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에서 수의적인 상·하지 움직임 시 선택적인 체간 근육의 선행적 자세조절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 in Selected Trunk Muscles Associated With Voluntary Arm and Leg Movement in the Persons With Stoke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6 no.2, 2009년, pp.1 - 8  

정경심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정이정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s is an example of the ability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to predict the consequence of the mechanical effect of movement on posture and helps minimize a forth coming disturb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quence of activation of the trunk musc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하지 움직임시 체간의 선행적 자세조절 패턴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상・하지 움직임 시 양쪽 체간근육의 개시시간이 주동근의 수축 이후에 나타났으며, 동측에 비해 반대측 체간근육의 개시시간이 더 빠르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 균형을 측정하기 위해 앉은 자세에서 건측과 환측의 상・하지 움직임시에 활동하는 양측 체간근육들의 근수축 개시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건측과 환측팔을 들게 하였을 때 반대측 척추기립근과 광배근은 각각 전삼각근의 개시시간보다 유의하게 지연되어 나타났고(p<.
  • 내복사근은 수의적인 움직임시 움직임 방향에 상관없이 주동근보다 먼저 수축하여 척추 분절 사이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odges와 Richardson, 1997b; Hodges 등, 1999).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자세조절과 관련하여 체간근육의 개시시간이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내복사근의 개시시간을 함께 측정하였다. 건측팔을 들었을 때 동측 내복사근의 근수축이 유의하게 지연되어 나타났고(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는 어떤 문제로 균형이 떨어지게 되는가? 뇌졸중 환자는 관절 가동성의 제한, 근육의 약증, 근긴장도의 변화, 감각결손, 비정상적인 자세적 반응, 인지의 문제로 인하여 균형이 떨어지게 된다(Bonan 등, 2004). 또한 뇌졸중 환자는 체중의 61〜81%를 건측 다리에 지지하게 됨으로써 자세의 비대칭이 발생하게 되며(Sackley와 Baguly, 1993), 선택적인 체간의 움직임과 앉은 자세의 균형능력이 떨어지게 된다고 하였다(Verheyden 등, 2008).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 균형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또한 뇌졸중 환자는 체중의 61〜81%를 건측 다리에 지지하게 됨으로써 자세의 비대칭이 발생하게 되며(Sackley와 Baguly, 1993), 선택적인 체간의 움직임과 앉은 자세의 균형능력이 떨어지게 된다고 하였다(Verheyden 등, 2008).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 균형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체간 조절 검사(Trunk Control Test)(Franchignoni 등, 1997), 체간 손상 척도(Trunk Impairment Scale)(Verheyden 등, 2004),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Benaim 등, 1999)와 같이 체간조절과 관련하여 기능적 활동을 평가하는 방법이 있다. 장비를 이용한 측정 방법에는 체중분포(weight distribution)의 비율 (Au-Yeung, 2003), 체중이동의 거리(Nichols 등, 1996),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동안 동요지수(Pérennou 등, 2001; Pérennou 등, 2002)를 측정하는 방법과 근전도를 이용하여 수의적 움직임 동안의 자세 조절근의 활성화를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상지의 움직임에 따른 체간의 선행적 근수축 개시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4가지 실험은 무엇인가? 먼저 상지의 움직임에 따른 체간의 선행적 근수축 개시시간을 보기 위해 양측 전삼각근(anterior deltoid; DEL), 척추기립근(erector spinae; ES), 광배근(latissimus dorsi; LD),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IO)에 표면근전도를 부착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고관절과 무릎을 90도 각도로 구부리고 의자에 앉아 팔을 체간 옆에 나란히 둔 자세에서 1초간의 신호음이 나오면 환측팔을 가능한 빠르게 25도 정도 들어 올렸다가 시작자세로 돌아오게 하였다(그림 1). 두 번째 실험은 같은 자세에서 건측팔을 빠르게 들어 올렸다가 내려놓게 하였다. 또한 하지의 움직임에 따른 체간의 선행적 근수축 개시시간을 보기 위해 양측 대퇴직근(rectus femoris; RF), 복직근(rectus abdominis; RA),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EO), 내복사 근에 표면근전도를 부착하였다. 세 번째 실험은 고관절과 무릎을 90도 각도로 구부리고 앉은 자세에서 1초간의 신호음이 나오면 가능한 빠르게 건측 고관절을 20도 굴곡시켰다가 시작자세로 돌아오게 하였다(그림 2). 네 번째 실험은 환측 고관절을 빠르게 굴곡시켰다가 내려놓게 하였다. 근전도 부착위치는 전삼각근은 팔의 앞쪽면에서 쇄골로부터 하방 4 ㎝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였고, 척추기립근은 3번째 요추로부터 2 ㎝ 간격을 두고 척추에 평행하게 부착하였다. 광배근은 견갑골의 하각에서 하방 4 ㎝, 대퇴직근은 대퇴부 전면 중앙에, 복직근은 배꼽에서 바깥쪽으로 2 ㎝ 위치에 부착하였고, 외복사근은 전상장골극 바로위에, 내복사근은 전상장골극에서 하・내방으로 2 ㎝ 지점에 부착하였다(Marshall과 Murphy,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정경심, 신원섭, 정이정. 수의적인 상.하지 움직임 동안의 체간의 선행적 자세조절 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8;15(2):30-37. 

