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해 가막만 입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 특성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Mouth Parts of Gamak Bay, Southern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7 no.2, 2009년, pp.205 - 215  

박종식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윤양호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오석진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태도 연안의 식물플랑크톤 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는 화태도 북부해역 1개 정점을 대상으로, 2005년 6월부터 2006년 6월까지 고수온기(${\geq}20^{\circ}C$)에는 주1회, 저수온기 (${\leq}20^{\circ}C$)에는 격주로 실시하였다. 화태도 북부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77속 214종이 출현하였으며, 출현종수는 최저 27종(2006년 3월 15일)에서 최대 121종(2005년 8월 16일)으로 연중 출현종수의 변동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연중 출현경향은 고수온기인 6월~9월 사이에 70종 이상의 높은 출현종수를 나타내었으나, $20^{\circ}C$ 이하로 수온이 내려가는 시기에는 40종 내외의 낮은 출현종수를 나타내었다. 연중 우점종은 Skeletonema costatum이며, 고수온기인 여름철에는 와편모조류인 Cochlodinium polykrikoides와 Polykrikos kofoidii, 저수온기에는 규조류인 Chaetoceros속인 C. curvisetus, C. debilis와 Eucampia zodiacus인 것으로 나타났다. 화태도 북부해역에에서 출현한 와편모조류 현존량은 표층에서는 최저 $3.0{\times}10^5\;cells\;L^{-1}$ (2006년 4월 17일)~최대 $7.3{\times}10^5\;cells\;L^{-1}$ (2005년 8월 2일)를 나타내 시기별로 매우 큰 변동특성을 나타내었다. 저층에서는 $1.5{\times}10^3\;cells\;L^{-1}$ (2005년 1월 9일)~최대 $3.9{\times}10^5\;cells\;L^{-1}$ (2005년 8월 16일)로 나타나, 표층이 저층보다 큰 변동특성을 나타내었다. 현존량의 연중 출현경향은 종수와 마찬가지로 고수온기인 6월~9월 사이에 높은 현존량을 나타내었다. 우점종인 C. polykrikoides의 출현양상은 종속영양 편모조류인 P. kofoidii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on the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in the mouth parts of Gamak Bay, Korea, we investigated from one station during June 2005 to June 2006. Samples were collected every week during the high water temperature (${\geq}20^{\circ}C$), and every two weeks duri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두리 양식장이 성행하고 있는 화태도 북부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 특성 및 변동 양상에 미치는 수온 염분 등 물리적 해양환경 특성과, 생물상호 간의 영향에 따른 군집 천이 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해역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플랑크톤은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가? 식물플랑크톤은 태양에서 방출되는 빛에너지와 해수 중에 존재하는 무기영양염(탄산가스 및 영양염류)을 흡수하여 유기물을 만들어 에너지를 축척하기 때문에 빛 에너지와 용존물질을 입자태로 변화시키는 중요한 매개체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Nybakken and Bertness 2005). 그리고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고정된 에너지는 해양생태계의 먹이사슬을 통해 고차영양단계로 전송되며, 이들 생물은 분해자에 따라 무기화되어 재 흡수되는 등 연안역의 물질순환의 출발점이기도 하다(Lalli and Parsons 1993).
화태도 인근해역은 어떤 지형적인 특성을 보이는가? 가막만 입구에 위치하는 화태도 인근해역은 남쪽으로 남해안에 개방되어 있고, 북쪽으로는 수심이 얕고 폐쇄 적인 가막만과 연결되는 지형적인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강한 와류와 조류가 형성되어 높은 해수 교환율을 보이며, 외양수와 만내수가 서로 접하여 혼합되는 등 복잡한 수괴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추 1998).
화태도 인근해역이 왜 어장 생산성 측면에서 주위를 요하는 해역인가? 따라서 강한 와류와 조류가 형성되어 높은 해수 교환율을 보이며, 외양수와 만내수가 서로 접하여 혼합되는 등 복잡한 수괴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추 1998). 더욱이 이 해역은 어선어업뿐만 아니라 활발한 가두리 양식업에 기인한 부영양 상태의 수질환경을 보이고 있어(조와 최 1995), 어장 생산성 측면에서 주위를 요하는 해역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강양순, 권점노, 손재경, 정창수, 홍석진, 공재열. 2003. 2002년 통영연안의 적조발생전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6:515-521 

