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송이버섯 재배 후 폐상퇴비의 효과 분석 및 분리 미생물의 특성
Characteristic of Microorganism and Effect Analysis of Spent Mushroom Compost after Cultivation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2 no.2, 2009년, pp.123 - 131  

이찬중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윤형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정종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전창성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김승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이순자 (부여군농업기술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송이버섯 재배 후 폐상퇴비의 효율적인 재활용과 친환경 자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작물과 식물병원균에 미치는 영향을 미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폐상시기별로 폐상퇴비내 미생물상은 농가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형광성 Pseudomonas속, 내열성 세균, 방선균 등 다양한 미생물이 분포하였고, 특히 버섯에는 병원균으로 작용하지만 식물병원균에는 길항균으로 사용되고 있는 Trichoderma 속이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폐상퇴비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여러가지 채소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농가마다 채취한 폐상퇴비 중에 항균력을 가지는 미생물의 분포는 달랐지만 분리균의 상당수가 검은무늬병(Alternaria brassicicola), 역병(Phytophthora melonis, Phytophthora capsici),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등에는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또한 분리 미생물 중 45.8%가 고추 근권에 정착하는 능력을 보였고, 이들 중 5.8%는 $5{\times}10^2cfu\;root^{-1}$ 이상 정착 능력을 보였다. 미생물처리시 균주의 62.7%가 고추 생장을 촉진시켰고, 뿌리 또한 무처리에 비해 생장이 왕성하였다. 폐상퇴비 추출물의 고추 종자 발아 및 생육정도를 조사한 결과 양송이버섯을 정상적으로 수확하고 폐상한 퇴비는 고추의 발아에 전혀 지장이 없었지만 버섯을 거의 수확하지 못한 폐상퇴비의 경우 고추의 발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고, 포트시험 결과도 버섯을 거의 수확하지 못한 폐상퇴비를 처리한 경우 고추의 발아 및 생육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폐상퇴비를 멸균 및 비멸균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폐상시기에 관계없이 멸균시료에 비해 비멸균 시료에서 고추의 생육이 왕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for the use of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s and the effective recycling of spent mushroom compost(SMC) after cultivation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SMC of white button mushroom contained diverse microorganisms including flu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숙이 되지 않은 퇴비는 작물의 발아 및 생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근거로 여러 가지 발아시험이 수행되어 왔다(Kim, 1995; Inbar, 1993).본 시험에서는 폐상 시기별로 수집한 여러 시료가 퇴비로 바로 사용하였을 경우 종자의 발아 및 생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고추종자의 발 아시험(Table 2, 3)과 초기 생육 검정(Fig. 6)을 통하여 유기질 퇴비 대용으로써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폐상 퇴비와 멸균수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추출물의 고추 종자 발아 및 생육정도를 조사한 결과 양송이 버 섯을 여러 번 수확하고 폐상한 시료는 고추의 발아에 전혀 지장이 없었지만 1주기도 수확하지 못한 폐상퇴 비의 경우 고추의 발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Table 2).
  • 본 시험은 양송이 재배 후 발생한 폐상 퇴비의 효율적인 재활용과 친환경 자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장점을 미생물적 인 관점에서 검토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양송이버섯 재배 후 폐상 퇴비의 효율적인 재활용과 친환경 자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작물과 식물병원 균에 미치는 영향을 미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폐상 시기별로 폐상퇴비 내 미생물상은 농가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형광성 Pseudomonas속, 내열성 세균, 방선균 등 다양한 미생물이 분포하였고, 특히 버섯에는 병원균으로 작용하지만 식물병원 균에는 길 항균으로 사용되고 있는 Trichoderma 속이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er, K.F., and R.J. Cook.1982. Examples of biological control : In biological control of plant pathogens. ed. Baker. K.F. and Cook, R.F., The Amer. Phytopathol. Soc. St. Paul. Mn. 61-106 

  2. Baker, R., and F.M. Scher. 1987. Enhancing the activity of biological control agent. p1-18. in: Innovative approaches to plant disease control. 1. chet. ed. Jhon Wiley and Sor. New York. Tronto. Singapore 

  3. Baker, M., B. knoop, S. Quiring, A. Beard, B.Lesikar, J.Sweeten, and R. Burns. 2003. Composting guide index. Prepared by the Texas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Solid and Hazardous Waste Management Initiative Team. Chap. I. The Decomposition process. http://aggie-horticulture. tamu. edu/ extention/compost/ compost. html 

  4. Buckerfield, J.C., and K.A. Webster. 2001. Responses to mulch continue: results from five years of field-trials. The Australian Grapegrower and Winemaker, 453:71-78 

  5. Buckerfield, J.C., and K.A. Webster. 2002. Organic matter management in vineyards: mulches for soil maintenance.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Grapegrower and Winemaker, 461:26-30 

