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매에 따른 뽕잎과 오디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3, 2009년, pp.442 - 448  

주민정 (한국식품연구원)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현구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뽕잎과 오디를 물, 50% 에탄올, 100%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여 microwave로 추출하여 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뽕잎과 오디의 전자공여작용의 측정결과 모두 용매별 차이를 보였으며, 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65.22{\sim}81.77%$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Tyrosinase는 $20.25{\sim}21.13%$로 20% 내외의 결과를 보였으며 용매별 차이는 없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뽕잎과 오디 모두 에탄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물 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작용의 경우 모든 추출물에서 뽕잎보다 오디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작용, tyrosinase저해작용, SOD 유사활성 모두 물과 50% 에탄올 추출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ACE 저해 작용의 경우 100% 에탄올 추출구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의 증가에 따라 그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뽕잎과 오디 추출구의 경우 SOD 유사활성,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ACE 저해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에서는 낮은 결과를 보였지만 어느 정도의 활성을 보였으며, 우수한 전자공여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추출 시 시료의 양이나 추출물의 농도를 조금씩 높여 준다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ological activities in mulberry leaf and fruit were examined. Electron-donating ability (EDA), tyrosinase activity, SOD-like action (SOD),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y,and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mulberry leaf and fruitextracted with water, with 50% (v/v) or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산화제로서 활용을 위하여 뽕잎과 오디를 이용하여 용매 추출조건에 따른 생리활성을 살펴보고자 전자공여작용, tyrosinase 저해활성, SOD 유사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등의 생리활성 측정을 통해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적용을 위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뽕나무는 무엇인가? 뽕나무는 열대지방부터 온대지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뽕나무과(Moracceae), 뽕나무속(Morus)에 속하는 식물자원으로 꽃은 암수 다른 그루로 6월에 핀다. 수꽃 이삭은 햇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밑으로 처져 달리며, 암꽃 이삭은 길이 5~10 m이고, 암술머리는 2개로 자방에 털이 없다(1).
뽕잎은 본초강목과 동의보감에 무엇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는가? 수꽃 이삭은 햇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밑으로 처져 달리며, 암꽃 이삭은 길이 5~10 m이고, 암술머리는 2개로 자방에 털이 없다(1). 뽕잎은 본초강목과 동의보감에 소갈증, 뇌졸중 등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최근 보고에 의하면 당뇨병을 예방하며 치료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 구성성분으로는 flavones, steroids, triterpenes, 무기질 성분이 다량 존재한다고 한다(2).
뽕잎의 구성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뽕잎은 본초강목과 동의보감에 소갈증, 뇌졸중 등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최근 보고에 의하면 당뇨병을 예방하며 치료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 구성성분으로는 flavones, steroids, triterpenes, 무기질 성분이 다량 존재한다고 한다(2). 또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chlorogenic acid, 칼슘, 칼륨 등의 전해질, pectin, cellulose 등의 식이섬유가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3). 그러나 유효성분이나 효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Jeong, C.H., Joo, O.S. and Shim, K.H. (2002)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young mulberry(Morus alba) stem. Korea J. Food Preserv., 9, 228-233 

  2. Kim, H.B., Lee, Y.W., Lee, W.J. and Moon, J.Y. (2001) Physiological effec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wine with chongilppong. Korean J. Seris. Sci., 43, 16-20 

  3. Lee, J.M., Kim, J.A. and Lee, M.J. (2002) Sensory and physicochemical attributes of boogags using mulberry leaf. Korean J. Dietary Culture, 17, 103-110 

  4. Kim, T.W., Kwon, Y.B., Lee, J.H., Yang, I.S., Youm, J.K., Lee, H.S. and Moon, J.Y.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c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 Setic. Sci., 38, 100-107 

  5. Kim, S.Y., Park, K.J. and Lee, W.C. (199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 204-209 

  6. Kim, H.B., Kim, S.Y., Ryu, K.S., Lee, W.C. and Moon, J.Y. (2001)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 induced hyperlipidemia rats. Korean J. Setic. Sci., 43, 104-108 

  7. Kim, H.B., Kim, A.J. and Kim, S.Y. (2003) The analysis of functional materials in mulberry fruits and food product development trends. Food Sci. Ind., 36, 49-60 

  8. Kim, H.B., Lee, Y.W., Lee, W.J. and Moon, J.Y. (2001) Physiological effec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wine with chongilppong. Korean J. Seric. Sci., 43, 16-20 

