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hristian Dior과 Martin Margiela 패션 작품 도상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hristian Dior's and Martin Margiela's Fashion Works in Terms of Iconolog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5, 2009년, pp.115 - 134  

윤지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Christian Dior's and Martin Margiela's fashion works that create 'New look' which leads the periodic ideology, philosophies, circumstances and the trend at that time. For the systematized interpret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conology of E. Panofsky, E. H. Gombrich and N. ...

주제어

참고문헌 (90)

  1. Welters, L. & Lillethun, A. (2007). The Fashioned Reader, Oxford . New York: Berg, p. XX 

  2. Liebmann, M. (1964). Ikonographie und Ikonologie: Ikonologie. 송혜영 역 (2003).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서울: 사계절, pp. 245-275 

  3. 또한 Encyclopedia of World Art(세계 미술 백과사전)에서 도상학과 도상해석학을 찾아보면, 이상적 형태의 도상해석학은 '미술 해석에서 가장 통합적이면서도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방법이다. 이것은 인간의 예술적 성과를 가능한 한 완전하게 이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Forssman, E. (1966). Ikonologie und allgemeine Kunstgeschichte. 송혜영 역 (2003).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서울: 사계절, p. 197 

  4. Todd Gitlin (1989). Postmodernism: Roots and Politics. Cultural Politics in Contemporary America에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논의하면서 정치적인 관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착을 1960년대 이후로 언급하고 있다 

  5. 기틀린. T. (1989). 포스트 모더니즘의 기원과 정치학. 이영철, 이은주 (편), 21세기 문화 미리 보기: 시각예술과 문화정치학 시리즈 2 (pp. 133-151). 서울: 시각과 언어.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은 1950년대에는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의미를 가지며 문화면에서 간헐적으로 나타났다가 1960년대에는 낙관적인 의미의 대항문화(Counter Culture)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미술사에서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일반적으로 포스트모던 회화의 발생시기를 1960년대로 보고 있다. 찰스 젠크스(Charles Jencks)는 포스트모던 회화의 전개 과정을 1960년대부터 십년을 단위로 서술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류 및 서술은 포스트 모더니즘이 영 . 미권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포스트모던의 출발의 사회적 특성인 후기 산업사회의 징후를 미국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타당성을 지닌다고 하겠다 

  6. 변영환. (1999). Post-Modernism에 대한 고찰: 서구와 한국의 포스트모던 회화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5-28 

  7. Gill, A. (1998). Deconstruction Fashion: The Making of Unfinished, Decomposing and Re-assembled Clothes. Fashion Theory: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2(1), p. 27 

  8. Panofsky, E. (1972). Studies in Iconology: Humanistic Themes in the Art of the Renaissance. Oxford: Westview Press, p. 3 

  9. Kaemmerling, E. (1973). Ikonographie und Ikonologie: Theorien Entwickung, Probleme. 노성두 역 (2003).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서울: 사계절, p. 4 

  10. 강미정 (2003). E. Panofsky의 미술사학에 대한 재고찰. 서울대학교 인문논총, 50, p. 213 

  11. Panofsky, E. op. cit., pp. 3-4 

  12. Bialostocki, J. (1973). Ikonographie und Ikonologie: Skizze einer Geschichte der beabsichtigten und der interpretierenden Ikonographie. 홍진경 역 (2003). 도상학과 도상 해석학. 서울: 사계절, p. 51 

  13. Panofsky, E. (1967). Studies in Iconology: Humanistic Themes in the Art of the Renaissance. 이한순 역 (2002). 도상해석학. 서울: 시공사, pp. 25-40 

  14. Gombrich, E. H. (2000). Art and Illusion. Oxfordshi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87 

  15. Mitchell, W. J. T. (1987). Iconology: Image, Text, Ideolog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65 

  16. Winner, E. (2004). Invented Worlds: The Psychology of the Arts. 이모영 . 이재준 역 (2004). 예술심리학. 서울: 학지사, p. 148 

  17. Steele, V. (1997). Exhibition Review: Christian Dior. The Costume Institute.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Fashion Theory: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1(2), p. 233. 

