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3개월간 다른 조건에서 저장한 잎 및 분말녹차의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녹차 추출물은 수분활성도(0.81, 0.69, 0.23)와 온도($25^{\circ}C$, $4^{\circ}C$, $-20^{\circ}C$)를 달리하여 3개월간 저장한 잎 및 분말녹차 시료 1.5 g에 $70^{\circ}C$탈이온수 100mL를 첨가하여 5분간 추출하여 준비하였다. 항산화 특성은 환원력, DPPH radical 소거활성, FRAP 측정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분말녹차 추출물이 잎녹차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각 실험에서 저장조건에 대하여 다른 결과를 보였다. 잎녹차 추출물의 환원력은 $4^{\circ}C$, 수분활성도 0.23 저장조건에서 $1,000{\mu}g/mL$ 농도일 때 가장 높았으나 분말 녹차 추출물은 모든 저장조건에서 동일한 농도일 때 높았다. 특히 잎녹차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약 $1.5{\sim}2$배 더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농도 $15{\sim}125{\mu}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했다. 처리 농도 $125{\mu}g/mL$ 이상에서는 활성이 $80{\sim}90%$로 더 이상의 증가 패턴은 보이지 않았다. 녹차 추출물의 FRAP 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다. 특히 잎녹차 추출물의 경우 $-20^{\circ}C$, 수분활성도 0.69와 0.23일때 $1,000{\mu}g/mL$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녹차의 저장에 있어서 수분활성도 보다는 온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대체적으로 냉장조건($4^{\circ}C$)이 녹차의 항산화 활성과 생리활성성분을 증가 또는 유지시키는데 좀 더 유리함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green tea leaves and powder extracts were determined using several tests including estimation of reducing power,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FRAP(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ssay. All tests indicated that extracts of g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3개월간 다른 조건에서 저장한 잎 및 분말녹차의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녹차 추출물은 수분활성도(0.
  • 3개월간 상온(25℃), 냉장(4℃), 그리고 냉동(-20℃)에서 저장한 잎녹차 추출물의 농도를 각각 달리하여 첨가한 후 금속이온을 환원시키는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는 Fig. 1과 같다. 환원력에서의 흡광도 수치는 그 자체가 시료의 환원력을 나타내며,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질수록 흡광도의 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Blois(20)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농도별 추출물 1 mL에 에탄올로 용해시킨 1.
  • 3개월간 다른 조건에서 저장한 잎 및 분말녹차의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녹차 추출물은 수분활성도(0.81, 0.69, 0.23)와 온도(25℃, 4℃, -20℃)를 달리하여 3개월간 저장한 잎 및 분말녹차 시료 1.5 g에 70℃의 탈이온수 100 mL를 첨가하여 5분간 추출하여 준비하였다. 항산화 특성은 환원력, DPPH radical 소거활성, FRAP 측정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 농도별 추출물 1 mL에 에탄올로 용해시킨 1.5×10-4 M DPPH 용액 4 mL를 가한 후 vortex mixer로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UV-spectrophotometer(UV-1201, Shimadzu, Tokyo, Japan)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 OD)를 측정하였다.
  • 이와 같이 수분 및 온도에 대하여 녹차의 유효성분 및 품질변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잎녹차, 분말녹차로 구분하여 다양한 저장조건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조사한 체계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잎녹차, 분말녹차를 수분 활성도 0.81, 0.69 및 0.23 조건에서 각각 상온, 냉장 및 냉동(25℃, 4℃ 및 -20℃)상태로 3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잎과 분말녹차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 분말녹차 추출물도 잎녹차의 경우와 같이 동일한 저장조건(저장기간, 저장온도, 그리고 수분활성도)을 갖고 실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추출물의 농도를 15~1,000 μg/mL까지 다양하게 준비하여 금속이온을 환원시키는 환원력을 측정하였다(Fig. 2).
  • 수분활성도 0.81, 0.69 및 0.23 조건을 맞추기 위해 밀폐용기(1.4 L)에서 KCH3CO2, KI, (NH4)2SO4의 비율을 조정한 포화염 용액(650 mL)을 만들었으며, 잎녹차 분말녹차 20g을 넣어 3개월 동안 상온, 냉장 및 냉동(25℃, 4℃, -20℃) 조건에서 각각 저장하였다. 녹차 열수추출물은 잎녹차, 분말녹차 2 g에 70℃의 증류수 100 mL를 첨가하여 5분간 추출한 후 No.
  • FRAP assay는 Benzie와 Strain(21)에 의해 고안된 방법이다. 실험을 위해 먼저 0.3 M Sodium acetate buffer(pH 3.6)와 40 mM HCl로 용해시킨 10 mM 2,4,6-tripyridyl-S-triazine(TPTZ) solution, 그리고 20 mM FeCl3 solution을 제조하였다. 미리 제조된 Sodium acetate buffer, TPTZ solution 및 FeCl3 solution을 10:1:1(v/v/v)의 비율로 혼합하여 37℃에서 10~15분간 incubation 시켜 FRAP reagent를 준비하였다.
  • 5 g에 70℃의 탈이온수 100 mL를 첨가하여 5분간 추출하여 준비하였다. 항산화 특성은 환원력, DPPH radical 소거활성, FRAP 측정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분말녹차 추출물이 잎녹차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된 잎녹차와 분말녹차는 경남 하동군 악양면 소재 (주)햇차원에서 제조하였으며(2008년 4월 중순 채취), 분말녹차는 녹차 잎을 분쇄하여 100 mesh sieve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항산화 실험을 위한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potassium ferricyanide, trichloroacetic acid, ferric chloride, 2,4,6-tripyridyl-S-triazine(TPTZ)는 Sigma Chemical Co.

