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발에 따른 제주도 용암류대지 지형의 세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va Terraces with Different Elevation in Jeju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2 no.2, 2009년, pp.88 - 97  

현병근 (국립농업과학원) ,  정연태 (토양전문가) ,  현근수 (국립원예특작연구원) ,  문경환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송관철 (국립농업과학원) ,  손연규 (국립농업과학원) ,  장용선 (국립농업과학원) ,  박찬원 (국립농업과학원) ,  홍석영 (국립농업과학원) ,  김이현 (국립농업과학원) ,  최은영 (국립농업과학원) ,  장병춘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제주도 화산회 토양중 용암류대지 지형에 대한 세분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용암류대지 지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매우 많은 토양통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많은 토양통이 용암류대지 지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세분화할 경우 훨씬 다양한 토양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용암류대지 지형의 세분화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용암류대지에 해당하는 토양 38개를 대상으로 해발별로 토양통을 구분하였다. 해발별 구분은 50m 미만, 50-200m, 200-400, 400m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2. 해발별로 구분된 용암류대지 지형을 해발 50m 미만은 용암류대지 하부, 50-200m는 용암류대지 중부, 200-400m와 400m 이상의 경우에는 용암류대지 상부로 세분화하였다. 3. 용암류대지를 세분화한 지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용암류대지하부 지형은 토성이 미사식양질 내지 식질, 배수등급은 다양하였으며, 평균유효토심은 75.3cm, 평균자갈함량은 11.6%, 평균경사는 7.2%, 저해인자는 다양하였고, 토양목도 다양하였다. 용암류대지 중부지형은 토성은 미사식양질 내지 미사사양질, 배수등급은 양호 내지 매우양호, 평균유효토심은 65.9cm, 평균자갈함량은 14.7%, 평균경사는 11.3%, 저해인자는 주로 화산회였으며, 토양목은 주로 Andisols과 Inceptisols이 분포하였다. 용암류대지상부지형은 토성은 미사식양질, 배수등급은 양호, 평균유효토심은 72.8cm, 평균자갈함량은 16.0%, 평균경사는 14.9%, 저해인자는 회산회와 석력이었으며, 토양목은 Andisols이 주로 분포하였다. 4. 수량성 향상 및 고품질 작물생산을 위하여 세분화된 용암류대지의 토양특성에 따른 토양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to increase the practical use of soil survey data through the subdividing of lava shapes with soil sequences due to different elevations in Jeju. The numbers of soil series of lava topography had occupied many of whole soil series in Jeju. W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얻는다. 그러나, 제주도의 용암류대지 지형만으로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기 때문에, 용암류 대지 지형을 더욱 세분화하여 더 많은 토양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 지형 중 용암류대지 지형에 대한 세분화 연구를 수행했으며, 그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또한, 지형의 세분화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Yu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in. H. O. 1991. Nutrient Environment of Japanese Cedar(I.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Grasslands Afforestation). Korean J. Soil Sci. Fert. 24(3):177-182 

  2. Hong. S. D., J. J. Kim., K. B. Min., Bo. G. Kang. and H. J. Kim. 2000. Fertility Evaluatin of Upland fields by combination of landcape and soil survey data with chemical properties in soil. Korean J. Soil Sci. Fert. 33(4):221-233 

  3. Hyeon. K. S., C. S. Park., S. J. Jung. and J. Moon. 198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Developed on the Different Topographie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22(4):271-279 

  4. Jung. B. G., J. W. Choi., E. S. Yun., J. H. Yoon. and Y. H. Kim. 2001. Monitoring on chemical Properties of Bench Marked Upland Soil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4(5):326-332 

  5. Jung. S. J., T. S. Kim., Y. H. Kim. and J. Moon. 1990. Topographic Characteristics. Form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ils Development in Limestone. Korean J. Soil Sci. Fert. 23(1):1-7 

  6. Jung. Y. T. 1995. Agricultural location(Topography and Soil).Taehwa press 

  7. Kim. I. H. and I. H. Nam. 1975. The status and problems of Jeju agriculture. Korean J. Soil Sci. Fert. 8(3):161-170 

  8. Kim. I. T. and G. S. Hyeon. 2000. The illustrated book of the Korean soils in Jeju. Jeju National Folklore Natural Museum 

  9. Lee. C. K. and K. S. Lee. 1975. Soil problems for developing grass land in Jeju. Korean J. Soil Sci. Fert. 8(2):153-160 