  18. Breward, C. (2003). Fash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174-175 

  19. 고영아 (1993). Christian Dior. 서울: 도서출판이즘, p. 37 

  20. Golbin, P. (1999). Fashion Designers. New York: Watson-Guptill Publications, p. 55 

  21. 고영아. 앞의 책, p. 75 

  22. Steele, V. (1997). op. cit., p. 239 

  23. Pochna, M. F. (1996). Dior. Paris: Editions Assouline, p. 32 

  24. Ibid., p. 44 

  25. Koda, H. (2005). Extreme Beauty. New York: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109 

  26. 'La Cigale' dress Autumn/ Winter 1952.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retrieved 2009, January 21, from http://www.metmuseum.org/toah/hd/coho/ho_C.I.59.26.3a,b.htm 

  27. Golbin, P. op. cit., p. 51. 

  28. 'Arsene Lupin' theater dress Autumn/ Winter 1954.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retrieved 2009, January 21, from http://www.metmuseum.org/toah/hd/dior/ho_C.I.59.26.2a,b.htm 

  29. Steele, V. (2006). op. cit., p. 22 

  30. Steele, V. (1997). op. cit., p. 239 

  31. 'A' ensemble Spring/ Summer 1955.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retrieved 2009, January 21, from http://www.metmuseum.org/toah/hd/dior/ho_C.I.55.63a-c.htm 

  32. Pochna, M. F. op. cit., p. 41 

  33. Spring/ Summer 1989 Collections. Fashionoffice. retrieved 2009, January 24, from http://www.fashionoffice.org/who/margiela.htm 

  34. Fukai, A. (2002). Fashion: A History from the 18th to the 20th Century. Koln . London . Los Angeles . Madrid . Paris . Tokyo: Taschen, p. 675 

  35. Evans, C. (1998). The Golden Dustman: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work of Martin Margiela and a review of Martin Margiela: Exhibition(9/4/1615). Fashion Theory: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2(1), p. 75 

  36. Autumn/ Winter 1997 Collection. Firstview Martin Margiela Collections. retrieved 2009, February 10, from http://www.firstview.com/collection.php?s_d956 

  37. '9/4/1615'. Boijmans Van Beuningen Exhibition. retrieved 2009, January 24, from http://thecookiejar.blogspot.com/2009_01_01_archive.html 

  38. Evans, C. op. cit., pp. 76-79 

  39. Fukai, A. (2002). op. cit., p. 676 

  40. Autumn/ Winter 1988 Collection. Creature de Keis. retrieved 2009, January 24, from http://keihui.blogspot.com/2009/01/maison-martin-margiela-collection.html 

  41. Spring/ Summer 1999 Collection. Firstview Martin Margiela Collections. retrieved 2009, February 10, from http://www.firstview.com/collection.php?s_d956 

  42. Spring/ Summer 2001 Collection. Firstview Martin Margiela Collections. retrieved 2009, February 10, from http://www.firstview.com/collection.php?s_d956 

  43. Spring/ Summer 2006 Collection. ON Collection Magazine. retrieved 2009, February 10, from http://www.miztv.com/collection/World/Brand/?uYear2009&uSeasonSS&uCityNamePARI 

  44. Rethy, E. D. & Perreau, J. L. (1999). Christian Dior: The early years 1947-1957. New York: The Vendome Press, p. 7 

  45. Steele, V. (1997). op. cit., p. 235 

  46. Steele, V. (2006). op. cit., p. 15 

  47. Rethy, E. D. & Perreau, J. L. op. cit., p. 121 

  48. 고영아. 앞의 책, p. 119 

  49. Hollander, A. (1982). When Worth Was King, In L. Welters & A. Lillethun (Eds.), The Fashioned Reader (pp. 314-318). Oxford . New York: Berg 

  50. Steele, V. (2006). op. cit., p. 163 

  51. Dries Van Noten, Ann Demeulemeester, Walter Van Beirendonck, Dirk Bikkembergs, Dirk Van Saene, Marina Yee이 속한다 

  52. Gill, A. (1998). Deconstruction Fashion: The Making of Unfinished, Decomposing and Re-assembled Clothes. Fashion Theory: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2(1), p. 27 

  53. 이상희. (2001). 현대 벨기에 패션디자이너에 관한 연구: 마틴 마지엘라와 드리스 반 노튼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9 

