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와 만족도에 근거한 공과대학 수업개선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Improvable Proposal of Instruction for College of Engineering based on Analyzing learners' needs and satisfaction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2 no.4, 2009년, pp.38 - 45  

민혜리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홍성연 (가톨릭대학교 교수학습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의 차이 및 전체 대학과 공과대학의 학생의 수업만족도 차이에 근거하여 공과대학 수업개선 전략을 탐색하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대학 전체와 공과대학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은 전반적인 교육만족도에 있어 수업 자체에 대한 만족도 보다 시설, 설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수업외적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나 실제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요구도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실제 수업에 대한 관심을 더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 항목별 만족도에 있어서는 과제와 시험의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대학과 비교할 때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수업진행 속도와 과제부담에 있어서는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rovable proposal of instruction through analyzing learners' needs and satisfaction for college of engineering. Based on the online survey date with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students in college of 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2003년 연구를 확장하여 학생들의 강의에 대한 평가 준거인 수업요구도를 확인하고 각각의 준거에 대한 실제적인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5년이라는 기간 동안의 이 지난 지금, 학생들이 수업요구도는 어떠한지 다시 확인하고, 현재 서울대학교의 강의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 수준인지를 확인해보는 것이 주요한 연구 목적이다. 또한, 각 단과대학별로 이런 수업요구도와 수업만족도에서 어떤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여 단과대학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수업개선의 전략이 필요한지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 본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를 점검하고 이를 전체 대학의 상황과 비교하여 실질적인 공과대학 수업 개선 전략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공과대학 학생 142명과 전체대학 629명, 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1) 공과대학 학생들의 전반적 교육만족도 어떠하며, 이것은 전체 대학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는 어떤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고, (2)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요구도를 파악하며, (3)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 요구도에 근거해 볼 때, 현재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어떠한지 분석해 보고, (4)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는 대학 전체 학생들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 5년이라는 기간 동안의 이 지난 지금, 학생들이 수업요구도는 어떠한지 다시 확인하고, 현재 서울대학교의 강의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 수준인지를 확인해보는 것이 주요한 연구 목적이다. 또한, 각 단과대학별로 이런 수업요구도와 수업만족도에서 어떤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여 단과대학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수업개선의 전략이 필요한지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 본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를 점검하고 이를 전체 대학의 상황과 비교하여 실질적인 공과대학 수업 개선 전략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공과대학 학생 142명과 전체대학 629명, 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1) 공과대학 학생들의 전반적 교육만족도 어떠하며, 이것은 전체 대학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는 어떤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고, (2)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요구도를 파악하며, (3)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 요구도에 근거해 볼 때, 현재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어떠한지 분석해 보고, (4)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는 대학 전체 학생들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 이 연구는 2003년 연구를 확장하여 학생들의 강의에 대한 평가 준거인 수업요구도를 확인하고 각각의 준거에 대한 실제적인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5년이라는 기간 동안의 이 지난 지금, 학생들이 수업요구도는 어떠한지 다시 확인하고, 현재 서울대학교의 강의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 수준인지를 확인해보는 것이 주요한 연구 목적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학생들이 학생들의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실제 수업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차이가 갖는 의미를 분석하여 이에 근거하여 수업개선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논의를 진행한다.
  • 공과대학에서 최근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학생참여형 혹은 프로젝트 중심형의 수업으로의 전환 필요성과도 맞물려있는 부분이라 평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런 방식의 수업개선에서 특히 미비될 수 있는 개별적 학습에 대한 지도와 관심 부분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한다는 사실이 위 지표가 말해주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의 차이 및 전체 대학과 공과대학의 학생의 수업만족도 차이에 근거하여 공과대학 수업개선 전략을 탐색한 결과는?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대학 전체와 공과대학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은 전반적인 교육만족도에 있어 수업 자체에 대한 만족도 보다 시설, 설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수업외적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나 실제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요구도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실제 수업에 대한 관심을 더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 항목별 만족도에 있어서는 과제와 시험의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대학과 비교할 때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수업진행 속도와 과제부담에 있어서는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공과대학의 교육과 관련해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논의는? 최근 공과대학의 교육과 관련해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논의는 급격한 기술 변화로 공과대학에서 배운 지식의 생명이 짧아지고 있으며, 단순히 대학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만으로 현업에서 업무를 수행해 나가는 것이 매우 어려운 상황(권성호 외, 2008; 김복기 외, 2005; 이병욱 외, 2001; 이희원 외, 2008; 임동근 외, 2006)이라는 점이다. 이런 문제제기에 근거해서 지난 몇 년간 사회적, 현실적인 요구를 공과대학의 교육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공과대학 교육의 질 문제는 현재까지도 꾸준히 제기되는 문제이다.
대학에서 교육의 질이 문제시되는 가장 큰 이유는? 이런 문제제기에 근거해서 지난 몇 년간 사회적, 현실적인 요구를 공과대학의 교육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공과대학 교육의 질 문제는 현재까지도 꾸준히 제기되는 문제이다. 대학에서 교육의 질이 문제시되는 가장 큰 이유는 그간 대부분의 교수들이 교육보다는 연구에 지나칠 정도로 치중해왔으며, 공과대학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점을 들 수 있다(신윤호 외, 2008). 대학이 수행하는 역할 중 연구가 중요하다는 점에 있어서는 의의가 없으나, 교육력 강화를 통한 우수인재의 양성은 대학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권성호.신동욱.강경희(2008). 해외 공학교육 사례 분석을 통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공학교육연구, 11(3) : 12-23 

