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송이(Tricholoma matsutake Sing.)의 ABTS Radical 소거능과 암세포 생장 억제효능의 검색

ABTS Radical Scavenging and Anti-Tumor Effects of Tricholoma matsutake Sing. (Pine Mushroom)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5, 2009년, pp.555 - 560  

김영언 (한국식품연구원) ,  양지원 (한국식품연구원) ,  이창호 (한국식품연구원) ,  권은경 ((주)아워홈)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송이는 맛과 향기가 뛰어난 고급 기호식품이며 고부가가치작물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냉동송이의 해동 시에 유출되는 송이즙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생리활성을 탐색하고자 항산화 활성 및 항암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송이즙의 농도 1, 10, 50 mg/mL에서 각각 1.19, 11.24, 54.99 mg GAEs/100 mL로 이는 해송이버섯의 열수추출물과 비교할 때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시료농도50 mg/mL에서 양성대조군인 $Trolox^{(R)}$ 1 mg/mL 일때와 비슷한 수준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보여 항산화능을 가진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이즙의 농도에 따른 암세포의 증식억제효과를 조사하고자 MTT법을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4가지의 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는 송이즙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식억제효과가 더 뚜렷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결장암세포주인 HT-29의 경우 다른 세포주에 비해 저농도($200{\mu}g/mL$)에서도 50% 정도의 억제효과가 있으며 그때의 $IC_{50}$ value가 $232.5{\mu}g/mL$로 계산되어 송이즙은 결장암세포주에 대해 우수한 항암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송이즙에서 항산화 활성과 항암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is an expensive and highly prized delicacy in Korean and Japanese cuisines with its unique flavor and functional properties. The pine mushroom juice (PMJ) was investigated for its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with ABTS radical scavenging method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TT(3-[4,5-dimethyl 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는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oxido-reductase의 효소 작용에 의해 환원되어 보라색의 불용성 formazan을 생성하고, 이들 용해액의 발색정도를 흡광도로 측정함으로써 살아있는 세포수를 계측하는데 이용되는 방법이다(17). 본 실험에서는 송이즙에 의한 농도 의존적 세포 생육의 저해효과를 분석하였다. 종양세포를 RPMI1640배지에서 72시간 배양하여 0.
  • 송이는 맛과 향기가 뛰어난 고급 기호식품이며 고부가가치작물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냉동송이의 해동 시에 유출되는 송이즙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생리활성을 탐색하고자 항산화 활성 및 항암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송이즙의 농도 1, 10, 50 mg/mL에서 각각 1.
  • 본 연구는 장기간 저장을 위해 냉동한 송이의 해동 시에 유출되는 송이착즙액(이하 송이즙)으로 제품개발을 함에 있어서 식품가공원료로의 이용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기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송이즙의 총 페놀 함량과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통하여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일 이내에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은 송이는 급속냉동하여 저장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항암활성 및 면역강화, 콜레스테롤 억제, 항당뇨, 혈액순환 증진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있어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크게 주목 받고 있다(9-13). 송이는 채취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도가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신선도 유지를 위해 약 3일 이내에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은 송이는 급속냉동 하여 저장하고 있다. 생송이와 냉동송이의 향기성분은 1-octen-1-ol의 함량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관능검사 결과로는 차이가 없다고 평가를 하였다(14).
송이의 생리활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다양한 버섯류 사이에서 특히 송이(Tricholoma matsutake)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의 소나무 숲에서 발생하는 식용 및 약용버섯으로 맛과 향이 뛰어나 최고의 버섯으로 취급되고 있다. 또한 항암활성 및 면역강화, 콜레스테롤 억제, 항당뇨, 혈액순환 증진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있어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크게 주목 받고 있다(9-13). 송이는 채취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도가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신선도 유지를 위해 약 3일 이내에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은 송이는 급속냉동 하여 저장하고 있다.
생송이와 냉동송이의 향기성분은 무엇의 함량에서 차이가 보이는가? 송이는 채취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도가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신선도 유지를 위해 약 3일 이내에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은 송이는 급속냉동 하여 저장하고 있다. 생송이와 냉동송이의 향기성분은 1-octen-1-ol의 함량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관능검사 결과로는 차이가 없다고 평가를 하였다(14). 즉 냉동송이나 그 부산물을 이용해서 품질이 우수한 가공제품 개발이 이루어질 경우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Fukuzawa K, Takaishi Y. 1990. Antioxidants. J Act Oxyg Free Rad 1: 55-70 

