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체분변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 pentosus Miny-148의 생균제 특성 연구
Probiotic Property of Lactobacillus pentosus Miny-148 Isolated from Human Fec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5 no.2, 2009년, pp.177 - 184  

정민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  박용하 (영남대학교 응용미생물학과) ,  김현수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  부하령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  장영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수한 생균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안전성이 알려진 유산균을 대상으로 인체의 분변으로부터 300여 균주를 분리하고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 항균력, 항암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균주들을 선발하여 생균제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체에서 분리한 여러 균주 중 Miny-148 균주는 낮은 pH 및 높은 담즙산에 대한 내성, 열처리에 대한 열안정성을 지녀 기초적인 probiotic 특성을 가진 균주로 선발되어, Lactobacillus pentosus (99.9% 상동성)로 동정되었다. 항균력 실험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을 비롯한 Shigella flexneri, Bacillus anthracis,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Vibrio cholerae, V. vulnificus,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및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균주 8종 등 총 16종의 병원성세균을 억제하였다. 또한 Miny-148은 결장암 세포인 HT-29 cell을 억제하였을 뿐 아니라,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의 생육을 저해하여 세포변성 억제효과를 가진 우수한 probiotic 특성을 지닌 균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hundred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uman feces were studied their probiotic characters to develop potential probiotics. The properties were tested on the basis of guideline for probiotic selection protocol such as tolerance for acid or bile salt, thermal stability, antimicrobial, an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우수한 생균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안전성이 알려진 유산균을 대상으로 인체의 분변으로부터 300여 균주를 분리하고 항균력을 보인 균주들을 선발하여, 생균제로서 갖춰야 할 기본적인 생균제 특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균제와 상대적인 개념을 가진 용어는? 생균제(probiotics)는 항생제(antibiotics)에 상대적인 개념을 가진 용어로서, 숙주인 인체나 가축에 투여되어 여러 가지 우호적인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미생물 및 대사물질을 함유하는 제제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2, 6). 주요한 특징으로서 장내세균총 개선, 항생물질 생산, 질병에 대한 저항력 증대, 유해세균의 억제, 부패 독성물질의 생성억제, 비타민 합성, 면역체계 강화 등이 보고되고 있다(2, 6, 9, 17, 22).
생균제의 주요한 특징으로 어떤 기능이 있는가? 생균제(probiotics)는 항생제(antibiotics)에 상대적인 개념을 가진 용어로서, 숙주인 인체나 가축에 투여되어 여러 가지 우호적인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미생물 및 대사물질을 함유하는 제제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2, 6). 주요한 특징으로서 장내세균총 개선, 항생물질 생산, 질병에 대한 저항력 증대, 유해세균의 억제, 부패 독성물질의 생성억제, 비타민 합성, 면역체계 강화 등이 보고되고 있다(2, 6, 9, 17, 22). 생균제는 축산분야에서 주로 양돈을 비롯한 가축의 생산성 향상과 육질개선 등의 전통적인 목적에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엔 농장 내 악취제거나 분뇨 처리 등 환경개선 목적으로 사용되는 등 그 활용 추세에 변화를 보이고 있다(2, 17).
생균제란? 생균제(probiotics)는 항생제(antibiotics)에 상대적인 개념을 가진 용어로서, 숙주인 인체나 가축에 투여되어 여러 가지 우호적인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미생물 및 대사물질을 함유하는 제제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2, 6). 주요한 특징으로서 장내세균총 개선, 항생물질 생산, 질병에 대한 저항력 증대, 유해세균의 억제, 부패 독성물질의 생성억제, 비타민 합성, 면역체계 강화 등이 보고되고 있다(2, 6, 9, 17, 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ricault, L., G. Denariaz, J.J. Houri, C. Bouley, C. Sapin, and G. Trugnan. 1995. Use of HT-29, a cultured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to study the effect of fermented milks on colon cancer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Carcinogenesis 16, 245-252 

  2. Berg, R.D. 1998. Probiotics, prebiotics or conbiotics. Trends Microbiol. 6, 89-92 

  3. Bezkorovainy, A. 2001. Probiotics: determinants of survival and growth in the gut. Am. J. Clin. Nutr. 73, 399S-405S 

  4. Byun, J.W., G.T. Kim, H.S. Bae, Y.J. Baek, and Y.K. Lee. 2000. In vitro sel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or probiotic use in pigs. Korea J. Vet. Res. 40, 701-706 

  5. Casey, P.G., G.D. Casey, G.E. Gardiner, M. Tangney, C. Stanton, R.P. Ross, C. Hill, and G.F. Fitzgerald. 200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Salmonella lactic acid bacteria from the porcine gastrointestinal tract. Lett. Appl. Microbiol. 39, 431-438 

  6. Chang, Y.H., J.K. Kim, H.J. Kim, W.Y. Kim, Y.B. Kim, and Y.H. Park. 2001. Selection of a potential probiotic Lactobacillus strain and subsequent in vivo studies. Antonie Van Leeuwenhoek 80, 193-199 

