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과 적정 조성추출물 및 그 발효물이 알콜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Medicinal Herb Extracts and Aqueous Fermented Extracts on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2, 2009년, pp.259 - 265  

이가순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김관후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성봉재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김현호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김미연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숙취해소효과가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25종의 열수추출물에 대하여 in vitro에서 ADH와 ALDH의 저해 및 활성작용이 우수한 약용식물 12종을 선발, 일정 비율로 혼합한 약용식물 추출액에 대하여 발효를 행한 후 in vitro 및 in vivo실험을 통하여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감초 -0.3%, 갈근 -3.2%, 구기자 -1.7%, 맥문동 4.8%, 속새 8.3%, 오가피 3.5%, 및 지구자 -2.1%를 보여 지구자를 비롯한 7종의 추출물이 90%이상의 강한 저해활성을 보였고, ALDH활성에서는 오가피가 166.3%로 활성이 가장 촉진되었고, 뒤이어 구기자, 속새 및 백복령도 1.5배 이상의 활성을 촉진하였으며 이 외에 맥문동, 인진쑥, 작약, 차전초, 지구자, 홍삼 및 흑두에서도 효소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갈근을 포함하여 약 10여종의 약용식물에서 130%이상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12종으로 조성 혼합된 약용식물 추출물에서는 ADH활성이 -20.22%인데 비하여 추출발효액은 -62.63%정도 ADH저해활성이 높았으며, ALDH활성은 추출물에서는 173.20%이었으며, 추출발효액은 280.17%로 ALDH활성이 추출액보다 약 1.6배가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흰쥐를 이용하여 약용식물 추출발효물의 숙취해소효과를 보기 위해 알코올 투여 후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알코올 섭취 후 3시간 경과시 추출 발효물 400 mg/kg 처리군이 시판 숙취개선음료 처리군보다 24.1% 정도 우수한 효능을 보였고, 추출발효물 공급 3시간 경과 시부터 7시간까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감소폭은 추출 발효물 400 mg/kg 처리군에서 -65.1%로 시판 숙취개선음료를 공급한 군에서 -57.5%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n effective anti-hangover product, hot-water extracts of 25 medicinal herbs were screened for inhibition or activation of alcohol dehydrogenase(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 and 12 herbs were selected for further study. Chosen medicinal herb extracts(CMHEs) were fermented b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한약재추출물 단독 혹은 한약재조성물에 대한 알코올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한 연구(22) 자료만 있을 뿐 발효액에 대한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발효를 통하여 생리기능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고 보고한 연구들이 나오고 있음을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25종의 한약재 열수추출물에서 ADH와 ALDH의 활성검토에 의한 숙취해소효과가 좋은 한약재를 조성하여 그 추출액에 발효과정을 거쳐 인체 내 흡수력을 높임과 동시에, 얻어진 발효액으로 알코올 숙취해소효과 상승정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 최근까지 대부분 약용식물의 열수 추출물이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한 보고들은 있으나, 추출물에 발효과정을 거쳐서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실험은 조성 혼합된 약용식물추출물은 대부분 맛 부분에서 기호도가 떨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추출물의 기호도를 향상시키고 숙취해소효과를 상승시키고자 발효를 행한 후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약용식물이 조성 혼합된 추출물에서는 ADH활성이 -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용식물 25종 중에서 ADH와 ALDH의 저해 및 활성작용이 우수한 약용식물 12종을 선발하여 일정 비율로 혼합한 약용식물 추출액에 대하여 발효한 후 in vitro 및 in vivo실험을 통하여 숙취 해소 효과를 검토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숙취해소효과가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25종의 열수추출물에 대하여 in vitro에서 ADH와 ALDH의 저해 및 활성작용이 우수한 약용식물 12종을 선발, 일정비율로 혼합한 약용식물 추출액에 대하여 발효를 행한 후in vitro 및 in vivo실험을 통하여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감초 -0.3%, 갈근 -3.2%, 구기자 -1.7%, 맥문동4.8%, 속새 8.3%, 오가피 3.5%, 및 지구자 -2.1%를 보여지구자를 비롯한 7종의 추출물이 90%이상의 강한 저해활성을 보였고, ALDH활성에서는 오가피가 166.3%로 활성이 가장 촉진되었고, 뒤이어 구기자, 속새 및 백복령도 1.5배 이상의 활성을 촉진하였으며 이 외에 맥문동, 인진쑥, 작약, 차전초, 지구자, 홍삼 및 흑두에서도 효소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갈근을 포함하여 약 10여종의 약용식물에서 130%이상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12종으로 조성 혼합된 약용식물 추출물에서는 ADH활성이 -20.22%인데 비하여 추출발효액은 -62.63%정도ADH저해활성이 높았으며, ALDH활성은 추출물에서는173.20%이었으며, 추출발효액은 280.17%로 ALDH활성이 추출액보다 약 1.6배가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흰쥐를 이용하여 약용식물 추출발효물의 숙취해소효과를 보기 위해 알코올 투여 후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알코올 섭취 후 3시간 경과시 추출 발효물 400 mg/kg 처리군이 시판 숙취개선음료 처리군보다 24.1% 정도 우수한 효능을 보였고, 추출발효물 공급3시간 경과 시부터 7시간까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감소폭은 추출 발효물 400 mg/kg 처리군에서 -65.1%로 시판숙취개선음료를 공급한 군에서 -57.5%를 나타냈다.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시 무슨 일이 발생하는가? 알코올은 현대인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급성 알코올성 숙취로 인한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은 업무능률 저하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해를 초래하고 있으며,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시에는 췌장염, 심근경색, 신경장애, 결핵 등의 장애가 나타나고 나아가 간조직의 구조 및 기능에 치명적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1-10).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ADH와 ALDH 활성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Lieber(5,6,8,9)에 의하면 알콜은 간에서 ADH, MEOS(microsomal ethabol oxidasing system) 및 peroxidase에 의하여 빠르게 acetaldehyde로 대사되는데 간에서 알콜이 주는 영향보다는 알콜대사물질인 acetaldehyde가 주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하였다. 따라서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acetaldehyde를 acetate로 산화시켜야만 aldehyde 축적과 그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기(21) 때문에 ADH와 ALDH활성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한약재추출물 단독 혹은 한약재조성물에 대한 알코올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한 연구(22) 자료만 있을 뿐 발효액에 대한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uskamoto, S., Muto, T., Nagoya, T., Shimamura, M., Saito, M. and Tainaka, H. (1989) Determination of ethanol, acetaldehyde and acetate in blood and urine during alcohol oxidation in man. Alcohol Alcoholism, 24, 101-108 