  9. Cha, W. S., Shin, H. R., Park, J. H. and Oh, S. L.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from mulberry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11, 383-387 

  10. Giese J. (1992) Advances in microwave food processing. Food Technol., 46, 118-123 

  11. Schiffmann R. F. (1992) Microwave processing in the U.S. food industry. Food Technol., 46, 50-56 

  12. Kang, Y.H., Park, Y.K. and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3. Wong, T.C., Luh, B.S. and Whitaker, J.R.(197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 oxidase of clingston peach. Plant Physiol., 48, 19-23 

  14. Kim, S.M., Cho, Y.S. and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23 

  15.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6. Cushman, D.W. and Ch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7. Gray, J.I. and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o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18. Duncan, D.B. (199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19. Cho, Y.J., Chun, S.S., Lee, K.H., Kim, J.H., Kwon, H.J., An, B.J. and Kim, M.U.(2006) Screening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by extracts from mulberry fruits (Morus albb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5-20 

  20. Cho, Y.J., Ju, I.S., Kim, J.H., Lee, B.J. and Choo, J.W. (2007)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effect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Morus Alba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334-343 

  21. Park, J.H., Chin, Y.G., Shin, U.K., Beak, S.K., Chung, M.H. and Par, Y.I. (1997)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ome herbal drugs. Arch. Pharm. Res., 4, 518-523 

  22. Shimizu, K., Yasutake, S. and Kondo, R. (2003) A new stillbene with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from chlorophpora excelsa. Chem. Pharm. Bull., 51, 318-319 

  23. McCord, J.M.. and Fridovich, I. (1969)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atic function for crythrocuprein (hemocuprein). J. Biol. Chem., 244, 6049-6055 

  24. Halliwell, B. (1974)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solution to the problems of living with oxygen. New Phytol., 73, 1075-1080 

  25. Becana, M., Paris, F.J., Sandalio, L.M and Del Rie, L. A.(1989) Isoenzymes of superoxide dismutase in nodules of Phaseolus vulgaris L., Pisum sativum L. and Vigna unguiculata (L.) Walp. Plant Physiol., 90,1286-1292 

  26. Korycka-Dahl, M., Richardson, T. and Hicks, C.L. (1979)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bovine milk serum. J. Food Prot., 42, 867-871 

  27. Hicks, C.L., Bucy, J. and Stofer, W. (1979) Heat inactiv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in bovine milk. J. Dairy Sci., 62, 529-532 

  28. Walker, J.L., McLellan, K.M. and Robinson, D.S. (1987) Heat stability of superoxide dismutase in cabbage. Food Chem., 23, 245-256 

  29. Rotilio, G., Bray, R.C. and Fielden, E.M. (1972) Heat stability of superoxide dismutase. Biochim. Biophysic.Acta., 268, 605-609 

  30. Donnelly, J.K., Mclellan, K.M., Walker, J.L. and Robinson, D.S. (1989) Superoxide dismutases in foods. A review. Food Chem., 33, 243-270 

  31. Kim, S.J., Han, D., Moon, K.D. and Rhee, J.S. (1995) Measurement of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natural antioxidants. Biosci. Biotech. Biochem., 59, 822-826 

  32. Lim, J.A., Na, Y.S. and Baek, S.H. (2004)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Korean J. Food Sci.Technol., 36, 306-310 

  33. Chung, I.M., Kim, K.H. and Ahn, J.K. (1998) Screening of Korean medical and food plants with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Med. Crop. Sci., 6, 311-322 

  34. Noh, H. and Song, K.B. (2001) Isolation of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oenanthe javanica. Agric. Chem. Biotechnol., 44, 98-99 

  35. Cho, Y.J., Chun, S.S., Kwon, H.J., Kim, J.H., Lee, K.H., An, B.J. and Choo, J.W (2006) Inhibitory effects of water and 80% 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xanthine oxidese. J. Korean Soc. Appl. Bio. Chem., 49, 114-124 

  36. Bartsh, H., Ohshima, H. and Pignatell B. (1988) Inhibition of endogenous nitrosation: Mechanism and implication in human cancer prevention Mit. Res., 202,307-324 

  37. Hyun, S.H., Lee, J.S., Lee, K.B. and Lee, J.S (2007) Antioxidative activity of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47-451 

  38. Kim, H. S. and Joung, S. W. (2006) Effective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root and leaves a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Cookery Sci., 22, 957-965 

  39.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and H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 Chem. 51,1333-13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