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BL 수업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 능력 차이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Problem-Solving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Students with Low Level of Self-efficac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2 no.4, 2009년, pp.30 - 37  

신민희 (서울산업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검증해 보는 것이었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와 낮은 학습자의 PBL수업 후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PBL 수업에서의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파악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환경공학과 '환경기기분석'을 수강했던 3학년 7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PBL 활동을 시작하기 전 자기효능감 검사를 통해 나온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30%와 하위 30%의 학생들을 각각 선정하였고, 이들에게 문제해결 능력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12주간의 PBL활동이 마무리 된 후 같은 학생들에게 사후 문제해결검사를 배포하고 완성하도록 요구하였다. 교정된 문제해결 능력 성취 수준이 자기효능감 상집단과 하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은 유의 확률 .002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F=.11303, p<.01). 즉, 자기효능감 상집단의 평균(3.817)이 자기효능감 하집단의 평균(3.496)보다 높아 자기효능감은 문제해결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BL 수업과정에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켜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problem-solving ability according to student's level of self-efficacy. Participants were 72 junior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Environmental Instrumental Analysis'. Before the PBL activities, students were given the self-efficacy tests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에서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검증해 보는 것이다. PBL 수업 후 문제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전 문제해결 능력의 효과를 통제한 후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문제해결 능력 성취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학생들이 실제로 PBL수업전 가지고 있었던 문제해결능력의 영향을 제거한 후 순수한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PBL 수업에서의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PBL 수업을 위한 전략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 더구나 지금까지 발표된 공학교육 영역의 PBL 관련 연구들은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효과를 여러 방면에서 보고하고 있지만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 능력과의 관계를 탐색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Dunlap, 2005).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에서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검증해 보는 것이다. PBL 수업 후 문제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전 문제해결 능력의 효과를 통제한 후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문제해결 능력 성취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총 12주 동안 진행되었다. 2주차에 PBL 활동을 위한 15개의 팀이 구성되었고 한 팀에는 4-6명의 학생들이 포함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 PBL수업에서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의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이었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 상집단과 하집단의 수업 전 문제해결능력을 통제한 사후 문제해결 능력에는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및 그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소재 공과중심 대학교 환경공학과 3학년 72명(여학생 29명, 남학생 43명)의 학생들로 선정되었다.
  • PBL 수업 후 문제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전 문제해결 능력의 효과를 통제한 후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문제해결 능력 성취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학생들이 실제로 PBL수업전 가지고 있었던 문제해결능력의 영향을 제거한 후 순수한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PBL 수업에서의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PBL 수업을 위한 전략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학 설계는 무엇을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교과목인가? 실제로, 공학교육인증 평가는 성과 중심 교육 및 수요자 중심교육을 강조하면서 설계교과목을 위한 필수학점 이수를 요구하고 있다. 공학 설계는 “개방형 문제의 해결안을 찾기 위해 모든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며 종합적인 인지능력을 사용하는 교육적 경험”(ABET, 2008) 을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교과목으로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과 현실 제한 조건을 고려한 종합적인 공학 설계 능력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공학 인증 제도를 실천하고 있는 대학교육에서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종합력을 키울 수 있는 학습자 중심 교육방법의 도입과 운영은 매우 필요한 일이 되었다.
산업사회에서 지식기반 사회로의 전환은 공학도들에게 무엇을 요구하는가? 산업사회에서 지식기반 사회로의 전환은 공학도들에게 전공 지식과 기술의 습득 및 적용을 넘어선 복합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요구한다. 또한, 지식과 기술의 빠른 변화와 발전으로 졸업생들이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그대로 활용하여 현장 업무를 수행하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어떤 자세로 학습에 참여하는가? 또한, 도전적인 학습상황에 부딪혔을 때 쉽게 포기 하지 않게 하는 힘이 된다. 자기 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자신의 발전과 지식의 증가와 같은 내적인 동기를 가지고 학습에 참여한다. 또한,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신념을 보이기 위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쉽게 좌절하지 않고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기울이는 경향을 보인다(Schmitt & Newby, 1986; Bandura, 1997; Schunk,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소연.조형희.홍종일.김의준.박성은(2005). 공학교육에서의 PBL 수업의 효과 연구, 공학교육연구, 8(2) : 24-34 