  10. Lee. S, K., K. S. Cha. and I. T. Kim. 1983.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aracterization of Soil Organic Matter in Jeju Volcanic Ash Soil. Korean J. Soil Sci. Fert. 16(1):20-27 

  11. Lim, H. C., K. H. Moon. S. J. Jeon. K. M Chang. and H. N. Hyun. 2008. Characteristics of Natural Pedo-geochemical Background for Ni, Cu and Zn I Volcanic Soils of Jeju. Korean J. Soil Sci. Fert. 41(3):199-205 

  12. Moon, K.H., H. C. Lim. and H. N. Hyun. 2007. Distribution of Soil Series in Jeju Island by Proximity and Altitude. Korean J. Soil Sci. Fert. 40(3):221-228 

  13.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NIAST). 1992. General remarks of Korean soils, revised edition 

  14.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NIAST). 2000.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15.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NIAST) 2001. Soil Information System of Korean 

  16. Park, C. S., K. T. Um. and L. Y. Kim. 1984. Variation of Soil Characteristics for Soil Color Groups in Jeju-Do. Korean J. Soil Sci. Fert. 17(2):141-146 

  17. Park. H. S. H. Yoo. and S. B. Hong. 1975.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citrus orchard soils in Jeju. v 

  18. Ryu. I. S., S. H. Yoo. and J. H. Yoon. 1976. The status of soil fertility of Jeju upland soil and improvement. Korean J. Soil Sci. Fert. 8(3):121-133 

  19. Song. K. C. and S. H. Yoo. 1991. Andic Properties of Major Soils in Cheju Island. Korean J. Soil Sci. Fert. 24(4):241-247 

  20. Song. K. C. and S. H. Yoo. 1994a. Andic Properties of Major Soils in Cheju Island(Ⅰ. Characterization of Volcanic Ash Soils by Selective Dissolution Analysis). Korean J. Soil Sci. Fert. 24(2):86-94 

  21. Song. K. C. and S. H. Yoo. 1994b. Andic Properties of Major Soils in Cheju Island(Ⅲ. Conditions for Formation of Allophane). Korean J. Soil Sci. Fert. 27(3):149-157 

  22. Song. K. C., S. J. Jung., B. K. Hyun. Y. K. Sonn. and Y. J. Lee. 2007. Soil Reclassification of Alfisols and Ultisols of Korea. Annual Research Report of NIAST. p326-355 

  23. Song. Y. S., H. K. Kwak. B. Y. Yeon. C. S. Lee. J. H. Yoon. D. Y. Moon and S. C. Lee. 2002. Recommendation of Potimum Amount of Fertilizer Nitrogen Based on Soil Organic Matter for Chinese Cabbage and Cabbage in Volcanic Ash Soils of Cheju Island. Korean J. Soil Sci. Fert. 35(2):105-111 

  24. Sonn. Y. K., B. K. Hyun., S. J. Jung., S. O. Hur., K. H. Jung. Y. C. Seo., and S. K. Ha. 2007.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Unit Basin based on Soil &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Yeongsangnag Basin. Korean J. Soil Sci. Fert. 40(4):262-268 

  25. Yun. E. S., Y. T. Jung. M. T. Kim. and K. Y. Jung. 2000. A Study on the Valley Shapes with Different Parent Rocks. Korean J. Soil Sci. Fert. 33(3):139-144 

  26. Yoo. S. H. and K. C. Song. 1984a.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in Cheju Island(Ⅰ. Variation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with Altitude). Korean J. Soil Sci. Fert. 17(1):1-6 

  27. Yoo. S. H. and K. C. Song. 1984b.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in Cheju Island(Ⅱ. Variation 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itrus Orchard Soil sas a Function of Years of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17(2):161-166 

  28. Yoo. S. H. and K. C. Song. 1984c.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in Cheju Island(Ⅲ. Aluminum composition of the Citrus Orchard Soils). Korean J. Soil Sci. Fert. 17(2):167-172 

  29. Zhang. Y. S., M. H. Um. and P. K. Jung. and J. S. Shin. 2000.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Polder Soils Developed from Alluvio-marine Deposits near to Sapgyo-lake. Korean J. Soil Sci. Fert. 33(6):377-383 

  30. Zhang. Y. S., Y. H. Kim., K. C. Song. and S. K. Kim. 2002.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ero and Miag Series Soils Developed on the Cinder Cones in Jeju Island. Korean J. Soil Sci. Fert. 35(3):145-1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