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울릉분지 남부의 플라이오-제4기 탄성파 층서 및 퇴적역사
Plio-Quaternary Seismic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History on the Southern Ulleung Basin, East S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4 no.2, 2009년, pp.90 - 101  

조민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석유자원공학과) ,  유동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 울릉분지 남부에서 취득한 다중채널 탄성파 탐사자료의 해석에 의하면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플라이오-제4기 퇴적층은 침식부정합면에 의해 구분되는 9개의 퇴적단위가 중첩된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탄성파 단면상에서 각 퇴적단위는 남쪽사면의 경우 질량류 퇴적층으로 해석되는 캐오틱한 음향상 특징이 주로 나타나며, 북쪽 중앙분지로 향하면서 저탁류/반원양성 퇴적층으로 해석되는 연속성이 양호하고 진폭이 강한 평행 층리 음향상이 나타난다. 퇴적단위의 분포 및 탄성파상 특징에 의하면 플라이오-제4기 동안의 퇴적작용은 주로 지구조 운동과 해수면 변동에 의해 조절된 것으로 해석된다. 플라이오세 동안의 퇴적작용은 주로 동해의 닫힘작용과 연계된 지구조 운동의 영향이 있었다. 중-후기 마이오세 이후 동해는 횡압력에 의한 닫힘작용이 시작되었으며 플라이오세 말까지 횡압력의 영향으로 광역적인 융기가 야기되었다. 따라서 이때 형성된 다량의 침식 퇴적물이 분지로 유입되었으며 주로 쇄설류로 구성된 퇴적단위 1을 형성하게 되었다. 제4기에 접어들면서 중첩된 형태로 분포하는 퇴적단위 2-9의 발달은 주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해침과 해퇴의 영향에 의해 조절되었다. 반복적으로 진행된 해퇴 및 저해수면 조건이 주로 남쪽사면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쇄설류의 퇴적을 야기시켰으며, 해수면 상승기간 동안에는 쇄설류 층이 얇은 반원양성 내지는 원양성 퇴적물에 의해 피복되었다. 결과적으로 연구해역에 분포하는 플라이오-제4기 퇴적층은 쇄설류와 저탁류/반원양성을 포함하는 질량류의 중첩에 의해 구성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alysis of multi-channel seismic reflection data from the Southern Ulleung Basin reveals that Plio-Quaternary section in the area consists of nine stacked sedimentary units separated by erosional unconformities. On the southern slope, these sedimentary units are acoustically characterized by chao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들의 연구는 주로 고해상 탄성파 자료를 이용한 결과로 해저면으로 부터 50-70 m 미만의 천부지층에 국한되어있어 이들로부터 플라이오-제4기의 퇴적층서 및 퇴적역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기에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탄성파 탐사 자료를 활용하여 울릉분지 남부사면에서 분지평원에 걸쳐 발달해 있는 후기 플라이오-제4기 퇴적층의 층서 및 퇴적역사를 주기적인 해수면 변동 및 지구조 운동과 연계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저 퇴적층의 층서 및 퇴적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탄성파 탐사 자료는 해저 퇴적층의 층서 및 퇴적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탄성파 자료를 이용하여 층서 단위를 구분하고 탄성파상 분석을 수행하는 탄성파 층서학(seismic stratigraphy)은 1970년대 미국의 엑슨(Exxon)사 연구진에 의해 기본개념이 수립된 이후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탄성파 자료는 물론 고생물 및 물리 검층 자료의 종합적인 해석을 통하여 퇴적상 및 퇴적 층서를 시공간적인 측면에서 해석하는 순차층서학(sequence stratigraphy)으로 발전하였다(Vail, 1987; Posamentier et al.
탄성파 층서학은 무엇을 수행하는 것인가? 탄성파 탐사 자료는 해저 퇴적층의 층서 및 퇴적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탄성파 자료를 이용하여 층서 단위를 구분하고 탄성파상 분석을 수행하는 탄성파 층서학(seismic stratigraphy)은 1970년대 미국의 엑슨(Exxon)사 연구진에 의해 기본개념이 수립된 이후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탄성파 자료는 물론 고생물 및 물리 검층 자료의 종합적인 해석을 통하여 퇴적상 및 퇴적 층서를 시공간적인 측면에서 해석하는 순차층서학(sequence stratigraphy)으로 발전하였다(Vail, 1987; Posamentier et al., 1988).
탄성파 순차층서학 개념이 주로 석유탐사와 관련된 심부층서 및 지구조 해석에 주로 적용된 이유는 무엇인가? , 1988). 이러한 탄성파 순차층서 개념은 퇴적층이 형성될 당시의 퇴적환경 및 퇴적역사에 대한 비교적 정확한 해석을 이끌어낼 수 있어 주로 석유탐사와 관련된 심부층서 및 지구조 해석에 주로 적용되어 왔으며 특히, 장주기의 해수면 변화와 연계되어 발달하는 비교적 큰 규모의 퇴적층서 및 지질구조 해석에 적용되어왔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서면서 주로 심부층서 및 분지해석 연구에 적용된 순차 층서 개념이 천부퇴적층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지면서(Boyd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민건홍, 1994. 한반도 남동대륙붕의 플라이오세-현세 퇴적층의 탄성파층서 및 퇴적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6pp 

