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민들레즙이 알코올 섭취 후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기능 보호와 숙취해소 효과를 가진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평균 주량이 소주 1병 이상으로 술을 즐겨 마시는 건강한 20대 식품전공 남자 대학생 9명을 선정하여 개인차를 없애기 위해 실험 시작 전 1주일 간 금주를 시켰으며 시험에 앞서 임상대상자들에게 본 연구에 대해 충분히 숙지시킨 후 안정된 분위기에서 시험을 cross over design으로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매일 민들레즙 220 mL씩 1주일간 보충시킨 후 각각 20% 에탄올을 함유한 소주 360 mL씩 (에탄올 함량 72 g)을 섭취시켰다. 술은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1시간 내에 다 마시게 하였으며 두 번의 실험 사이에는 2주간의 wash-out period를 가졌다.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알코올 섭취 후 혈중 HDL-C 농도가 유의적으로 (p<0.01) 증가하였으며 LDL-C 농도는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ADH와 ALDH 활성을 향상시켜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다소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항산화능지질과산화 정도는 민들레즙 보충에 따른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는 알코올 섭취 후 다소 지질과산화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적혈구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은 GSH-red와 catalase 활성이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알코올 섭취로 인한 임파구의 DNA 손상정도는 민들레즙의 보충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알코올에 의한 임파구DNA 손상을 다소 억제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동안과 술 마신 다음날에 나타나는 숙취증상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각 문항에서 민들레즙 보충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민들레즙 보충이 알코올 섭취 후 HDL-C 농도를 증가시켰고 ALDH 활성을 향상시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키며 GSH-red와 catalase 활성을 증가시켜 체내에서 알코올에 의한 산화과정이나 지질과산화 생성을 다소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민들레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물질이 숙취해소와 간 기능 보호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민들레즙이 알코올에 의한 간 기능 보호, 숙취해소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진 기능성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on attenuation of oxidative stress and hangover after drinking alcohol in healthy college male students. This human trial was conducted by two phase cross over design with two weeks wash out period. The subjects (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Gene expressions of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on erythrocyte GSH-red and catalase activities in the subjects.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민들레즙이 알코올 섭취 후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대상자들의 혈중 생화학적 지표와 적혈구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 및 임파구의 DNA 손상정도를 분석하고 숙취에 관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기능 보호와 숙취해소 효과를 가진 소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민들레즙이 알코올 섭취 후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기능 보호와 숙취해소 효과를 가진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평균 주량이 소주 1병 이상으로 술을 즐겨 마시는 건강한 20대 식품전공 남자 대학생 9명을 선정하여 개인 차를 없애기 위해 실험 시작 전 1주일 간 금주를 시켰으며 시험에 앞서 임상대상자들에게 본 연구에 대해 충분히 숙지 시킨 후 안정된 분위기에서 시험을 cross over design으로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들레즙이 알코올 섭취 후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서 총 항산화능과지질과산화 정도는 어떠했는가? 01) 증가하였으며 LDL-C 농도는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ADH와 ALDH 활성을 향상시켜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다소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항산화능과지질과산화 정도는 민들레즙 보충에 따른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는 알코올 섭취 후 다소 지질과산화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적혈구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은 GSH-red와 catalase 활성이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유의적으로(p<0.
민들레의 효능은? 민들레로 알려진 Taraxacum 속 몇몇 식물은 유방 및 자궁암과 같은 여성 질환과 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전통적인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1). 민들레는 간, 췌장, 위장의 기능을 개선하고 주로 이뇨제로, 동시에 혈액과 간의 청소부로서 역할을 한다(2). 민들레의 활성물질은 담즙분비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혈청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TG) 수준을 감소시키며 대부분의 생리적 활성 성분은 sesquitterpenic lactones, biotin, inositol, 비타민 B, C, D, E와 P이며 민들레 잎에는 당근보다 더 많은 β-carotene을, Fe과 Ca은 시금치보다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2).
민들레의 활성물질이 혈청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TG) 수준을 감소시키는 요인은? 민들레는 간, 췌장, 위장의 기능을 개선하고 주로 이뇨제로, 동시에 혈액과 간의 청소부로서 역할을 한다(2). 민들레의 활성물질은 담즙분비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혈청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TG) 수준을 감소시키며 대부분의 생리적 활성 성분은 sesquitterpenic lactones, biotin, inositol, 비타민 B, C, D, E와 P이며 민들레 잎에는 당근보다 더 많은 β-carotene을, Fe과 Ca은 시금치보다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2). 건조한 민들레의 잎과 뿌리는 특히 폴리페놀화합물 중 플라보노이드, 루테올린, 시나믹산, 쿠마린, 타락사스테롤 등의 성분 및 엽록소와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Jeon HJ, Kang HJ, Jung HJ, Kang YS, Lim CJ, Kim YM, Park EH. 2008.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araxacum officinale. J Ethnopharmacol 115: 82-88 