  7. Chang, Y.H., J.K. Kim, H.J. Kim, J.H. Yoon, W.Y. Kim, Y.W. Choi, W.J. Lee, Y.B. Kim, and Y.H. Park. 1999.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reuterii BSA -131 isolated from swine intestin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 23-27 

  8. Cho, M.K., K. Kim, C.H. Kim, T.K. Lee, and K.Y. Kim. 200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fermentum YL-3 as a poultry probiotic.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8, 279-284 

  9. Foligne, B., S. Nutten, C. Grangette, V. Dennin, D. Goudercourt, S. Poiret, J. Dewulf, D. Brassart, A. Mercenier, and B. Pot. 2007. Correlation between in vitro and in vivo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World J. Gastroenterol. 13, 236-243 

  10. Gallagher, T.M. and M.J. Buchmeier. 2001. Coronavirus spike proteins in viral entry and pathogenesis. Virology 279, 371-374 

  11. Gram, L., J. Melchiorsen, B. Spanggaard, I. Huber, and T.F. Nielsen. 1999. Inhibition of Vibrio anguillarum by Pseudomonas fluorescens AH2, a possible probiotic treatment of fish. Appl. Environ. Microbiol. 65, 969-973 

  12. Ha, C.G., J.K. Cho, Y.K. Chai, and K.C. Heo.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bacteria containing superior activity of the bile salts deconjugation. Kor. J. Food Sci. Ani. Resour. 24, 164-170 

  13. Kim, K., K.L. Jang, C.H. Kim, and K.Y. Kim. 2002.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and encapsulation of Lactobacillus fermentum YL-3 for probiotics. Kor. J. Food Sci. Technol. 34, 255-262 

  14. Kim, P.I., M.Y. Jung, Y.H. Chang, S. Kim, S.J. Kim, and Y.H. Park. 2007.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strains isolated from porcine gastrointestinal tract. Appl. Microbiol. Biotechnol. 74, 1103-1111 

  15. Kim, Y.G., J.T. Moon, K.M. Lee, N.R. Chon, and H. Park. 2006. The effects of probiotics on symptom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Korean J. Gastroenterol. 47, 413-419 

  16. Koga, T., T. Mizobe, and K. Takumi. 1998.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species against Vibrio species. Microbiol. Res. 153, 271-275 

  17. Lee, E.Y. 2008. Problems and verification system of probiotics as livestock-environment improving agent produced and circulated.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87-95 

  18. O'Sullivan, M.A. and C.A. O'Morain. 2000. Bacterial supplementation in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study. Dig. Liver Dis. 32, 294-301 

  19. Reed, M.J. and M. Muench. 1938.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fifty percent endpoints. Am. J. Hygiene 27, 493-497 

  20. Ringel-Kulka, T. and Y. Ringel. 2007. Probiotic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has the time arrived? Gastroenterology 132, 813-816 

  21. Ringel, Y., A.D. Sperber, and D.A. Drossman. 2001. Irritable bowel syndrome. Annu. Rev. Med. 52, 319-338 

  22. Rosenfeldt, V., E. Benfeldt, S.D. Nielsen, K.F. Michaelsen, D.L. Jeppesen, N.H. Valerius, and A. Paerregaard. 2003. Effect of probiotic Lactobacillus strains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111, 389-395 

  23. Saggioro, A. 2004. Probiotics in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J. Clin. Gastroenterol. 38(6 Suppl), S104-106 

  24. Sartor, R.B. 2001. Intestinal microflora in human and experimental inflammatory bowel disease. Curr. Opin. Gastroenterol. 17, 324-330 

  25. Sartor, R.B. 2008. Microbial influence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Gastroenterology 134, 577-594 

  26. Shah, G.D., J.S. Silver, S.S. Rosenfeld, I.T. Gavrilovic, L.E. Abrey, and A.B. Lassman. 2007. Myelosuppression in patients benefiting from imatinib with hydroxyurea for recurrent malignant gliomas. J. Neurooncol. 85, 217-222 

  27. Shin, M.S., H.M. Kim, G.T. Kim, C.S. Huh, H.S. Bae, and Y.J. Baek. 1999. Sel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solated from Korean feces. Kor. J. Food Sci. Technol. 31, 495-501 

  28. Sinn, D.H., J.H. Song, H.J. Kim, J.H. Lee, H.J. Son, D.K. Chang, Y.H. Kim, J.J. Kim, J.C. Rhee, and P.L. Rhee. 2008. Therapeutic effect of Lactobacillus acidophilus-SDC 2012, 2013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Dig. Dis. Sci. 53, 2714-2718 

  29. Weese, J.S., M.E. Anderson, A. Lowe, R. Penno, T.M. da Costa, L. Button, and K.C. Goth. 2004. Screening of the equine intestinal microflora for potential probiotic organisms. Equine Vet. J. 36, 351-3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