  2. 신국선, 2000. 울릉분지 남서주변부 비변형대 제3기 퇴적층의 순차층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9pp 

  3. 유동근, 강동효, 구남형, 김원식, 김길영, 김병엽, 정순홍, 김영준, 이호영, 박근필, 이광훈, 박수철, 2008. 동해 울릉분지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 지구물리증거. 지질학회지, 44: 645?655 

  4. 유동근, 이치원, 민건홍, 한혁수, 박수철, 김대철, 2006. 한반도 남동해역 대륙붕 퇴적층의 플라이오-제4기 탄성파 층서 및 퇴적작용. 지질학회지, 42: 507?522 

  5. 천종화, 허식, 한상준, 유해수, 김원균, 정대교, 이영주, 2000. 후기 플라이스토세 이후 울릉분지 남부 대륙사면의 퇴적환경. 한국석유지질학회, 제7차 학술발표회 논문집, 31?38 

  6. 최동림, 1995. 동해 울릉분지 남쪽 연변부의 신생대 탄성파 퇴적층서, 지질구조 및 지구조 진화.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5pp 

  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7. 가스하이드레이트 지구물리탐사 연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NP2007-020-2007(1), 649pp 

  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6. 탄성파 탐사기술을 이용한 한반도 남동부해역의 층서 및 지구조 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OAA2004005-2006(3), 194pp 

  9. 허 식, 유해수, 김한준, 한상준, 이용국, 2004. 동해 울릉분지 남부해역에 분포하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층의 특성 연구. 석유지질학회지, 10: 18?22 

  10. Aksu, A.E., D.J.W. Piper and T. Konuk, 1987. Late Quaternary tectonic and sedimentary history of outer Izmir and Candarli Bays, western Turkey. Marine Geology, 76: 89?104 

  11. Aksu, A.E., A. Ulug, D.J.W. Piper, Y.T. Konuk and S. Turgut, 1992a. Quaternary sedimentary history of Adana, Cilicia and Iskenderun Basins: northeast Mediterranean Sea. Marine Geology, 104: 55?71 

  12. Aksu, A.E., T.J. Calon, D.J.W. Piper, S. Turgut and E. Izdar, 1992b. Architecture of late orogenic Quaternary basins in northeastern Mediterranean Sea. Tectonophysics, 210: 191?213 

  13. Boyd, R., J. Suter and S. Penland, 1989. Relation of sequence stratigraphy to modern sedimentary environments. Geology, 17: 926?929 

  14. Chough, S.K., H.J. Lee and S.H. Yoon, 2000. Marine Geology of Korea Seas (2nd edition). Elsevier, Amsterdam, 313pp 

  15. Chough, S.K., K.S. Jeong and E. Honza, 1985. Zoned facies of massflow deposits in the Ulleung(Tsushima) Basin, East Sea(Sea of Japan). Marine Geology, 65: 113?125 

  16. Chough, S.K., S.H. Lee, J.W. Kim, S.C. Park, D.G. Yoo, H.S. Han, S.H. Yoon, S.B. Oh, Y.B. Kim and G.G. Back, 1997. Chirp (2- 7 kHz) echo characters in the Ulleung Basin. Geoscience Journal, 1: 143?153 

  17. Crutchley, G.J., A.R. Gorman and M. Fohrmann, 2007. Investigation of the role of gas hydrates in continental slope stability west of Fiordland, New Zealand. New Zealand Journal of Geology and Geophysics, 50: 357?364 

  18. Damuth, J.E., 1978. Echo Character of the Norwegian-Greenland Sea: Relationship to Quaternary sedimentation. Marine Geology, 28: 1?36 

  19. Ericilla, G., B. Alonso and J. Baraza, 1994. Post-Calabrian sequence stratigraphy of the northwestern Alboran Sea (southwestern Mediterranean). Marine Geology, 120: 249?265 

  20. Faure, M. and F. Lalevee, 1987. Bent structural trends of Japan: Flexural-slip folding related to the Neogene opening of the Sea of Japan. Geology, 15: 49?52 

  21. Garziglia, S., S. Migeon, E. Ducassou, L. Loncke and J. Mascle, 2008. Mass-transport deposits in the Rosetta province (NW Nile deep-sea turbidite system, Egyptian margin):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and potential causal processes. Marine Geology, 250: 180?198 

  22. Hiscott, R.N. and A.E. Aksu, 1996. Quaternary sedimentary processes and Budgets in Orphan Southwestern Labrador Sea. Quaternary Research, 45: 160?175 

  23. Ingle, J.C. Jr, 1992. Subsidence of the Japan Sea: Stratigraphic evidence from ODP sites and onshore sections. Proceedings of the Ocean Drilling Program, Scientific Results, 127/128 (part2): 1190?1218 

