가 나아감에 따라 드러난 특성들이 더 복잡해지고 강화되었으며, 한편으로는 더 정교하게 분화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reativity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emergent process of accomplishments from case studies on individuals who had made creative accomplishments in scienc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from childhood to adulthood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before they ...

주제어

참고문헌 (38)

  1. 강정하 (2007).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 지식의 성장으로서의 창의성에 대한 사례연구 및 과학적 창의성의 타당화.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강정하. 최인수 (2008). 과학적 창의성: 지식의 성장으로서의 창의성에 대한 사례연 

  3. 강정하. 최인수 (2008a). 과학적 창의성과 시각예술적 창의성: 창의적 성취 사례의 영역보편성 및 영역특정성. 영재교육연구, 18(2), 201-237 

  4. 최인수 (1998) 장의적 성취와 관련된 제 요인들: 창의성연구의 최근 모델인 체계모 

  5. 하주현 (1999). 아동기에서 청년기까지의 창의적 인지와 창의적 인성의 발달 경향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6.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2), 357-376 

  7. Bloom, B.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ew York: Ballantine Books 

  8. Cahan, E. D. (2004). 제 5장 존 듀이의 인간발달. Ross D. Parke, Peter A. Omstein, John J. Rieser, & Carolyn Zahn-Waxler(엮음),발달심리학 거장들의 핵심이론 연구(이민희.정태연 역), 181-207,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연도 1994) 

  9. Choe, In-soo (2006). Creativity: A sudden rising star in Korea. In J. C.Kaufman, & R. J. Sternberg(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creativity(pp.395-4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New York: Harper 

  11. de Bono (1995). 세계를 움직이는 30인의 사상가. [홍동선 역] 서울: 정우사 

  12. Feinstein, J. S. (2006). The nature of creative development. Stanford Business Books 

  13. Gardner, H. (1993). Creating minds. New York, NY: Basic Books 

  14. Gruber, H. E. & Barrett, P. H. (1974). Darwin on man: A psychological study of scientific creativity, Together with Darwin's early and unpublished notebooks, New York, NY: E. P. Dutton 

  15. Gubbins, E. J. (2005). NRC/GT offers a snapshot of intelligence.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Winter, 2005 

  16. Gruber, H. E. (1981). Darwin on man: A psychological study of scientific creativity (2n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Ghiselin, B. (1985). The creative proces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원본출간연도 1952) 

  18. Hadamard, J. (1945). The psychology of invention in the mathematical field. Mineola, N.Y.: Dover Publications, Inc 

  19. Horowitz, F. D. (2009). Introduction: A Developmental understanding of giftedness and talent. In F. D. Horowitz, R. F. Subotnik, & D. J. Matthews(Eds.), The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across the life span(pp. 3-19).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Washington, D. C. 

  20. Isaksen, S. G., Dorval, K. B., & Treffinger, D. J. (2000). Creative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A framework for change. Dubuque, Iowa: Kendall/ Hunt Publishing Company 

  21. James, W. (1992). Psychology: Briefer course. New York, NY.: The Library of America 

  22. Keating, D. P. (2009). Developmental science and giftedness: an integrated life-span framwork. In F. D. Horowitz, R. F. Subotnik, & D. J. Matthews (Eds.), The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across the life span (pp.189-208).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Washington, D. C. 

  23. Kegan, R. (1982). The evolving self: Problem and process in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4. Matthews, D. J. (2009). Developmental transitions in giftedness and talent childhood into adolescence. In F. D. Horowitz, R. F. Subotnik, & D. J. Matthews(Eds.), The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across the life span (pp. 89-107).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Washington, D. C. 

  25. Milgram, R. M., & Hong, E. (1994).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forrnance in adolescents as predictors of creative attainments in adults: A follow-up study after 18 years. In Rena F. Subotnik, & Karen D. Amold (Eds.), Beyond Terman (pp .212-228).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26. Miller, A. I. (2001). Einstein, Picasso. New York, NY: Basic Books 

  27. Popper, K. (2006). 삶은 문제해결의 연속이다. [허형은 역]. 서울: 부글북스 (원본출간연도 1994) 

  28. Rhodes, M. (1961). An analysis of creativity. Phi Delta Kappan 42(7), 305-310 

  29. Robinson, A. & Clinkenbeard, P. R. (2008). History of giftedness: Perspectives from the past presage modern scholarship. In S. I. Pfeiffer(Ed),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p. 13-31), Tallahassee, FL: Springer 

  30. Sawyer, R. K, John-Steiner, V., Moran, S., Sternberg, R. J., Feldman, D. H., Nakamura, J. N., & Csikszentmihalyi, M. (2003). Creativity and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31. Simonton, D. K. (1987). Developmental antecedents of achieved eminence. Annals of Child Development, 5, 131-169 

  32. Simonton, D. K. (2000). Creativity: Cognitive, personal, developmental, and social aspects. American Psychologist, 55(1), 151-158 

  33. Smith, S. M., Ward, T. B., & Finke, R. A. (1995). Introduction: Cognitive Processes in creative contexts. In S. M. Smith, T. B. Ward, & R. A. Finke (Eds.), The creative approach (pp. 1-5), The MIT Press 

  34. Subotnik, R. F. (2009). Developmental transtions in giftedness and talent: Adolescence into adulthood. In F. D. Horowitz, R. F. Subotnik, & D. J. Matthews (Eds.), The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across the life span (pp.155-170).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Washington, D. C. 

  35. Smith, S. M. (1995). Ch. 6. Fixation, incubationl, and insight. In S. M. Smith, T. B. Ward, & R. A. Fink e(Eds.), The creative approach (pp. 135-156), The MIT Press 

  36. Tannenbaum, A. J. (1986). Giftedness: A psychosocial approach. In R. J. Sternberg & J.E. Davison (Ed.),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21-52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Tannenbaum, A. J. (2003). Ch4. Nature and Nurture of Giftedness. In Nicholas Colangelo & Gary A.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3rd)(45-59). Boston, MA: Allynand Bacon 

  38. Wallas, G. (1926). The art of thought. New York: Harcourt Bra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