데이터처리

  •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여 mean ± SD로 나타내었으며, 각 평균값에 대한 검증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6.12)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오차, NewmanKeul's multiple range tests로 평균값들에 대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 산소는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 유산소 호흡을 하는 모든 생명체는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라디칼과 활성 산소를 생성한다. 즉,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이나 단핵 세포의 작용, 여러 효소들의 반응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활성 산소는 그 자체로 화학적 친화력이 크기 때문에 모든 세포 성분과 반응하여 세포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가져온다(1-4). 생물학적 반응으로 생성된 free radical을 제거시켜 생체를 보호하는 생리적 항산화 효소로는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glutathione-peroxidase(GSHpx) 및 glutathione S-transferase(GST) 등이 있으며, 저분자로써 항산화제 혹은 free radical scavenger 역할을 하는 것으로 tocopherol, β-carotene, ascorbic acid 및 glutathione 등이 알려져 있다(5).
3개월간 다른 조건에서 저장한 잎 및 분말녹차의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항산화 특성은 환원력, DPPH radical 소거활성, FRAP 측정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분말녹차 추출물이 잎녹차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각 실험에서 저장조건에 대하여 다른 결과를 보였다. 잎녹차 추출물의 환원력은 4℃, 수분활성도 0.23저장조건에서 1,000 μg/mL 농도일 때 가장 높았으나 분말 녹차 추출물은 모든 저장조건에서 동일한 농도일 때 높았다. 특히 잎녹차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약 1.5~2배 더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농도 15~125 μ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했다. 처리 농도 125 μg/mL 이상에서는 활성이 80~90%로 더 이상의 증가 패턴은 보이지 않았다. 녹차 추출물의 FRAP 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다. 특히 잎녹차 추출물의 경우 -20℃, 수분활성도 0.69와 0.23일때 1,000 μg/mL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녹차의 저장에 있어서 수분활성도 보다는 온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대체적으로 냉장조건(4℃) 이 녹차의 항산화 활성과 생리활성성분을 증가 또는 유지시키는데 좀 더 유리함을 나타내었다.
녹차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는 다년생 상록 관목수로 좋은 영양성분과 약리적 성분을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기호성이 뛰어나 오랜 식용의 역사와 함께 문화생활의 한 부분이 되어왔으며(9),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녹차의 음용인구는 매년 20% 이상 증가하여 우리 전통차의 계승, 발전과 외래차의 유입에 따른 외화소비를 막고자 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0). 녹차는 polyphenol, 섬유질, 단백질, 탄수화물, 유리당, 지방, 유리아미노산, peptide, caffeine, 무기질 및 유기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11) 녹차의 성분 중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polyphenol은 건량의 20~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종류로는 flavonoid와 이의 유도물질인 flavanol, flavanones, anthocyanidins, flavones, flavonols 그리고 polyphenolic acid 등이 있다. 특히 polyphenol의 90% 이상이 flavonoid의 유도체 중 단량체인 flavan 3-ol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며, 이 단량체 flavan 3-ol을 catechin류라고 명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Fridovich, I. (1978) Superoxide radicals, superoxide dismutase and the aerobic lifecycle. Photochem. Photobiol., 28, 733 

  2. Han, Y.G. (1997) 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against oxidative damage in Rats treated with acute ethanol.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Green Tea of Korean J. Food Sci. Technol., 4, 143-151 

  3. Bulkey, G.B. (1993) The role of oxygen free radicals in human disease processes, Surgery., 94, 407-411 

  4. Nohl, H. and Jordan, W. (1986) The mitochondrial site of superoxide formation. Biochem. Biophy. Res. Commun.,138, 533-539 