  2. 강연식, 최휴창, 임주환, 전인성, 서지호. 2005. 동해 축산항 연안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조류학회지. 20:345-352 

  3. 국립수산과학원. 2002. 2000, 2001년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상황. 158pp 

  4. 국립수산과학원. 2004. 2002~2003년 한국연안의 적조발생현황. 273pp 

  5. 김기영. 2005. 여자만 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분포특성. 여수대학교 산업대학원 이학석사학위논문. 60pp 

  6. 김대일. 1999. 가막만 해양환경과 적조생물의 출현 동태. 여수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학위논문. 112pp 

  7. 김소영, 문창호, 조현진. 2003. 한국 남해 연안 광양만 표층 적물의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과의 비교. 한국해양학회지-바다. 8:111-120 

  8. 김재성. 2003. 한국 서?남 연안해역에서 적조생물에 대한 원생동물플랑크톤의 포식압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학위논문. 230pp 

  9. 김학균, 정창수, 임월애, 이창규, 김숙양, 윤성화, 조용철, 이삼근. 2001. 한국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변천. 한국수산학회지. 34:691-696 

  10. 노일현, 윤양호, 김대일, 박종식. 2006. 가막만 표층퇴적물중 유기물량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1-13 

  11. 문창호, 최혜진. 1991. 낙동강 하구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6:144-154 

  12. 박종식, 윤양호. 2003. 와편모조류 Cyst 분포에 의한 한국 넘서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1. 가막만 와편모조류 Cyst의시ㆍ공간적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6:151-156 

  13. 박주석, 이삼근. 1990.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3:208-214 

  14.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198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9:172-186 

  15. 심재형, 신윤근, 여환구. 1991. 만경, 동진강 하구 표영생태계의 무생물 환경과 일차생산자 I.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 26:155-168 

  16. 여환구, 강 헌. 1998. 인천연안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7:321-326 

  17. 여환구, 허성회. 1999. 고리해역 표영환경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환경생물. 17:71-77 

  18. 오석진, 이종석, 박종식, 노일현, 윤양호. 2008. 진주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천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1:98-104 

  19. 유영두, 정해진, 심재형, 박재연, 이경재, 이원호, 권효근, 배세진, 박종규. 2002. 전북 새만금 남쪽 해역의 유해성 적조발생연규 1. 1999년도 여름-가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129-139 

  20. 윤양호, 노홍길, 김영기. 1992. 제주북방, 성덕연안해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 제주대학교해양연구소 연구보고. 16:27-42 

  21. 윤양호, 고남표. 1994. 금오열도 연안해역의 하계 미세조류(식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성.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32:161-171 

  22. 윤양호. 1995. 가막만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군집의 변동특성. 여수수산대학교 논문집. 4:1-15 

  23. 윤양호, 고남표. 1995. 거금수도내 양식어장의 해양환경특성 I. 식물플랑톤 군집의 계절변동. 한국양식학회지. 8:47-58 

  24. 윤양호. 1998a. 시아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 환경생물. 16:403-409 

  25. 윤양호. 1998b. 완도 신지도 연안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 여수대학교 논문집. 12:651-664 

  26. 윤양호. 1998c. 가막만 남부 화태연안해역의 식물플랑크톤군집구조 특성.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7:129-144 

  27. 윤양호. 2000. 해창만의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및 분포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3:41-50 

  28. 이준백, 고유봉, 좌종헌. 1990. 제주도 해안선 주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와 동태. 한국조류학회지. 5:159-171 

  29. 이진환, 이은호. 1999. 득량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적조. 환경생물. 17:271-278 

  30. 이진환, 윤수미. 2000. 여자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군집. 한국조류학회지. 15:89-98 