  2. 김복기.문일.이의수(2005). 이공계 대학교육과정의 개선방안. 공학교육연구, 8(4) : 31-39 

  3. 김진수(2007). 미국 버지니아텍 공대 신입생에 대한 '지속가능 에너지 설계'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 공학교육연구, 10(1) : 60-76 

  4. 김진수.최유현.김수경(2008). 공과대학 교수들의 공학교육 연수실태와 교육요구 분석. 공학교육연구, 11(2) : 50-64 

  5. 김홍찬 외(2007). 기계공학과에서 제시하는 Handson Experience 중심의 '엔지니어링 디자인' 교과목의 강의사례. 공학교육연구, 10(2) : 44-61 

  6. 문대영(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 90-101 

  7. 민혜리.유병민.심미자(2005). 대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좋은 강의의 기준 탐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1(3) : 41-65 

  8. 민혜리.신효정(2008). 서울대학교 수업실태조사, 2008년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교육지원부 연구보고 2008-CTL-T01 

  9. 신윤호.이희원(2008). 공학교육에서 교수-학습포트폴리오의 개념과 활용방안. 공학교육연구, 11(1) : 76-84 

  10. 이병욱.노태천.김춘길(2001). 공학 교육의 미래 지향적 평가방안. 공학교육연구, 4(1) : 3-19 

  11. 이희원.민혜리.이경우(2008). 공과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안 탐구: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1(3) : 24-32 

  12. 임동근.우상호.김진수(2006). 공학교육의 교수목표 및 교수방법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의 중요도 인식 조사. 공학교육연구, 9(1) : 43-60 

  13. ETS.(2006). The Student Instructional Report II : Its development, uses and supporting research. ETS 홈페이지(http://www.ets.org/) 

  14. Marsh, H. W.(1984). Student's evaluations of university teaching: dimensionality, reliability, validity, potential biases, and util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 : 707-754 

  15. Marsh, H. W.(1987). Student's evaluation of university teaching: research findings, methodological issue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1(3) : 253-388 

  16. Marsh, H. W., & Roche, L. A.(1997). Making students' evaluations of teaching effectiveness effective: the critical issues of validity, bias, and utility. American Psychologist, 52(11) : 1187-1197 

  17. Nasser, F., & Fresko, B.(2006). Predicting student rat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 student ratings and instructors' predictions,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1(1) : 1-18 

  18. Renaud, R. D., & Murray, H. G.(2005). Factorial validity of student ratings of instruction,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6(8) : 929-953 

  19. Feldman, K. A.(1998). Reflections on the study of effective college teaching and student ratings: one continuing quest and two unresolved issues. In J. C. Smart(Ed.), Higher Educatio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13 : 35-74, NY: Agathon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