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완전모유수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Exclusive Breast-Feeding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2, 2009년, pp.279 - 287  

김윤미 (서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tepartum-postpartum breast-feeding program titled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and to measur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breast-feeding empowerment and the rate of exclusive breast-feeding.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시기에 대하여 Yun (2003)은 산전 및 산후 모유수유 교육 중재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고 산전 단독중재가 산후 단독중재에 비해 효과가 더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완전모유수유의 유익성 및 억압과 장애요인을 초산모 스스로 인식하여 완전모유수유를 선택하고 유지하는 의식고양의 산전 및 산후 간호중재로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산모의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정도 및 완전모유수유 지속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임파워먼트 간호중재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프로그램이 산후 1주, 4주, 8주, 12주에 초산모의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완전모유수유 지속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산전 ∙ 산후에 활용할 수 있는 모유수유 간호중재를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산후 6개월, 1년에 완전모유수유 지속에 미치는 장기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초산모의 완전모유수유율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임신 7개월 이상인 실험군 22명과 대조군 21명을 대상으로 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은 Freire (1970)의 임파워먼트 개념의 기초에 따라 초임부가 모유수유의 유익성을 깨닫고 완전모유수유에 대한 억압 및 장애 요인을 스스로 찾아서 해결책을 선택하고 실천하는 과정의 프로그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프로그램이 산후 1주, 4주, 8주, 12주에 초산모의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완전모유수유 지속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산전 ∙ 산후에 활용할 수 있는 모유수유 간호중재를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산후 6개월, 1년에 완전모유수유 지속에 미치는 장기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파워먼트 간호중재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의 목적은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프로그램이 산후 1주, 4주, 8주, 12주에 초산모의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완전모유수유 지속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산전 ∙ 산후에 활용할 수 있는 모유수유 간호중재를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산후 6개월, 1년에 완전모유수유 지속에 미치는 장기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아기와 어머니가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무엇이 절대적인가? 아기와 어머니가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산후 첫 6개월 동안 오로지 모유만 먹이는 완전모유수유가 절대적이다(WHO, 2002). 그렇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산모의 절반 이상이 모유량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산후 6개월경에 모유수유를 중단하였으며 가장 많이 보고된 모유 중단의 이유는 모유량 부족이었다(Kim, Cho, Kim, Park, & Lee, 2004).
지금까지 모유수유 증진을 위하여 시행한 대부분의 간호중재 연구들은 어떠한 방법이 이용되었으며 그 시기는 언제였는가? 지금까지 모유수유 증진을 위하여 시행한 대부분의 간호중재 연구들은 프로그램의 교육자가 주체가 되어 교육내용을 제공하는 전통적 방법이 이용되었으며 교육 시기는 주로 산후였다(Jang, 2005; Jeong, 1997; Park, 1992). 당뇨 대상자, 뇌성마비 어머니와 류마티스 관절염 대상자를 위한 간호중재에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경우(Choi, 1999; Eo, 2005; Park, 2001)를 살펴보면 프로그램의 대상자가 주체가 되며 스스로 배우고자 하는 의식고양이 일어나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의 소집단 토의에 참여하고 동기부여, 지식과 기술, 실천의 증진에서 매우 효과적이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lyth, R., Creedy, D. K., Dennis, C. L., Moyle, W., Pratt, J., & De Vries, S. M. (2002). Effect of maternal confidence on breastfeeding duration: An application of breast-feeding self-efficacy theory. Birth, 29, 278-284 

  2. Cho, M. J., Cheon, C. M., Shin, S. M., & Seo, J. K. (2001). A survey on the factors of breast-feeding failure related to the role of medical personnel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4, 389-396 

  3. Choi, E. O. (1999). Effects of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type II diabetes on empowerment self-care behavior and the glycemic contr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Eo, Y. S. (2005).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the burden of mothers having a child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54-164 

  5. Freire, P. (1970). Pedagogy of the oppressed. New York, NY: The Continue Publishing Corporation 

  6. Jang, Y. S. (2005). Effects of a workbook program on the perceived stress level,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breast-feeding practice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5, 419-427 

  7. Jeong, G. H. (1997). E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8. Jung, J. H., & Lee, K. (1999). A survey on mothers' perception of breast-feeding.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2, 1050-1055 

  9. Kang, J. S. (2006). The effects of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breast-feeding mother's empowerment state, problems in breastfeeding, and breast-feeding practice ra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0. Kim, S. K., Cho, A. J., Kim, Y. K., Park, S. K., & Lee, K. W. (2004). 2003 the survey on the national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11. Kim, Y. M., & Park, Y. S.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Breast-feeding Empowerment Sc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 360-367 

  12. Mohrbacher, N., & Stock, J. (2003). The breast-feeding Answer book (3rd ed.). Schaumburg: La Leche League International, Inc 

  13. Park, I. H. (2001). Effects of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patients having rheumatoid arthritis on empowerment, health status and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4. Park, O. H. (1992). The effects of antenatal breast care on breastfeed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2, 29-41 

  15. Pugh, L. C., & Milligan, R. A. (1998).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Applied Nursing Research, 11, 190-194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The optimal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A systemic review.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7. Yoo, S. M., Choi, Y. H., Lee, S. H., Joo Y. H., Han, K. S., & Huh, B. Y. (1994). The effects of Dr's recommendation & education on feeding meth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5, 238-249 

  18. Yoon, J. W., & Park, Y. J. (2008). Effects of a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for working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843-852 

  19. Yun, S. E. (2003). Effect of the breast feeding knowledge, method and feeding rate in primipara about the education of breast-feeding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prenatal and postnatal peri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 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