  2. Hudec J, Burdova M, Kobida L, Komora L, Macho V, Kogan G, Turianica I, Kochanova R, Lozek O, Haban M, Chilebo P. 2007. Antioxidant capacity changes and phenolic profile of Echinacea purpurea, nettle (Urtuca dioica L.) and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after application of polyamine and phenolic biosynthesis regulators. J Agric Food Chem 55: 5689-5696 

  3. Williams CA, Goldstone F, Greenham J. 1996. Flavonoids, cinnamic acids and coumarins from the different tissues and medical preparations of Taraxacum officinale. Phytochemistry 42: 121-127 

  4. Ko BS, Jang JS, Hong SM, Kim DW, Sung SR, Park HR, Lee JE, Jeon WK, Park S. 2006. Effect of new remedies mainly comprised of Hovenia dulcis Thumb on alcohol degredation and liver protection in Sprague Dawley male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24-834 

  5. Lieber CS. 1994. Alcohol and liver. Gastroenterology 106: 1085-1090 

  6. Kim CI. 1999. Cause and effect of hangover. Food Ind Nutr 4: 26-30 

  7. Song I, Choi IS, Yoon HK, Koo SJ. 2005. The effect of Camellia sinensis LINNE on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in normal healthy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591-598 

  8. Shin JH, Lee SJ, Choi DJ, Kang MJ, Sung NJ. 2008. Antioxidant and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abalone containing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182-187 

  9. Das SK, Vasudevan DM. 2007.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Life Sci 81: 177-187 

  10. Pembeton PW, Smith A, Wames TW. 2005. Non-activasive monitoring of oxidant stress in alcoholic liver disease. Scand J Gastroenterol 40: 1102-1108 

  11. Albano E. 2002. Free-radicals and alcohol-induced liver injury. In Ethanol and liver. Sherman CDIN, Preedy VR, Walsin PR, eds. Taylor and Francis, London, UK. p 153- 190 

  12. Ahn YT, Bae JS, Kim YH, Lim KS, Huh CS. 2005. Effects of fermented milk intake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s in alcohol treated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31-635 

  13. Social Statistics Survey. 2006.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 

  14.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valuation Survey. 2008.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 

  15. Health Data. 2008.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6.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17. Erel O. 2004. A novel automated method to measure total antioxidant response against potent free radical reaction. Clin Biochem 37: 112-119 

  18.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In Methods in Enzymology. Fleischer S, Packer L, ed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Vol 52, p 302-306 

  19.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antioxidant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20. Aebi H. 1984. Catalase in vitro. Methods Enzymol 150: 121-126 

  21. Inger C, Bengt M. 1985. In Methods in Enzymology. Fleischer S, Packer L, ed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Vol 113, p 484-490 

  22.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s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n Biochem 72: 248-254 

  23. Cho HC, Park JH, Lee SH. 1974. The effects of compound of aconite and sulfur on hangover syndrome. New Med J 17: 1115-1120 