  54. Gill, A. op. cit., p. 26 

  55. Ibid., pp. 25-26 

  56. Kennett, F. (1984). Secrets of the Couturiers. London: Orbis, p. 64 

  57. 'Abandon' afternoon dress Autumn/ Winter 1948.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retrieved 2009, January 21, from http://www.metmuseum.org/toah/hd/dior/ho_C.I.58.7.8a,b.htm 

  58. Golbin, P. op. cit., p. 50 

  59. Buxbaum, G. (1999). Icons of Fashion: The 20th Century. Munich. Berlin . London . New York: Prestel, p. 63 

  60. Golbin, P. (1999). Fashion Designers. New York: Watson-Guptill Publications, p. 51 

  61. Entwistle, J. (2000). The Fashioned Body. Cambridge: Polity Press, p. 6 

  62. Steele, V. (1997). op. cit., p. 240 

  63. Breward, C. op. cit., p. 172 

  64. Arnold, R. (2001). Fashion, Desire and Anxiety. New Brunswick, New Jersey: Rutgers University Press, pp. 4-6 

  65. Steele, V. (1997). op. cit., p. 235 

  66. 'Cherie' dinner dress Spring/ Summer 1947.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retrieved 2009, January 21, from http://www.metmuseum.org/toah/hd/dior/ho_C.I.48.13a,b.htm 

  67. Arnold, R. op. cit., p. 6 

  68. Breward, C. op. cit., p. 177 

  69. Ibid., p. 14 

  70. O'Neill, A. (2001). Imagining Fashion: Helmut Lang & Maison Martin Margiela. In C. Wilcox (Ed.), Radical Fashion (pp. 39-43). London: V & A Publications 

  71. Steele, V. (2006). op. cit., p. 162 

  72. Breward, C. op. cit., p. 236 

  73. Steele, V. (2006). op. cit., p. 163 

  74. Evans, C. op. cit., pp. 73-75 

  75. 'Martin Margiela 9/4/1615'. cfa: Contemporary Fashion Archive. retrieved 2009, February 10, from http://www.contemporaryfashion.net/index.php/none/none/113/uk/exhibition.html 

  76. Evans, C. op. cit., pp. 77-90 

  77. O'Neill, A. op. cit., p. 39 

  78. Evans, C. op. cit., pp. 81-87 

  79. Wilcox, C. (2001). Radical Fashion. London: V &A Publications, p. 4 

  80. Martin Margiela S/S 2009 Collection. The fashion police. retrieved 2009, February 10, from http://www.thefashionpolice.net/2008/09/maison-martin-m.html 

  81. Gill, A. op. cit., pp. 41-44 

  82. Hollander, A. (1993). Seeing through Clothes. Berkeley . Los Angeles .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391 

  83. 황성림 (2003). 페르낭 크노프 미술세계에 나타난 나르시스적 자아탐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18 

  84. 이동용 (2001). 나르시스, 그리고 나르시시즘: 릴케시 분석. 서울: 책읽는 사람들, p. 69 

  85. Entwistle, J. (2007). The Dressed Body. In L. Welters & A. Lillethun (Eds.), The Fashioned Reader (pp. 93-104). Oxford . New York: Berg 

  86. O'Neill, A. op. cit., p. 40 

  87. Gill, A. op. cit., p. 35 

  88. Ibid., p. 31 

  89. 세 단어의 사전적 의미는 실루엣(Silhouette)은 의복 전체의 윤곽선(outline or contour)을, 라인(line)은 주어진 계절에 디자이너가 제조업자에 의해 제시된 스타일이나 디자인 컬렉션을, 형태(form)는 어떠한 구조나 전체를 이루고 있는 구성체의 모양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루엣은 가장 좁은 의미로 작품 전체의 형(形)적 특성을, 라인은 디자이너가 언급하고 있는 특정적인 형(形)을, 그리고 형태는 가장 포괄적인 의미로 모든 형(形)적 특성을 포함한다 

  90. 패턴(pattern)은 원단 표면의 시각적인 형태적 특성을, 원단(fabric)은 옷감의 재료를, 소재(material)는 일반적인 옷감 외의 재료를 비롯해 작품을 형성하는 모든 재료를 포함한다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