  2. Tuskamoto, S., Kanegae, T., Uchigasaki, S., Kitazawa, M., Fusioka, T., Fusioka, S., Imamura, Y., Nagoya, T., Shimamura, M. and Mieda, Y. (1993) Changes in free and bound alcohol metabolites in the urine during ethanol oxidation. Japan J. Alcohol Drug Dependence, 28, 441-452 

  3. Jerez, S.J. and Coviello, A. (1998) Alcohol drinking and blood pressure among adolescents. Alcohol, 16, 1-5 

  4. Nagaya, T., Yoshida, H., Takahashi, H., Matsuda, Y. and Kawai, M. (1999) Dose-response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and serum tests in Japanese men aged 40~59 years. Alcohol, 17, 133-138 

  5. Lieber C.S. (1982) Medical disorders of alcoholism:pathogenesis and treatment. Philadelphia Saunders 53-56 

  6. Lieber C.S., Garro A, Leo MA, Mak K.M. and Wornor T. (1986). Alcohol and cancer. Hepatology 6, 1005-1019 

  7. Lieber C.S. (1994) Alcohol and liver update. Gastroenterology, 106, 1085-1090 

  8. Lieber C.S. (1995) Medical disorders of alcoholism. New England J. Med., 133, 1058-1065 

  9. Lieber C.S. (2004) Milestones in liver disease. J. Hepatology, 40, 198-202 

  10. Xu B.J., Zheng Y.N. and Sung C.K. (2005) Natural medicines for alcoholism treatment: a review. Drug Alcohol Rev., 24, 525-536 