  24. Lee EH, Chyun JH. 2007. Effects of chongkukjang intake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ethanol consumed rats. Korean J Nutr 40: 684-692 

  25. Song Z, Deaciuc I, Song M, Lee DYW, Liu Y, Ji X, McClain C. 2006. Silymarin protects against acute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Alcohol Clin Exp Res 30: 404-413 

  26. Eaton S, Record CO, Bartlett K. 1997. Multiple biochemical effects in the pathogenesis of alcoholic fatty liver. Eup J Clin Invest 27: 719-722 

  27. Yang DS, Hong SG, Choi SM, Kim BN, Sung HJ, Yoon Y. 2004. Effect of an oriental herbal composition, Jang Beak Union (JBU), on alcohol-induced hangover and $CCl_4$ -induced liver injur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8-82 

  28. Park SM, Kang BK, Chung TH. 1998. The effect of mildronate on serum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syndro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68-174 

  29. Lieber CS. 1997. Ethanol metabolism, cirrhosis and alcoholism. Clin Chim Acta 257: 59-84 

  30. Thruman RG, Bradford B, Iimuro Y, Knecht K, Connor H, Adachi Y, Wall C, Arteel G, Releigh J, Forman D, Mason RP. 1997. Role of Kupffer cells, endotoxin and free radicals in hepatotoxicity due to prolonged alcohol consumption: studies in female and male rats. J Nutr 127: 903S-906S 

  31. Nordmann R, Ribiere C, Rouach H. 1992. Implication of free radical mechanisms in ethanol-induced cellular injury. Free Radic Biol Med 12: 219-248 

  32. Ito M, Ohishi K, Yoshida Y, Yokoi W, Sawada H. 2003. Antioxidativ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the colonic mucosa of iron-overloaded mice. J Agric Food Chem 51: 4456-4460 

  33. Rouach H, Fataccioli V, Gentil M, French SW, Morimoto M, Nordimann R. 1997. Effect of chronic ethanol feeding on lipid peroxidation and protein oxidation in relation to liver pathology. Hepatology 25: 351-355 

  34. Kim MJ, Park EM, Lee MK, Cho SY. 1997. Effect of methionine and selenium levels on alcohol metabolic enzyme syste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19-326 

  35. Kim HY, Park YK, Lim TS, Kang MH. 2006. The effect of green vegetable drink supplementation on cellular DNA damage and antioxidant status of Korean smokers. Korean J Nutr 39: 18-27 

  36. Mary N, Monhankumar S, Janari B, Karthikeya Prabhu PR, Vivek Kumar RKJ. 2002. DNA damage and integrity of UV-induced DNA damage in lymphocytes of smokers analysed by the comet assay. Mutat Res 520: 179-187 

  37. Porrini M, Riso P, Oriani G. 2002. Spinach and tomato consumption increases lymphocyte DNA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but this is not related to cell carotenoid concentrations. Eur J Nutr 41: 95-100 

  38. Collins AR, Harrington V, Drew J, Melvin R. 2003. Nutritional modulation of DNA repair in a human intervention study. Carcinogenesis 24: 511-515 

  39. Bub A, Watzl B, Blackhaus M, Briviba K, Leigibel U, Muller H, Pool-Zobel BL, Recjkemmer G. 2003. Fruit juice consumption modulates antioxidative status, immune status and DNA damage. J Nutr Biochem 14: 90-98 

  40. Hakim IA, Harris RB, Brown S, Sherry CHH, Wisman S, Agawal S, Talbot W. 2003. Effect of increased tea consumption on oxidative DNA damage among smoker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 Nutr 133: 3303s-3309s 

  41. Park EM, Ye EJ, Kim SJ, Choi HI, Bae MJ. 2006. Eliminatory effect of health drink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 71-75 

  42. Hwang JY, Ham JW, Nam SH.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9-3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