  6. Burr, T.J,. M.N. Schroth, and T. Suslow. 1978. Increased potato yields by treatment of seed pieces with specific strains of Pseudomonas fluorescens and Pseudomonas putida. Phytopathol. 68:1377-1383 

  7. Chang, K.W., I.B. Lee, and J.B. Lim. 1995. Changes of Physico - chemical Properties during the Composting of Korean Food Waste. Kor. Org.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3:3-11 

  8. Chang, K.W., I.B. Lee, P.J. Kim, and K.H. Min. 1995.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Compost Made from Food Wastes by the Fermenting Tank. Korean Organic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3:35-42 

  9. Chang, K.W., I.B. Lee, and J.S. Lim. 1995.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the composting of Korean Food Waste. Korean Organic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3:3-11 

  10. Cheong, J.C., C.S. Jhune, S.H. Kim, K.Y. Jang, J.S. Park, J.C. Na, and M.H. Chun. 2006. Effect of the adding of Flammulina velutipes cultivation media wastes into chicken feed on the meat quality and production cost of broiler. J. Korean Mycolo. 34:2933 

  11. Cook, J.R,. D.M. Weller, and L.S. Thomashow. 1987. Enhancement of root health and plant growth by rhizobacteria. p125-134. in: Molecular strategies for crop protection. Alan Liss Ins 

  12. Fermor, T.R., Randle, P.E., and J.E. Smith. 1985. Compost as a substrate and its preparation. Pp. 81-109. In: The biology and technology of the cultivated mushroom. Eds. Spencer, D. M. and Wood, D. A. John Wiley & Sons Inc.UK 

  13. Finstein, M. S., and M. L. Morris. 1975. Microbiology of municipal solid waste composting. Adv. Appl. Microbiol. 19:113-151 

  14. Hoitink, H.A.J., and P.C .Fahy. 1986. Basis for the control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with composts. Ann. Rev. Phytopathol. 24:93-114 

  15. Inbar, Y., Y. Hader, and Y. Chen. 1993. Recycling of cattle manure : The composting process and characterization of maturity. J. Environ Qual. 22:857-863 

  16. James, N. 1958. Soil extract in soil microbiology. Can. J. Microbiol. 4:363-370 

  17. Johnson, J. L. 1994. Similarity analysis of rRNAs. p.683-700 In P. Gerhard, R. G. E. Murray, W. A. Wood, and N. R. Krirg (ed.) Methods for general and molecular bacteriology.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USA 

  18. Kate, K., and K. Itho. 1983. New selective media for Pseudomonas strains producing fluorescent pigment. Soil Sci. Plant Nitr. 29:525- 532 

  19. Kim, I.G., and K.S. Whang. 2002. The observation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viable but non-culturable bacteria in potable groundwater using epifluorescence microscopy.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38:180-185 

  20. Kim, F.J., Chang, K.W., and G.H. Min. 1995.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compost made from food wastes by the fermenting tank. Korean Organic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3:35-42 

  21. Kleeberger. A., H. Castorph., and W. Klingmuller. 1983. The rhiosphere microflora of wheat and barley with special regard to the gram negative bacteria. Arch. Microbiol. 136:306-311 

  22. Kuster, E., and S.T. Williams. 1966. Selection of media for isolation of streptomycetes. Nature(London) 202:928-929 

  23. Leander, F.J., and A.C. Elroy. 1972. Methods for research on the ecology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Burgess Publishing Company. p. 139-166 

  24. Martin, J.P. 1950. Use of acid. rose bengal and streptomycin in the plate method for estimating soil fungi. Soil Sci. 69:215-232. MFAFF, 2006. Actual yield of industrial product 

  25. Moon, B.J., H.S. Chung, and C.T. Cho. 1988. Studies on antagonism of Trichoderma species to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I. Isolatio, identification and antagonistic properties of Trichoderma species, Korean J. Plant Pathol. 4:111-123 

  26. Okuda, T., T. Fujiwara, and M. Fuwara. 1982. Correlation between species of Trichoderma and production patterns of isonitrile antibiotics. Agric. Biol. Chem. 45:1811-1822 

  27. Park, C.S., Y.R. Chung, H.G. Kim, and B.K. Hwang. 1998. Development of ecologically compatible biopesticide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under high quality crop production system. MFAFF. 1-229 

  28. Phae, C.G., S. Masayuki, S. Makoto, and K. Hiroshi. 1990. Characteristic of Bacillus subtilis isolated from composts suppressing phytopathogenic microorganisms. Soil Sci. Plant nutr. 36:575-586 

  29. Sandhu, D.K, and SM. S.idhu. 1980. The fungal succession on decomposing sugar cane bagasse. Trans. Br. Mycol. Soc. 75:281- 286 

  30. Williams, J., J.M. Clarkson, P.R. Mills, and R.M. Cooper. 2003. A selective medium for quantitative reisolation of Trichoderma harzianum from Agaricus bisporus compost. Appl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9:4190-41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