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수면 질 관련 양적 연구동향 및 측정도구 분석
Research Trends and Instrument for Assessment in Sleep Qualit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6, 2009년, pp.691 - 704  

손연정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진희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윤현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  김선희 (혜전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and instruments for assessment of sleep quality in Korea. Methods: 66 quantitative research reports published from 2000 to March 2009 in Korea were selected from 5 databases: RISS4U, KISS, KISTI, DBpia, and the National Assemb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수면 질 관련 양적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 동향과 측정도구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수면 질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전반적인 양적 연구동향 및 수면 질 사정을 위해 사용된 자가보고형 측정도구를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국내 대상자의 수면 질 문제를 보다 명확히 사정하기 위해서는 수면 질의 측정을 위해 사용된 도구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차원적 속성을 반영한 수면 질 측정도구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의학 및 보건학을 비롯한 건강관련 분야의 전문학술지 중 수면 질의 속성을 포함하여 수면 질을 측정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국내 수면 질 관련 양적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주관적 수면 질을 사정하기 위해 사용한 자가보고형 측정도구의 분석을 통해 축적된 지식을 파악하고 추후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수면 질 개념을 다룬 국내 양적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수면 질을 측정하는 자가보고형 도구들을 파악하여 향후 간호학을 비롯한 여러 건강관련 분야에서 수면 질을 정의하고 측정함에 있어 보다 표준화된 기준을 가지고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시도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수면의 질 저하는 무엇을 야기하는가? 성인에서는 심뇌혈관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Haselimashhadi et al., 2009), 주간 졸음증은 산업재해 및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고(Doi, Minowa, & Tango, 2003), 노인에서 수면의 질 저하는 낙상 위험성, 만성 피로, 심지어는 섬망 증상까지 야기하다 (Hong & Kim, 2009; Shin, Gong, Kang, Oak, & Yim, 2009). 이에 최근 간호학, 의학을 비롯한 건강관련 분야에서 수면 질은 중요한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Lomeli et al.
수면 질의 측정방법 중 수면다원검사와 수면일기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수면 질의 측정방법으로는 수면다원검사, 활동기록기 등 객관적 평가방법과 자가보고 형식의 설문지와 수면일기 등의 주관적 평가방법이 있다(Krystal & Edinger, 2008), 객관적 평가방법은 중 수면다원검사는 포괄적이고 정확한 수면 양상에 효과적이나 반드시 전문가의 해설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활동기록기는 저렴한 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수면장애를 임상적으로 평가하기에는 정확성이 떨어지는 제한점이 있다 (Buysse, Ancili-Israel, Edinger, Lichstein, & Morin, 2006). 주관적 수면 질 평가방법 중 수면일기는 일상적인 수면 습관을 기록하는 것으로 심한 불면증과 같은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자가보고 형식의 설문지는 수면 질을 회고하여 사정하는 방법으로 신뢰도가 높고 이용하기 쉬우며, 정상수면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Krystal & Edinger, 2008).
수면 질이란 무엇인가? 수면 질(Sleep quality)이란 대개 수면의 깊이, 수면으로 인한 휴식 정도, 수면에 대한 만족과 같은 수면에 대한 전반적이며 주관적인 느낌을 의미하는 것으로, 국외에서 진행된 수면 역학 연구결과에 의하면 성인인구의 약 10 ~ 45%가 수면관련 문제를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Morin, Leblanc, Daley, Gregoire, & Merette, 2006). 국내의 경우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된 불면증의 전체 유병률은 약 30% 정도이며, 수면 무호흡장애는 남자가 27%, 여자가 17%의 유병률을 보인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bad, W. C., Sarinnas, P. S. S., & Guilleminault, C. (2008). Sleep and rheumatologic disorders. Sleep Medicine Reviews, 12, 211-228. 

  2. Bourne, R, S., Minelli, C., Mills, G. H., & Kandler, R. (2007). Clinical review: sleep measurement in critical care patients: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s. Critical Care, 11(4), 226-242. 

  3. Buysse, D. J., Ancili-Israel, S., Edinger, J. D., Lichstein, K. L., & Morin, C. M. (2006). Recommendations for a standard research assessment of insomnia. Sleep, 29(9), 1155-1173. 

  4. Buysse, D. J., Hall, M., Tu, X. M., Land, S., Houck, R. R., Cherry, C. R., Kupfer, D. J., & Fank, E. (1989). Latent structure of EEG sleep variable in depressed and control subjects: Descriptions and clinical correlates. Psychiatry Research, 79(2), 105-122. 

