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민 한국인 1세대의 생존 태도 유형 - Q 방법론적 접근 -
Types of Survival Attitudes among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Q-Methodological Approach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6, 2009년, pp.603 - 616  

조계화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ubjective opinions of first-generation Korean-Americans about survival. Methods: The Q-methodology which provides a method of analyzing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The 34 selected Q-statements from each of 38 subjects were classifi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분류된 미국 이민 1세대의 생존태도 유형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미국이민 1세대의 생존에 관한 태도유형을 파악하여 이들의 적응과 대처양상을 이(異) 문화적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다문화, 글로벌사회의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소수민족의 건강문제 해결의 방향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관점은 문화적응과 관련한 연구에서 스트레스-대처접근 (Folkman, Lazarus, Gruen, & DeLongis, 1986)에 기반 한 것으로, 이 접근은 문화적 이동을 스트레스 생활 사건으로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적응 자원과 대처 반응이 필요하다고 보는 이론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이민 전 신념과 이민 후의 스트레스 생활사건 및 대처 반응에 따라 이민자들의 생존 태도가 달라 질 것으로 예측하고 이들의 태도 유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 간호실무의 관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는 Leininger (1988)가 언급한 바와 같이 건강전문인으로서 돌봄에서 대상자의 문화적 가치, 우선순위 및 특성 파악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강조했다는 점에 있다. 즉 돌봄 유형은 문화권에 따라 상이하며 돌봄의 행위는 인간의 성장과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므로, 미국 이민 1세대의 생존태도를 파악한 본 연구는 미국 내 소수민족의 건강신념과 돌봄행위를 예측하여 간호 지식체를 발전시 키기 위한 중요한 자료를 제시했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어사전 검색에서 생존은 무엇이라고 표기되어 있는가? 국어사전 검색 (Nate, 2009-a)에서 생존은 명사로서는 ‘살아있음’, 또는 ‘살아남음’의 의미를 지니며 동사로는 ‘여럿 가운데 일부가 죽음을 모면하여 살아서 남아 있게 되다’, ‘어떤 분야에서 밀려나지 않고 존속하다’, ‘생존경쟁에서 살아남다’로 표기되어있다. 영영사전 검색 (Nate, 2009-b)에서는 ‘실존’, ‘현존’, ‘생명유지’로 표기되며, ‘생명이 존재함’, ‘다양한 민족, 문화, 종교적 사회 안에서 존재 하는 상태’로 설명된다.
재미 한인 1세대는 무엇을 경험하면서 우울과 자살 생각 등 노년기의 발달 과업에서 중요한 생의 통합성을 상실할 가능성이 매우 큰가? 특히 재미 한인 1세대는 한국에서 성인기를 거친 이민자들로서 이들은 대부분 차별대우, 의사소통 장애, 사회적, 경제적 지지 자원의 부족과 저소득으로 인한 좌절, 미국 사회에 소속되지 못하는 고독감, 낯선 환경 으로 인한 불안감과 방향감각의 상실을 경험하면서 (Shin et al., 2007), 우울과 자살생각 등 노년기의 발달 과업에서 중요한 생의 통합성을 상실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 분류된 미국 이민 1세대의 생존태도 유형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한 것은? 첫째, 대상자의 특성과 각 유형별 태도에 따른 차별 화된 생존전략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내 소수민족의 생존태도를 규명하여 비교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를 대비한 새로운 간호교육과정 개발을 제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ry, D. T. (2005). Measuring acculturation among male Arab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Immigrant Health, 7(3), 179-184. 

  2. Berry, J. W. (2003). Conceptual approaches to acculturation: In: Chun K, Balls-Organista P, Narin G, ed. Acculturation: advances in theory, measurement and applied research. Washington, DC: APA Press. 

  3. Bhattacharya, G. (2008). Acculturating Indian immigrant men in New York city: Applying the social capital construct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and health. Journal of Immigrant Minority Health, 10, 91-101. 

  4. Cadge, W., & Ecklund, E. H. (2007). Immigration and religion. Annual Review of Sociology, 33, 359-379. 

  5. Cho, G. H. (2007). The confucian origin of the East Asian collectivism. Journal of Korean Psychology, 21, 21-54. 

  6. Cho, M. O. (2008). Aging and temporality of aged in a cl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2), 280-295. 

  7. Folkman, S., Lazarus, R. S., Gruen, R. J., & DeLongis, A. (1986). Appraisal, coping,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 571-579. 

  8. Hahn, D. W. (2006). Correlates of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n culture.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2, 45-79. 

  9. Hovey, J. D. (2000).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entral American immigran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0(2), 125-139. 

  10. Jang, Y. R., Chiriboga, D. A., & Kim, G. Y. (2006). Acculturation and manifestation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15, 51-73. 

  11. Kao, G., & Tirienda, M. (1998). Educational aspirations of minority youth.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3, 349-384. 

  12. Kim, E. J., & Wolpin, S. (2008). The Korean American family: Adolescents versus parents acculturation to American culture. Journal of Cultural Diversity, 15(3), 108-116. 

  13. Kim, H. G. (1992). Understanding of Q-methodology for the study of subjectivity.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6, 1-10. 

  14. Kim, S. J., Lee, S. H., Kim, S. Y., Kim, A. L., Park, H. T., & Lee, Y. J. (2008). Migrant workers'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5), 791-803. 

  15. Koo, J. S., & Kim, U. C. (2006).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n students and adults: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2, 77-100. 

  16. Lee, S. R. (2008). The nature of social personality. Seoul: Davinchihouse. 

  17. Lee, Y. H., Choi, B. A., & Chi, Y. S. (2004). Guidelines for happiness: Lessons from the cases the "happy family story contest".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 41-51. 

  18. Leininger, M. M. (1988). Leininger's theory of nursing: Cultural care diversity and universality. Nursing Science Quarterly, 1(4), 152-160. 

  19. Nate (2009-a, October). Nate Korean dictionary. Retrieved October 21, 2009, from the Nate Web site: http//alldic.nate.com/search/krdic.html 

  20. Nate (2009-b, October). Nate English English dictionary. Retrieved October 22, 2009, from the Nate Web site: http//search.nate.com / search / eedic.html 

  21. Oh, Y. J., Koeske, G. F., & Sales, E. (2002). Acculturation,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2, 511-526. 

  22. Oman, D., & Reed, D. (1998). Religion and mortality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8(10), 1469-1475. 

  23. Park, S. Y., & Bernstein, K. S. (2008). Depression and Korean American immigrant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2, 12-19. 

  24. Porter, J. R., & Washington, R. E. (1993). Minority identity and self-esteem. Annual Review of Sociology, 19, 139-161. 

  25. Raijman, R., & Tienda, M. (2003). Ethnic foundations of economic transactions: Mexican and Korean immigrant entrepreneurs in Chicago. Ethnic and Racial Studies, 26, 783-801. 

  26. Sanders, J. M. (2002). Ethnic boundaries and identity in plural societie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8, 327-357. 

  27. Shin, H. S., Han, H. R., & Kim, M. T. (2007).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st Korean im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A structured interview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 415-426. 

  28. Smedley, B. D., Stith, A. Y., & Nelson, A. R. (2003). Unequal treatment: Confronting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healthcare. Washo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9. Stephenson, W. (1982). Q-Methodology, interbehavioral psychology and quantum theory. The Psychological Record, 3, 238-248. 

  30. Yoon, I. J. (2003). The Korean diaspora: Migration, adaptation, and identity of overseas Koreans. Korean Sociology, 37, 101-1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