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A Study of the Royal Lady's Dress in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King's Wedding Proces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3, 2009년, pp.96 - 108  

김소현 (배화여자대학 전통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made on the royal lady's dress In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King Heon-jong and Lady Kyung-bin's Wedding Diary in the year of Jung-mi(1847) and summarised as follows: Girls' full dress was a set of a red skirt, a violet undo. jacket, and a light yellow jacket and a green Gyeo...

주제어

참고문헌 (48)

  1. 뎡미가례시일긔. 憲宗慶嬪金氏順和宮嘉禮時節次에 의례 전반을 기록한 앞부분에는 11월 17일로. 각 의례의 실행에 따른 물목을 기록한 부분에는 11월 26일로 기재되어 있다. 실행물목을 담고 있는 졍미패물가례일긔에는 11월 26일로 기재되어 있다. 한편 경빈가례등록에는 11월 29일 로 기록되어 관례일이 제각각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2. 慶嬪嘉禮?錄. 丁未 七月 十八日 

  3. 뎡미가례시일긔 

  4. 뎡미가례시일긔 지간틱 처녀 의차: 간택에 참여한 처자의 수를 초간택 처자 32, 재간택 처자 5, 삼간택 처자 3으로 기록하고 있음에도 재간택에 입하는 처녀 의차를 4차로 기록하고 있음은 의문이다 

  5. 五洲衍文長箋散稿. 卷15 東國婦女首飾辨證說 

  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二, pp. 24-25 

  7. 뎡미가례시일긔 삼간택 댁으로 보내는 의복 

  8. 한중록 

  9. 한국정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二, pp. 24-25 

  10. 憲宗慶嬪金氏順和宮嘉禮時節次에 草綠緞付金繡字胸背로 기록되어 있으나 壽字의 오기로 보인다. 繡字흉배 관련 유물을 찾을 수 없고 繡字를 도안으로 쓴 사례가 없기 때문이다, 길상문자로 애용하는 壽字 흉배는 본이 남아 있다. 흉배의 문양을 금박으로 나타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1. 뎡미가례시일긔. 삼간택(三揀擇) 의복(衣服): 삼간택 의복이란 최종적으로 간택된 예비 빈궁이 입는 의복이다 

  12. 정조실록. 26卷 12年 10月 3日. (辛卯) 

  13. 남영신 역 (1987). 우리말 분류 사전. 한강문화사, p. 97 

  14. 세종실록(世宗實錄). 12년 (1430, 경술) 12월 22일 무자 

  15. 유형원 (1622-1673). 磻溪隧錄 

  16. 國朝五禮儀. 卷之二 嘉禮 納妃儀 

  17. 뎡미가례시일긔 

  18. 머리장식과 신발, 이엄류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19.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p. 289 

  20. 憲宗慶嬪金氏順和宮嘉禮時節次. 禮服節目 

  21. 順和宮帖草 

  22. '四禮便覽' 卷之一 冠 二十 

  23. 김지연 (2008). 조선시대 여성 예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65-68 

  24. 한국정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二, p. 245 

  25. 이은주 (2008). 19세기 조선 왕실 여성의 머리모양. 복식, 58(3), p. 26 

  26. 큰머리는 구성요소인 동시에 완성된 머리모양을 일컫는다 

  27. 김지연 (2008). 조선시대 여성 예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77 

  28. 고종실록. 10卷 10年(1873) 8月 29日(乙巳) 

  29. 흰 겹저고리의 궁중말: 동아 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 1994, p. 163 

  30. 상침이란 박이 옷 따위의 가장자리를 곁에서 눌러박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므로 적삼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생각된다 

  31. 이 옷은 당의로 추정된다. 깍기 바느질은 당의에만 쓰였기 때문이다. 권혜진 (2001). 당의(唐衣)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1 

  32. 접두어 '한'은 명사 앞에 붙어서 '큰'의 뜻을 나타내며, 할(割)로 표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우리말 어원사전에 의하면 '할'의 어원은 '할아버지'의 어근인 '하[大]'와 같이 '크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김민수 편 (1977). 우리말 어원사전. 서울: 태학사, p. 1145 

  33. 四禮便覽. 卷3 喪 

  34. 고려사 志. 卷39 

  35. 世祖實錄. 20卷 6年 4月 9日 (乙卯) 

  36. 尙方定例. 卷人 嬪宮法服 衣? 

  37. 온양민속박물관학예연구실편 (1991). 아미타불복장유물의 조사연구. 온양민속박물관, pp. 88-95 

  38. 이성희 (2003). 조선후기 노의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1 

  39. 太宗實錄. 15卷 8年 5月 25日(癸酉) 

  40. 世宗實錄. 111卷 28年 3月 27日 (甲午) 

  41. 太宗實錄. 23卷 12年 6月 14日(丁卯) 

  42. 四禮便覽. 卷2 昏 

  43. 尙方定例. 卷人 

  44. 甁窩集. 卷5 答尹進士孝彦 

  45. 황주선 (1999). 조선시대 저고리류 명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0 

  46. 光海君日記, 29卷 2年 5月 7日(辛亥) 

  47. 김용숙 (1987). 조선조궁중풍속연구, p. 287 

  48. 2007년 8윌13일 경운박물관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