  5. Doi, T., Minowa, M., & Tango, T. (2003). Impact and correlates of poor sleep quality in Japanese white-collar employee. Sleep, 26(4), 467-471. 

  6. Folkard, S., Lombardi, D. A., & Tucker, P. T. (2005). Shiftwork: Safety, sleepiness and sleep. Industrial Health, 43(1), 20-23. 

  7. Harvey, A. G., Stinson, K., Whitaker, K. L., Moskovitz, D., & Virk, H. (2008). The subjective meaning of sleep quality: A comparison of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insomnia. Sleep, 31(3), 383-393. 

  8. Haseli-mashhadi, N., Dadd, T., Pan, A., Yu, Z., Lin, X., & Franco, O. H. (2009). Sleep quality in middle-age and elderly chinese: distribution, associated factors and associations with cario-metabolic risk factors. BMC Public Health, 9, 130. 

  9. Harmat, L., Takaces, J., & Bodizs, R. (2008). Music improves sleep quality in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3), 327-335. 

  10. Hedges, D., & Albano, J. (2007). Sleep quality and noise disturbances in a cardiac / trauma step-down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6(3), 302-310. 

  11. Hong, S. H., & Kim, S. Y. (2009). Effects of sleep promoting program on sleep and immune response in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2), 167-178. 

  12. Irwin, M, R., Olmstead, R., & Motivala, S. J. (2007). Improving sleep quality in older adults with moderate sleep complai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ai Chi Chin. Sleep, 31(7), 1001-1008. 

  13. Kamel, N. S., & Gammack, J. K. (2006). Insomnia in the elderly cause, approach and treatment.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19(6), 463-469. 

  14. Kim, H. S., Lee, M. H., & Kim, S. Y. (2008).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sleep among patients at surgical intensive care unit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3), 365-374. 

  15. Kim, J. K., In, K. H., Kim, J. H., You, S. H., Kang, K. H., Shim, J., Lee, S., Lee, J., Lee, S., Park, C., & Shin, C. (2004). Preval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70(10), 1108-1113. 

  16. Krystal, A. D., & Edinger, J. D. (2008). Measuring sleep quality. Sleep Medicine, 9(1), 10-17. 

  17. Kwon, K. H., & Suh, S. R. (2009). Quality of sleep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1), 34-42. 

  18. Lee, E. H., Tak, S. J., & Song, Y. (2005). Analyses of the studies on cardiovascular disease-specific quality of life reported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7(3), 452-463. 

  19. Lomeli, H., A., Perez-Olmos, I., Talero-Gutierrez, C., Moreno, C. B., Gonzalez-Reyes, R., Palacios, L., de la Pena, F., & Munoz-Delgado, J. (2008). Sleep evaluation scales and questionnaires: A review. Actas Espanolas de Psiquiatria. 36(1), 50-59. 

  20. Morin, C. M., Leblanc, M., Daley, M., Gregoire, J. P., & Merette, C. (2006). Epidemiology of insomnia; prevalence, self-help treatments, consultations, and determinants of helpseeking behaviors. Sleep Medicine, 7, 123-130. 

  21. Oh, J. J., Song, M. S., & S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3), 563-572. 

  22. Perlis, N. L., Giles, D. E., Mendelson, W. B., Bootzin, R. R., & Wyatt, J. K. (1997). Psychophysiological insomnia: The behavioral model and a neuro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Sleep Research, 6, 179-188. 

  23. Shin, K, R., Gong, S. J., Kang, Y., Oak, J. W., & Yim, E. J. (2009). The relationship of late-life function and disability (LLFDI) with quality of sleep in older men with prostatic hypertrophic sympto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1), 43-52. 

  24. Vitiello, M. V., Larsen, L. H., & Moe, K. E. (2004). Age-related sleep change gender and estrogen effects on the subjectiveobjective sleep quality relationships of healthy, noncomplaining older men and wome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6(5), 503-510. 

  25. Yi, H. R. (2005). Development of the sleep quality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a Women University, Seoul. 

  26. Yi, H. R., Shin, K. R., Kim, J. Y., Kim, J. S., Lee, J. B., & Shin, C. (200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leep quality scale in subjec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6, 85-88. 

  27. Yoon, J. M. (2007). Characteristics of sleep disord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ournal of Korean Child Neurology, 15(2), 185-191. 

  28. Yuksel, H., Sogut A., Yilmax, O., Demet, M., Ergin, D., & Kirmaz, C. (2007). Evaluation of sleep quality and anxiety-depression parameters in asthmatic children and their mothers. Respiratory Medicine, 101(12), 2550-25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