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돈육 등심의 육색과 보수력 측정치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ments of Color and Water-Holding Capacity in Pork Loin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4, 2009년, pp.329 - 336  

문상훈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정진연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갑돈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조인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전진태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주선태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박구부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돈육의 육색과 보수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동일한 품종(Landrace $\times$ Jeju native black pig, $F_2$), 동일한 사양방법, 동일한 도축방법으로 생산된 419두의 등심을 시료로 이용하여 사후 24시간에 육색, 보수력, 일반성분 및 pH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측정치들은 큰 변이를 보여 시험군의 돈육질의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육색측정치 중 명도가 육즙손실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hue(h) 값과 황색도도 육즙손실과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하지만 적색도와 Chroma는 육즙손실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육즙손실을 추정하는데 CIE $L^*$, $a^*$, $b^*$ 체계보다 CIE $L^*$, $b^*$, h 체계가 더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명도 단독으로 육즙손실을 추정하면 정확도가 27% 밖에 되지 않아 보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hue 값과 황색도를 포함한 다중회귀 방정식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pH도 명도와 육즙손실과 유의적으로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pH 단독으로 명도와 육즙손실을 추정하면 정확도가 각각 44% 및 17%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pH 단독으로 육색과 보수력을 동시에 고려하는 돈육질을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동일한 품종, 사양방법, 도축방법으로 생산된 돈육이라도 육색과 보수력의 큰 변이로 돈육질의 변이도 크게 나타나며, 비록 명도, 육즙손실 및 pH가 상호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더라도 단독으로 돈육질의 추정에 이용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ments of color and water-holding capacity (WHC) in pork loin. A total of 419 pork loins were sampled from crossbred (Landrace$\times$Jeju native black pig) F2 pigs at a commercial slaughter house. Meat color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약 돈육의 육색과 보수력을 동시에 고려하여 돈육질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측정기준이 있다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후 돼지 등심근의 육색과 보수력의 상관관계를 보다 세심하게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상돈육의 수분 함량은 몇 % 정도인가? 또한 돈육에서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인 보수력도 돈육의 품질을 결정하는 특성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할 수 있는데(Huff-Lonergan과 Lonergan, 2005), 그 이유는 보수력이 나쁜 돈육은 많은 양의 수분참출로 인해 경제적 손실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정상돈육의 수분 함량은 연구자들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71%(Hodgson 등, 1991) 또는 약 75%(Huff-Lonergan과 Lonergan, 2005)로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육즙손실(drip loss)을 가지는 돈육의 경우 5% 이상의 수분손실이 발생하지만(Kauffman 등, 1992; Stetzer과 McKeith, 2003), 정상적인 돈육에서 육즙손실은 평균 1∼3% (Offer와 Knight, 1988)이다.
본 실험은 돈육의 육색과 보수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동일한 품종(Landrace × Jeju native black pig, F2), 동일한 사양방법, 동일한 도축방법으로 생산된 419두의 등심을 시료로 이용하여 사후 24시간에 육색, 보수력, 일반성분 및 pH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본 실험은 돈육의 육색과 보수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동일한 품종(Landrace × Jeju native black pig, F2), 동일한 사양방법, 동일한 도축방법으로 생산된 419두의 등심을 시료로 이용하여 사후 24시간에 육색, 보수력, 일반성분 및 pH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측정치들은 큰 변이를 보여 시험군의 돈육질의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육색측정치 중 명도가 육즙손실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hue(h) 값과 황색도도 육즙손실과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하지만 적색도와 Chroma는 육즙손실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육즙손실을 추정하는데 CIE L*, a*, b* 체계보다 CIE L*, b*, h 체계가 더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명도 단독으로 육즙손실을 추정하면 정확도가 27% 밖에 되지 않아 보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hue 값과 황색도를 포함한 다중회귀방정식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pH도 명도와 육즙손실과 유의적으로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pH 단독으로 명도와 육즙손실을 추정하면 정확도가 각각 44% 및 17%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pH 단독으로 육색과 보수력을 동시에 고려하는 돈육질을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사료되었다.
돈육에서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인 보수력도 돈육의 품질을 결정하는 특성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무엇인가? 신선한 돈육에서 육색은 고기의 외관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돈육에서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인 보수력도 돈육의 품질을 결정하는 특성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할 수 있는데(Huff-Lonergan과 Lonergan, 2005), 그 이유는 보수력이 나쁜 돈육은 많은 양의 수분참출로 인해 경제적 손실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정상돈육의 수분 함량은 연구자들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71%(Hodgson 등, 1991) 또는 약 75%(Huff-Lonergan과 Lonergan, 2005)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orggaard, C., Andersen, J. R. and Barton-Gade, P. A. 1989. Further development of the MQM-equipment for measuring water holding capacity and intramuscular fat on-line. Proceeding. 35th International Congress of Meat Science and Technology, Copenhagen, Denmark, p. 212-219. 

  2. Briskey, E. J. 1964. Etiological status and associated studies of pale, soft, exudative porcine musculature. Adv. Food Res., 13:89-178. 