  2. 김아영(1997). 학구적 실패내성의 관련변인. 교육심리연구, 11(2) : 1-19 

  3. 김아영.차정은(1996).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한국교육학회지, 23(1) : 1-35 

  4. 신회덕(2007).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 광운대학교 정보 복지대학원 

  5. 최정임(2004). 사례분석을 통한 PBL의 문제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20(1) : 37-61 

  6. 최정임(2007).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 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3(2) : 35-61 

  7. 허남조(2006). 문제중심학습이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8. ABET Engineering Accreditation Commission. (2008). 2009-2010 Criteria for Accrediting Engineering Programs. From ABET Engineering Accreditation Commission web Site, http://www.abet.org/forms.shtml 

  9. Bandura, A.(1977) Self-effica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 191-215 

  10.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1.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2. Barrows, H. S.(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New York: Springer 

  13. Black, K., Trudy, B., & Kline, K.(2002). Evidence for and against Problem Based Learning. Newsletter for Undergraguate Problem Based Learning, 3(3) : 2-11. Stanford University 

  14. Dick, W.(1995). The Dick and carey model: Will it survive the decad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44(3) : 53-63 

  15. Distlehorst, L. H., & Robbs, R. S.(1998). A comparison of problem-based learning and standard curriculum students: Three years of retrospective data.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10(3) : 131-137 

  16. Dochy, F. J. R. C., Segers, M. S. R., Bossche, P. G. C., & Gijbels, D.(2003).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A meta-analysis. Learning and Instruction, 13(5) : 533-568 

  17. Dunlap(2005).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efficacy: How a capstone course prepares students for a profession. ETR&D, 53(1) : 65-85 

  18. Heppner, P. P. & Petersen, C. H.(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1) : 66-75 

  19. Hmelo, C. E.(1995).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development of medical expertise. Paper presented at AERA annual meeting. April. San Francisco, CA 

  20. Hmelo-Silver, C. E.(2004). Problem-based learning: What and how do students lear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6(3) : 235-266 

  21. Jonassen, D.H.(2000). Toward a design theory of problem solving. ETR&D, 48(4) : 63-85 

  22. Jonassen, D.H.(2004). Learning to solve problem: An instructional design guide. San Franisco: Pfeiffer 

  23. Norman, G. R., & Schmidt, H. G.(1992). The psychological basis of problem-based leaning: A review of the evidence. Academic Medicine, 67(9) : 557-565 

  24. Nowak, J. A.(2001). The implication and outcomes of using problem-based learning to teach middle school sc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Indiana 

  25. Pajares, F & Miller, M.(1994).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beliefs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 path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 : 193-203 

  26. Savin-Baden, M., & Major, C. H.(2004). Foundat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NY: Open University Press 

  27. Schmidt, H. G.(1993). Foundat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Some explanatory notes. Medical Education. 27 : 422-432 

  28. Schmitt, M. F. & Newby, T. J.(1986). Metacognition: Relevance to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9(4) : 29-33 

  29. Schunk, D. H.(1991).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 207-231 

  30. Sherer, M., Maddux, K.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 663-671 

  31. Simons, K. D., & Klein, J. D.(2007). The Impact of scaffolding and student achivement levels in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Science. 35 : 41-72 

  32. Stepien, W., & Gallagher, S.(1993). Problem-based learning: As authentic as it gets. Educational Leadership. 50(7) : 25-28 

  33. Torp, L., & Sage, S.(2002).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6 education (2nd Ed). Alexandria, Virginia: Association of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4.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1986). Development of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 : 614-6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