  5. Borrello, S., Seccia, A., Galleott, T., Bartoli, G.M.,Farallo, E. and Serri, F. (1984) Protective enzymes in human epidermal carcinomas and psoriasis. Arch. Dermatol. Res., 276, 338-340 

  6. Ji, L.L. (1993) Antioxidant enzyme response to exercise 

  7. Jeong, C.H., Choi, S.G. and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evaluation of functional activities of Sasa borealis leaf tea. Korean J. Food Preserv., 40, 586-592 

  8. Kim, M.H., Kim, M.C., Park, J.S., Kim, J.W. and Lee,J.O. (2001)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pants used as tea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2-18 

  9. Kim, Y.S., Jung, Y.H., Chun, S.S. and Kim, M.N. (1988) 

  10. Kim, Y.I., Park, J.Y., Choi, S.J., Kim, J.K., Jeong, C.H., Choi, S.G., Lee, S.C., Cho, S.H. and Heo, H.J. (2008)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amyloid β peptide induced neurotoxicity. Korean J. Food Preserv., 15, 743-748 

  11. Sato, T. and Miyata, G. (2000) The nutraceutical benefit, part I: Green tea. Nutr., 16, 315-317 

  12. Kim, S.Y., Jeong S.M. and Lee, S.C. (2004)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catechin of green tea. J. Korean Soc. Food Nutr., 33,753-756 

  13. Oh, C.K., Oh, M.C. and Kim, S.H. (2000) Desmutagenic effects of extracts from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16, 390-393 

  14. Ahmad, N., Feyes, D.K., Nieminen, A.L., Aqarwal, R. and Mukhtar, H. (1997) Green tea constituent epigallocatechin-3-gallate and induction of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in human carcinoma cells. J. Natl. Cancer Inst., 89, 1881-1886 

  15. Cho, Y.J., An, B.J. and Choi, C. (1993) Inhibition effet of aginst angiotensin converting engyme of flavan-3-ols isolated Korea green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25, 238-242 

  16. Fujita, Y., Tamane, T., Tanaka, M., Kuwata, K., Okuzumi, J., Takahashi, T., Fujiki, H. and Okuda, T. (1989) Inhibitory effect of (-)epigallocatechin gallate on carcinogenesis with N-ethyl-N-nitroguamidine in mouse duodeum. Jpn. J. Cancer Res., 80, 503-508 

  17. Kim, Y.S., Jung, Y.H., Chun, S.S. and Kim, M.N. (1988) The kinetics of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in green tea during storage at different water activities and temperatures. J. Korean Soc. Food Nutr., 17, 226-232 

  18. Lee, J.M., Lim, S.W., Cho, S.H., Choi, S.G., Heo, H.J. and Lee, S.C. (2009) Effect of relative humidity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green te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83-88 

  19.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307-315 

  20. Blois, M.A.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1. Benzie, I.F.F. and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2. Diplock, A.T. (1997) Will the good fairies please prove to us that vitamin E lessens human degenerative disease? Free Radicals., 27, 511-532 

  23. Gulati, A., Rawat, R., Singh, B. and Ravindranath, S.D.(2003) Application of microwave energy in the manufacture of enhanced quality green tea. J. Agric. Food. Chem., 51, 4764-4768 

  24. Wang, L.F., Kim, D.M., Lee, C.Y. (2000) Effects of heat processing and storage on flavanols and sensory qualities of green tea beverage. J. Agric. Food Chem., 48, 4227-4232 

  25. Herrmann, K. (1989) Occurrence and content of hydroxycinnamic and hydroxybenzoic acid compounds in foods. Crit. Rev. Food Sci. Nutr., 28, 315-347 

  26. Yoshino, M. and Murakami, K. (1998) Interaction of iron with polyphenolic compounds, applic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Anal. Biochem., 257, 40-44 

  27. Shahidi, F. and Metusalach., Brown, J.A. (1998) Carotenoid pigments in seafoods and aquaculture. Crit. Rev. Food Sci. Nutr., 38, 1-67 

  28. Jang M.J., Ha H.J., Yoon S.R., Noh J.E. and Kwon J.H. (2006) Prediction of optimal leaching conditions for green tea. J. Korean Soc. Food Nutr., 35, 747-753 

  29. Friedman, M., Levin, C.E., Lee, S.U. and Kozukue, N.(2009) Stability of green tea catechins in commercial tea leaves during storage for 6 months. J. Food Sci., 74,H47-51 

  30. Ortiz, J., Ferruzzi, M.G., Taylor, L.S. and Mauer, L.J.(2008) Interaction of environmental moisture with powdered green tea formulations: effect on catechin chemical stability. J. Agric. Food Chem., 56, 4068-40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