  3. Fennema, O. R. 1985. Water and ice. In O. R. Fennema (Ed.), Food chemistry. New York, Marcel Dekker Inc. 

  4. Hodgson, R. R., Davis, G. W., Smith, G. C., Savell, J. W. and Cross, H. R. 1991. Relationships between pork loin palatability trait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oked chops. Journal of Animal Science. 69:4858-4865. 

  5. Huff-Lonergan, E. and Lonergan, S. M. 2005. Mechanisms of water-holding capacity of meat: The role of postmortem biochemical and structural changes. Meat Science. 71:194-204. 

  6. Joo, S. T. 1995. Pork Quality : Identification, Measurement and explan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color and waterholding capacity of porcine muscle. Ph.D. thesis, Korea University. p. 36-41. 

  7. Joo, S. T., Kauffman, R. G., Kim, B. C. and Kim, C. J. 1995.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water-holding capacity in post-rigor porcine longissimus muscle. Journal of Muscle Foods. 6(3):211-226. 

  8. Joo, S. T., Kauffman, R. G., Kim, B. C. and Park, G. B. 1999. The relationship of sarcoplasmic and myofibrillar protein solubility to colour and water-holding capacity in porcine longissimus muscle. Meat science. 52:291-297. 

  9. Judge, M. D., Aberle, E. D., Forrest, J. D., Hedrick, H. B. and Merkel, R. A. 1989. Princples of Meat Science. 2nd ed.,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Dubuque, Iowa, USA. 

  10. Kanda, H. and Kancchika, T. 1992. Some properties of abnomal porcine muscle (PSE, PFD) differed from PSE and DFD. Proc. 38th International Congress of Meat Science and Technology, Clermont-Ferrand, France, p. 919-922. 

  11. Kauffman, R. G., Cassens, R. G., Scherer, A. and Meeker, D. L. 1992. Variation in pork quality: History-Definition-Extent-Resolution. National Pork Producers Council Publication, Des Moines, lowa. USA 

  12. Kauffman, R. G., Eikelenboom, G., Van der Wal, P. G., Engel, B. and Zaar, M. 1986. A comparison of methods to estimate water-holding capacity in post-rigor porcine muscle. Meat Science. 18:307-322. 

  13. Kauffman, R. G., Sybesma, W., Smulders, F. J. M., Eikelenboom, G., Engel, B., Van Lacck, R. L. J. M., Hoving-Bolink, A. H., Sterrenburg, P., Nordheim, E. V., Walstra, P. and Van der Wal, P. G. 1993. The dffectiveness of examining early post-mortem musculature to predict ultimate pork quality. Meat Science. 34:283-300. 

  14. Meldoy, J. L., Lonergan, S. M., Rowe, L. J., Huiatt, T. W., Mayes, M. S. and Huff-Lonergan, E. 2004. Early postmortem biochemical factors influence tenderness and water-holding capacity of three porcine muscles. Journal of Animal Science, 82:1195-1205. 

  15. Offer, G. and Knight, P. 1988. The structural basis of waterholding in meat In Developments in Meat Science-4, ed. R. A. Lawrie. Elsevier Science Publishers, London. p.63-243. 

  16. Roseiro, L. C., Santos, C. and Melo, R. S. 1993. Muscle $pH_{60}$ , color(L; a; b) and water holding capacity and the influence of post-mortem meat temperatur. In Proc. 39th International Congress Meat Sci. and Technol. S4P21. WP. Calgary, Alberta, Canada. 

  17. SAS. 2003. SAS/STAT Software. Release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8. Stetzer, A. J. and McKeith, F. K. 2003. Benchmarking value in the pork supply chain: Quantitative strategies and opportunities to improve quality. Final Report-phase I. Final Report to the American Meat Science Association. 

  19. Swatland, H. J. 1987. Remote monitoring of postmortem metabolism in pork carcasses. in Evaluation and Control of Meat Quality in Pigs, eds. P. V. Tan-ant, G. Eikelenboom and G. Monin, Martinus Nijhoff, Dordrecht. p. 143-163. 

  20. Trout, G. R. 1988. Techniques for measuring water-binding capacity in muscle foods-A review of methodology. Meat Science. 23:235-252. 

  21. van Laack, R. L. J., Kauffman, R. G., Sybesma, W., Smulders, F. J. M., Eikelenboom, G. and Pinheiro, J. C. 1994. Is color brightness (L-value) a reliable indicator of waterholding capacity in porcine muscle?. Meat Science. 38:193-201. 

  22. van Laack, R. L. J. and Smulders, F. J. M. 1992. On the assessment of water-holding capacity of hot-vs cold-boned pork. Meat Science. 32:139-147. 

  23. Warner, R. D., Kauffman, R. G. and Russell, R. L. 1993. Quality attributes of major porcine muscles: A comparison with the Longissimus Lumborum. Meat Science. 33:359-372. 

  24. Warriss, P. D., Brown, S. N. and Pasciak, P. 2006. The colour of the adductor muscle as a predictor of pork quality in the loin. Meat Science. 73:565-569. 

  25. Warriss P. D. and Brown, S. N. 1987. The relationships between initial pH, reflectance and exudation in pig muscle. Meat Science. 20:65-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