  2.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 Rev Nutr 16: 33-50 

  3.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84. Oxygen toxicity, oxygen radicals, transition metals and disease. Biochem J 219: 1-14 

  4. Doll R, Peto R. 1981. The cause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 Natl Cancer Inst 66: 1191-1308 

  5. KNSO. 2007. Annual report on the case of death statistics.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eoul, Korea 

  6. David ID. 2000. An overview of cancer immunotherapy. Immunol Cell Biol 78: 179-195 

  7. Kim HJ, Bae JT, Lee JW, HwangBo MH, Im HG, Lee IS.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ve effects on human leukemia cell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2: 80-85 

  8. Chi HY, Kim KH, Kong WS, Kim SL, Kim JA, Chung IM, Kim JT.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of P. eryngii spp. extracts. Korean J Crop Sci 50: 216-219 

  9. Wei Y, Xu H, Wan C. 2004. Purification and component analysis of anti-tumor glycoprotein from Tricholoma matsutake Sing. Chin J Pharm 35: 650-652 

  10. Kim JY, Byeon SE, Lee YG, Lee JY, Park JS, Hong EK, Cho JY. 2008. Immunostim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liquid culture of pine-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J Microbiol Biotechnol 18: 95-103 

  11. Eun JS, Yang JH, Kim DG. 1989. Effect of Tricholoma matsutake extract on hyperlipemiain rats. J Kor Pharm Sci 19: 137-143 

  12. Kim SS, Lim KS, Kim HJ, Chong MS, Cho HE, Choi YH, Lee KN. 2008. Effects of extracts from mixed culture with Tricholoma matsutake mycelium and Cordyceps militaris mycelium on blood glucos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 365-370 

  13. Kim YE, Kwon EK, Han DS, Kim IH, Ku KH. 2008. Antioxidant activity, fibrinolysis and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pine mushroom juice (Tricholoma matsutake S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35-5 

  14. Ku KH, Cho MH, Park WS. 2002. Characteristics of quality and volatile flavor compound in raw and frozen pine-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25-630 

  15.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8-35 

  16. Van den Berg R, Haenen GR, Van den Berg H, Bast A. 1999. Applic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s of mixtures. Food Chem 66: 511-517 

  17. Denizot F, Rita L. 198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ility. J Immunol Methods 22: 271-277 

  18. Madsen HL, Andersen CM, Jorgensen LV. 2000. Radical scavenging by dietary flavonoids. Eur Food Technol 211: 240-246 

  19. Madsen HL, Nielsen BR, Bertelsen G, Skibsted LH. 1996. Scree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spices. Food Chem 57: 331-337 

  20. Lim HW, Yoon JH, Kim YS, Lee MW, Park SY, Choi HK. 2007. Free radical-scavenging and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by four grades of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Food Chem 103: 1337-1342 

  21. Xu XM, Jun JY, Jeong IH. 2007.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hot water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51-1357 

  22. Lee SO, Kim MJ, Kim DG, Choi HJ. 2005.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emperature-step wise water extracts from Inonotus obliqu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9-147 

  23. Kim KB, Yoo KH, Park HY, Jeong JM. 2006.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mmercial edible plant extracts distributed in Kor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328-333 

  24. Yang JH, Lin HC, Mau JL. 2001.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commercial mushrooms. Food Chem 77: 229-235 

  25. Mau JL, Lin HC, Song SF. 2001.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ern 35: 519-526 

  26. Song JH, Lee HS, Hwang JK, Han JW, Ro JG, Keum DH, Park KM. 2003. Physiological activity of Sarcodon aspratus extra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172-179 

  27. Song JH, Lee HS, Hwang JK, Chung TY, Hong SR, Park KM. 2003.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nus ribi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90-695 

  28. Park KC, Han HS, Lee YJ. 2007.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Fructificatio Inonoti Obliqui aqueous extract according to the extraction temperature (II)-anti-oxidative activity, anti inflammatory effect and cancer cell multiplication inhibition effect. Kor J Herbology 22: 187-199 

  29. Yang KH, Yang JH, Ryu BH. 1997. Antitumor effects of extracts obtained from Daedalea dickinsi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178-182 

  30. Han J, Lee IS. 2000. Antioxidation and anticancer effects of Polyozellus multiplex. Han'guk Kyunhakhoe 28: 55-59 

  31. Hur H, Choi YI, Lee TS. 2008. Antitumo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y against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Tricholoma matsutake. J Life Sci 18: 1290-12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