  2. Aruin AS. Latash ML. Directional specificity of pos-tural muscles in feed-forward postural reactions during fast vountary arm movements. Exp Brain Res. 1995;103(2):323-332. 

  3. Au-Yeung SS. Does weight-shifting exercise improve postural symmetry in silting in people with hemiplegia?. Brain Inj. 2003:17(9):789-797. 

  4. Belen'kii VE, Gurfinkel' VS, Pal'tsev EI. Control elements of voluntary movements. Biofizika. 1967;12(1):135-141. 

  5. Benaim C, Perennou DA, Villy J, et al. Validation of a stand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1999:30(9):1862-1868. 

  6. Bennis N, Roby-Brami A. Dufosse M. et al. Anticipatory responses to a self-applied load in normal subjects and hemiparetic patients. J Physiol Paris. 1996;90(1):27-42. 

  7. Bertrand AM. Bourbonnais D. Effects of upper limb unilateral isometric efforts on postural stabilization in subjects with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2001;82(3):403-411. 

  8. Bonan IV. Colle FM. Guichard JP. et al. Reliance on visual information alter stroke. Part I: Balance on dynamic posturograph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68-273. 

  9. Bouisset S. Zattara M. Biomechanical study of the programming of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s associated with voluntary movement. J Biomech. 1987;20(8):735-742. 

  10. Carr LJ. Harrison LM, Stephens JA Evidence for bilateral innervation of certain homologous motoneurone pools in man. J Physiol 1994;475(2):217-227. 

  11. Dickstein R Shefi S. Marcovitz E. et al.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 in selected trunk muscles in poststroke hemiparet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61 -267. 

  12. Ferbert A. Caramia D, Priori A et al. Cortical projection to erector spinae muscles in man as assessed by focal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2 ;85(6):382-387. 

  13. Forget R. Lamarre Y. Postural adjustments associated with different unloadings of the forearm: Effects of proprioceptive and cutaneous afferent deprivation. Can J Physiol Pharmacol. 1995;73(2):285-294. 

  14. Franchignoni FP. Tesio L. Ricupero C, et al. Trunk control test as an early predictor of stroke re habilitation outcome. Stroke. 1997:28(7):1382-1385. 

  15. Friedli WG. Cohen L.. Hallet M. et al. Postural ad-justments associated with rapid voluntary arm movements. II. Biomechanical analysi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8;51(2):232-243. 

  16. Garland SJ. Stevenson TJ, Ivanova T. Postural responses to unilateral arm perturbation in young. elderly, and hemiplegic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0)1072-77. 

  17. Gauthier J. Bourbonnais D. Filiatrault J, Gravel D, Arsenault AB. Characterization of contralateral torques during static hip efforts in healthy sub jects and subjects with hemiparesis. Brain. 1992:115(4): 1193-207. 

