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화 촉진 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무의 건조방법, 온도, pH 등의 가공조건이 ${\alpha}$-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동결건조 한 무 뿌리와 무 줄기의 ${\alpha}$-amylase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무 뿌리가 무 줄기의 3.1배 높은 수준의 활성을 보였다. 무를 pH와 온도를 달리하여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pH 범위가 $4{\sim}7$이며 온도가 $25{\sim}40^{\circ}C$일 때 ${\alpha}$-amylase 활성이 높았다. 무의 ${\alpha}$-amylase는 산성이나 중성 조건에서 처리하고 $60^{\circ}C$ 이하의 온도로 가열처리하여야 활성을 유지하였다. 무를 깍두기와 단무지의 형태로 가공하였을 때 무의 ${\alpha}$-amylase 잔류활성은 각각 15.39%와 19.193%이었고 초절임무에서는 ${\alpha}$-amylase의 활성이 대부분 소실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무의 소화효소인 ${\alpha}$-amylase 활성은 열과 pH등의 가공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6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과 중성이나 약산성에서 ${\alpha}$-amylase 효소의 활성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alpha}$-amylase activity of radish were investigated at various temperatures, pHs and drying conditions. The ${\alpha}$-amylase activity of radish root was 3.1-fold higher than that of radish trunk. As the freeze-dried radish wa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의 가공중의 α-amylase 활성변화를 조사하였다.
  • 소화 촉진 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무의 건조방법, 온도, pH 등의 가공조건이 α-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의 건조방법, 온도, pH 등의 가공조건이 α-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은무엇인가? 소화 촉진 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무의 건조방법, 온도, pH 등의 가공조건이 α-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동결건조 한 무 뿌리와 무 줄기의 α-amylase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무 뿌리가 무 줄기의 3.1배 높은 수준의 활성을보였다. 무를 pH와 온도를 달리하여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pH 범위가 4~7이며 온도가 25~40oC일 때 α-amylase 활성이 높았다. 무의 α-amylase는 산성이나 중성 조건에서 처리하고 60oC 이하의 온도로 가열처리하여야 활성을 유지하였다. 무를 깍두기와 단무지의 형태로 가공하였을 때 무의 α-amylase 잔류활성은 각각 15.39%와 19.193%이었고 초절 임무에서는 α-amylase의 활성이 대부분 소실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무의 소화효소인 α-amylase 활성은 열과 pH 등의 가공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60oC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과 중성이나 약산성에서 α-amylase 효소의 활성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의 특징은? 무(Raphanus sativus L.)는 겨자과 또는 십자화과(Brassicaceae)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쌍떡잎식물로, 배추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대량 소비 되는 2대 채소 중의 하나이다(1). 현재까지 무에 대한 연구로는 대부분이 품종별, 계절별로 재배된 무의 이화학적인 특성과 깍두기나 동치미 등의 김치 발효에 관한 연구(2,3), 무에서 추출한 myrosinase의 분자량과 효소적 특성에 관한 연구(4,5)와 일부 기능성 성분에 관한 연구(6)가 보고되었다.
국민소득의 증가로 무의 수요 변화는? 국민소득의 증가로 식생활이 다양해지면서 식용으로 무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무(Raphanus sativus 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003. Dictionary of Food Cookery Science. Kyomunsa, Korea. p 100-101 

  2. Lee SE. 2006. Investigation of cooking usage according to the physiochem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in Nabakkimchi with different radish cultivars. Korean J Culinary Res 12: 284-298 

  3. Ryu KD, Chung DH, Kim JK. 2000. Comparison of radish cultivars for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Kakdugi preparation. Korea J Food Sci Technol 32: 681-690 

  4. Kim MR, Lee HS. 1989.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adish myrosin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136-144 

  5. Sim KH, Kang KS, Seo KI. 1993. Purification and enzymatic properties of myrosinase abstracted from radish. J Korean Agric Chem Soc 36: 86-92 

  6. Pack YK, Kim MH, Park MY, Kim SR, Choe IW. 1999.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urnip. J Korean Soc Food Sci 16: 568-576 

  7. You TJ. 1993. Source Book of Food. Seo-Woo, Seoul. p 168-169 

  8. Woon BS, Lee KS. 1985. Food Ingredients. Su-Hak Sa, Seoul. p 83-84 

  9. Cho JS. 1987. Food Ingredients. Moon-Un Dang, Seoul. p 150-151 

  10. Kim CM, Beak WS, Kang CG. 2001. Chinese Pictorial Book. Academy Books, Seoul. p 123 

  11. 한국식품공업협회 한국식품연구소. 1994.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식물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공업협회. p 71 

  12. Chi HJ. 1998. Chinese Standard Annotation. Korea Medical Index Corp., Seoul. p 142 

  13. Baek HH, Lee CH, Woo DH, Park KH, Pek UH, Lee KS, Nam SB. 1989. Prevention of pectinolytic softening of Kim-chi tissue.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149-153 

  14. Park HO, Kim KH, Yoon S. 1990.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pectinesterase polygalactyronase and peroxidase in Kimchi materials. Korean J Dietary Culture 5: 443-448 

  15. Robyt JF. 1984. Starch. Academic Press, New York. p 87-118 

  16. Kim YS. 1983. Studies on the producing amylase by the Aspergillus sp. MS Thesis. Jungang University. p 1-30 

  17. Bergmeyer HU, Bernt E. 1974. Determination of glucose oxidase and peroxidase.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Bergmeyer HU, ed. Academic Press, New York, San Francisco and London. p 1205-1215 

  18. Chung S, Hwang B. 1996. Characterization of Alternaria alternata $\alpha$ -amylase. Korean J Mycology 24: 8-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