  11. Swift R. and Davidson D. (1998) Alcohol hangover, mechanism and mediators. Alcohol Health Res. World, 22, 54-60 

  12. Lee H.J. and Lee K.M. (1999) Screening of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ors from natural products. J. Korean Soc. Pharm., 43, 481-486 

  13. Moon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H., Park J.W., Park I.B., Kim S.W., Kang S.G., Park Y.K. and Jung S.T. (2004) Activities of antioxidation and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Preserv., 11, 201-206 

  14. Kweon M.H., Hwang H.J. and Sung H.C. (2001)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d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 (Phyllostachys edulis). J. Agri. Food Chem., 49, 4646-4655 

  15. Hwang J.Y., Ham J.W. and Nam S.H.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9-332 

  16. Jo Y.O., Koo S.J., Choi I.S., Kong Y.H. and, Choi S.Y. (2007) Effects of Camellia sinensis extracts on the antioxidant system and alcohol down-regulation enzymes in sub-acute ethanol treated ICR mice. Korean J. Soc. Food Sci. Nutr., 36, 1134-1139 

  17. Song I, Choi I.S., Yoon H.K. and Koo S.J. (2005) The effect of Camellia sinensis LINNE on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in normal healthy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591-598 

  18. Lee M.K., Kim Y.G., An S.W., Kim M.H., Lee J.H. and Lee H.Y. (1999) Biological activity of Hovenia dulcis Thunb. Korean J. Med. Crop Sci., 7, 185-192 

  19. Park E.M., Ye E.J., Kim S.J., Choi H.I. and Bae M.J. (2006) Eliminatory effect of health drink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Korean J. Food Cult., 21, 71-75 

  20. McGregor N.R. (2007) Pueraria lobata(Kudzu root) hangover remedies and acetaldehyde-associated neoplasm risk. Alcohol, 41, 469-478 

  21. Kim C.I. (1999) Cause and effect of hangover. Food Ind. Nutr., 4, 26-30 

  22. Yang D.S., Hong S.G., Choi S.M., Kim B.N., Sung H.J. and Yoon Y.S. (2004) Effect of an oriental herbal composition, Jang baek union(JBU), on alcohol-induced hangover and CCl4-induced liver injury in rat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3, 78-82 

  23. Yu H.E., Lianiza M.M.D.P., Bae Y.J., Lee D.H., Park J.S., Kwak H.S., Kim H.K. and Lee J.S. (2005) Screening and extraction condition of antiaging bioactive substances from medicinal plant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4, 1136-1142 

  24. Choi J.T., Joo H.K. and Lee S.K. (1995) The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on alcohol ferment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gric. Chem. Biotechnol., 38, 278-282 

  25. Racker E. (1955) Alcohol dehydrogenase from bakers yeast. Methods of Enzymology, 1, 500-506 

  26. Tottmar S.O., Petterson H. snd Kiessling K.H. (1973) The subcellular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aldehyde dehydrogenase in rat liver. J. Biochem., 135, 577-581 

  27. Kim J.S. (2004) Effect of a alcohol detoxification beverage (ADB) contained Radix puerariae and Banbusae caules in Liquamen Phyllostachyos on the alcohol administered mouse. Korean J. Soci. Food Sci. Nutr., 33, 318-323 

  28. Yu T.S., Choi H.J. and Yoon C.G. (2003) Effect of Monascus pigment extract on the alcohol metabolism in rat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2, 603-607 

  29. Shumate R.P., Crowther R.F. and Zaraafshan H. (1967) A study of the metabolism rates of alcohol in the human body. J. Forensic Med., 14, 83-1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