  18. Hodges PW, Richardson CA. Contraction of the abdominal muscles associated with movement of the lower limb. Phys Ther. 1997a;77(2):132-144. 

  19. Hodges PW, Richardson CA. Feedforward contrac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is not influenced by the direction of arm movement. Exp Brain Res. 1997b;114(2):362-370. 

  20. Hodges P. Cresswell A. Thorstensson A. Preparatory trunk motion accompanies rapid upper limb movement. Exp Brain Res. 1999:124(1):69-79. 

  21. Horak FB. Esselman P, Anderson ME. et al. The effects of movement velocity, mass displaced, and task certainty on associated postural adjustments made by noraml and hemiplegic individuals. J Neurl Neurosurg Psychiatry. 1984;47(9):1020-1028. 

  22. Hugon M, Massion J. Wiesendanger M. Anticipatory postural changes induced by active unloading and comparison with passive unloading in man. Pflugers Arch. 1982;393(4):292-296. 

  23. Marshall PW. Murphy BA. Core stability exercise on and off a Swiss ball. Arch Phys Med Rehabil. 2005;86(2):242-249. 

  24. Massion J. Movement, posture and equilibrium: Interaction and coordination. Prog Neurobiol. 1992;38(1):35-56. 

  25. Massion J. Postural control system. Curr Opin Neurobiol. 1994;4(6):877-887. 

  26. Massion J. Ioffe M. Schmitz C. et al. Acquisition of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s in a bimanual load-lifting task: Normal and pathological aspects. Exp Brain Res. 1999:128(1-2):229-235. 

  27. Nichols DS. Miller L, Colby LA et al. Sitting balance: Its relation to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1996;77(9):865-869. 

  28. Palmer E. Downes L, Ashby P. Associated postural adjustments are impaired by a lesion of the cortex. Neurology. 1996;46(2):471-475. 

  29. Perennou DA. Leblond C. Amblard B, et al. 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ion reduces neglect-related postural instability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1;82(4):440-448. 

  30. Perennou DA. Amblard B, Laassel M. et al. Understanding the pusher behavior of some stroke patients with spatial deficits: A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2;83(4):570-575, 

  31. Ramos CF. Stark LW. Postural maintenance during movement: simulations of a two joint model. Biol Cybern. 1990;63(5):363-375. 

  32. Rogers MW, Pai YC. Dynamic transitions in stance support accompanying leg flexion movements in man. Exp Brain Res. 1990:81(2):398-402. 

  33. Sackley CM, Baguly BI. Visual feedback after stroke with balance performance monitor: Two single case studies. Clin Rehabil. 1993;7(3):189-195. 

  34. Slijper H, Latash ML. Rao N. el al. Task-specific modulation of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s in individuals with hemiparesis. Clin Neurophysiol. 2002;113(5):642-655. 

  35. Tanaka S. Hachisuka K, Ogata H. Trunk rotatory muscle performance in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1997:76(5):366-369. 

  36. Tyler AE. Hasan Z. Qualitative discrepencies between trunk muscle activity and dynamic postural requirements at the initiation of reaching movements performed while silting. Exp Brain Res. 1995:107(1):87-95. 

  37. Verheyden G, Nieuwboer A. Merlin J. et al. The Trunk Impairment Scale: A new tool to measure motor impairment of the trunk after stroke. Clin Rehabil. 2004;18(3):326-334. 

  38. Verheyden G. Nieuwboer A. De Wit L. et al. Time course of trunk, arm, leg, and functional recovery after ischemic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8:22(2): 173-179. 

  39.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et al.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n Rehabil. 2006:20(5):451 -458. 

  40. Viallet F, Massion J. Massarino R. et al. Coordination between posture and movement in a bimanual load lifting task: Putative role of a medial frontal region including the supple mentary motor area. Exp Brain Res. 1992:88(3):674-684. 

  41. Zattara M. Bouisset S. Posturo-kinetic organisation during the early phase of voluntary upper limb movemets. 1 Normal subject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8;51(7):956-9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