  24. Jansen, E., S. Befring, T. Bugge, T. Eidvin, H. Holtedahl and H.P. Sejrup, 1987. Large submarine slides on the Norwegian continental margin: Sediments, transport and timing. Marine Geology, 78: 77?107 

  25. Jolivet, L. and K. Tamaki, 1992. Neogene kinematics in the Japan Sea region and volcanic activity of the Northeast Japan Arc. Proceedings of the Ocean Drilling Program, Scientific Results, 127/128 (part2): 1311?1331 

  26. Kennett, J.P., 1982. Marine Geology, Prentice-Hall, New Jersey. 813pp 

  27. Lallemand, S. and L. Jolivet, 1986. Japan Sea: a pull-apart basi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76: 375?389 

  28. Lee, G.H. and B.C. Suk, 1998. Latest Neogene-Quaternary seismic stratigraphy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Marine Geology, 146: 205?224 

  29. Lee, G.H., H.J. Kim, S.J. Han and D.C. Kim, 2001. Seismic stratigraphy of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Japan sea) back-arc basin.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18: 615?634 

  30. Lee, H.J., S.K. Chough and S.H. Yoon, 1996. Slope-stability change from late Pleistocene to Holocene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Japan sea). Sedimentary Geology, 104: 39?51 

  31. Lee, S.H., S.K. Chough, G.G. Back and Y.B. Kim, 2002. Chirp(2-7 kHz) echo characters of the South Korea Plateau, East Sea: Styles of mass movement and sediment gravity flow. Marine Geology, 184: 227?247 

  32. Lee, S.H., S.K. Chough, G.G. Back, Y.B. Kim and B.S. Sung, 1999. Gradual downslope change in high-resolution acoustic characters and geometry of large-scale submarine debris lobes in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Korea. Geo-Marine Letters, 19: 254?261 

  33. Mitchum, R.M., JR. Vail, P.R. and J.B. Sangree, 1977.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of seismic reflection patterns in depositional sequences. In: C.E. Payton, (Editor), Seismic Stratigraphy Applications to Hydrocarbon Exploration.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Memoir 26: 117?133 

  34. Normark, W.R., D.J.W. Piper and R.N. Hiscott, 1998. Sea level controls on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depositional architecture of the Hueneme and associated submarine fan systems, Santa Monica Basin, California. Sedimentology, 45: 53?70 

  35. Otofuji, Y.I. and T. Matsuda, 1987. Amount of clockwise rotation of southwest Japan-fan shape opening of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Japan Sea.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85: 289?301 

  36. Park, S.J., 1998. Stratal patterns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Ulleung Back-arc Basin; A Sequence Stratigraphic Analysis.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9pp 

  37. Posamentier, H.W., M.T. Jervey and P,R. Vail, 1988. Eustatic controls on clastic deposition I-Conceptual framework. In: Wiligus, C.K., Posamentier, H., Ross, C.A. and kendall, C.G.St.C., (eds.), Sea-Level Changes: An Integrated Approach. SEPM Sepc. Publ., 42: 124?154 

  38. Sultan, N., P. Cochonat, J.-P. Foucher and J. Mienert, 2004. Effect of gas Hydrates melting on seafloor slope instability. Marine Geology, 213: 379?401 

  39. Summerhayes, C.P., B.D. Bornhold and R.W. Embley, 1979. Surficial slides and slumps on the continental slope and rise of South West Africa: A reconnaissance study. Marine Geology, 31: 265?277 

  40. Tamaki, K., K. Suyehiro, J. Allean, J.C. Jr. Ingle and K.A. Pisciotto, 1992. Tectonic synthesis and implications of Japan Sea ODP Drilling. Proceedings of the Ocean Drilling Program, Scientific Results, 127/128 (part2): 1333?1348 

  41. Tesson, M., H.W. Posamentier and B. Gensous, 2000. Stratigraphy organization of late Pleistocene deposits of the western part of the Golfe du Lion Shelf (Languedoc Shelf), western Mediterranean Sea, using high-resolution seismic and core data.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84: 119?150 

  42. Tortora, P., 1996. Depositional and erosional coastal processes during the last postglacial sea-level rise: An example from the central Tyrrhenian continental shelf (Italy).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66: 391?405 

  43. Vail, P.R., 1987. Seismic stratigraphy interpretation using sequence stratigraphy. Part 1: Seismic stratigraphy interpretation procedure. AAPG Stud. Geol., 27: 1?10 

  44. Wright, S.G. and E.M. Rathje, 2003. Triggering mechanisms of slope instability and their relationship to earthquakes and tsunamis. Pure and Applied Geophysics, 160: 1865?1877 

  45. Yoon, S.H. and S.K. Chough, 1995. Regional strike slip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7: 83?97 

  46. Yoon, S.H., S.K. Chough and S.J. Park, 2003. Sequence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a Miocene shelf-slope system in the tectonically active Ulleung Basin margin, East Sea (Sea of Japan).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20: 1089?11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