  31. 이창규, 김형철, 이삼근, 정창수, 김학균, 임월애. 2001. 남해안 연안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상황과 온도, 염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4:536-544 

  32. 임월애. 2004. 한국남해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9pp 

  33. 정해진, 박종규, 최현용, 양재삼,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김형섭, 조경제. 2000.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5:27-36 

  34. 전라남도. 1993. 전남통계연보 

  35. 조기안, 위인선, 최청일. 199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연구. 환경생물. 12:137-150 

  36. 조현서, 최규정. 1995. 화태도 양식장 주변해역의 계절별 수질변동 특성.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4:17-30 

  37. 좌종헌, 이준백. 2000.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 생태학적 특성 I.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바다. 5:59-69 

  38. 추효상. 1993. 여수해역의 해양 기상학적 특성,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2:1-13 

  39. 추효상. 1998. 가막만 남쪽 화태도 주변의 해황 특성.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7:145-157 

  40. 飯塚昭二. 1986. 植物プランクトンの調査-試料採取, 固定, 濃縮, 計數, 同定-In "日本海洋學會編, 沿岸環境マニュ アル(底質?生物編). 恒星社厚生閣, 東京", 144-147 

  41. Abe TH. 1981. Studies on the family peridinidae an unfinished monograph of the armoured dinoflagellata. Academia Scientific Book Inc. Tokyo, 409pp 

  42. Carreto JI, HR Benavides, RM Negri and PD Glorioso. 1986. Toxic red-tide in the Argentine Sea. Phytoplankton distribution and survival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onyaulax eccavata in frontal area. J. Plankton Res. 8:15-28 

  43. Chihara M and M Murano. 1997. An illustrated guide to marine plankton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1574pp. (in Japanese) 

  44. Cho HJ and JB Lee. 2002. Growth rates of a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olykrikos kofoidii and its gamete-like organism. Bull. Mar. Environ. Res. Inst. Cheju Nat. Univ. 26:1-6 

  45. Choi JK and JH Shim. 1986.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II. Phytoplankton composition, standing crops, Tychopelagic palnkton. The J. Oceano. Soc. Korea 21:156-170 

  46. Cupp PE. 1943. Marine plankton diatoms of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Bull. Scripps Inst. Oceanogr. Uni. California, La Jolla, Tech. Ser. 5, 237pp 

  47.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London, 303pp 

  48. Frost BW. 1991. The role of grazing in nutrient-rich areas of the open sea. Limnol. Oceanogr. 36:1616-1630 

  49. Ignatiades L. 1979. The influence of water stability on the vertical structure of a phytoplankton community. Mar. Biol. 52:97-104 

  50. Jeong HJ, SK Kim, JS Kim, ST Kim, YE Yoo and JY Yoon. 2001. Growth and grazing rates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olykrikos kofoidii on red-tide and toxic dinoflagellates. J. Eukaryot. Microbial. 48:298-308 

  51. Lalli CM and TR Parsons. 1993. Biologic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Pergamon Press, 301pp 

  52. Matsuyama Y, M Miyamoto and Y Kotani. 1999. Grazing impacts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olykrikos kofoidii on a bloom of Gymnodinium catenatum. Aquat. Microb. Ecol. 17:91-98 

  53. Morey-Gaines G and RH Ruse. 1980. Encystment and reproduction of the predatory dinoflagellate, Polykrikos kofoidii Chatton (Gymnodiniales). Phycologia. 19:230-232 

  54. Nybakken JW and MD Bertness. 2005. Marine Biology An Ecological approach (6rd ed.). Pearson Higher Education, 462pp 

  55. Sampayo MAM. 1998. Polykrikos kofoidii Chatton predation on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and its effects. pp.182-183. In Harmful Algae (Reguera B, J Blanco, ML Feranadez and T Wyatt eds.). Xunta de Galicia and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of UNESCO 1998, Paris 

  56. Shim JH and SJ Yoo. 1985. Phytoplankton community off the coast of Kunsan, Korea. The J. Oceano. Soc. Korea 20:31-42 

  57.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Academic Press, London, 858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