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족적 관점에서 본 경성도서관(京城圖書館)의 사회교육과 독서운동 실태 및 의의
A Study on Social Education, Reading Movement and Meaning of the Gyeongseong Library Which Observe From Ethnic Viewpoint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0 no.2, 2009년, pp.375 - 407  

윤금선 (동덕여자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초록

이 연구에서는 민족적 관점에서 경성도서관의 건립 의의를 살펴보고, 경성도서관의 사회교육 방향과 독서운동의 실태를 고찰하고자 했으며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경성도서관은 당시 조선인이 경영했던 유일한 도서관이었을 뿐만 아니라 건립 초기부터 국내외 조선인에게 관심의 대상이었고 이의 유지를 위해 저널과 관민의 힘도 적지 않았다. 그 생명은 길지 않았으나 민족 지식의 보고이자, 민족 사업으로서 식민지하 조선인에게는 상징적으로 의미하는 바가 컸다. 둘째, 경성도서관은 우리나라의 최초의 공공도서관일 뿐 아니라 여자교육을 위한 강습소마련 및 부인강좌 개최, 야학 등을 실시했고, 아동을 위한 동화회 개최, 빈한한 가정의 아동에게 보통교육 실시, 기타 각종 문화 사업 등을 펼침으로써 여성교육과 아동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여 사회교육 기관으로서 기능하였다. 셋째, 당시 도서관의 독서경향을 살폈는데 열람 상황은 성별로는 남자가 대부분이며 여성 독자는 소수였고, 직업별로는 학생층이 최다였으며 독서 분야로는 문학, 어학 등이 가장 많이 읽힌 편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about Social Education, Reading Movement and Meaning of the Gyeongseong Library which observe from ethnic viewpoint. The result is same as following. First, The Gyeongseong library is the unique library which korean people build, and they thought very seriously. So, tried to keep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교육이 남성에 비하여 부차적인 것이었던 당대의 사회적인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 이유는? 이것은 가정에서 공부할 개인 공간을 갖기 힘들었던 당대 상황에서 도서관이 바로 공부방이 되는 도서관의 열람실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학생의 경우 근대 초기부터 도서관을 찾는 열람자가 책을 열람하기 위한 목적보다 공부하기 위한 공간으로 방문하고 있었다는 점을 다시금 확인케 했다. 또한 여성 독서자 수가 남성 독서자 수에 비하여 훨씬 저조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여성교육이 남성에 비하여 부차적인 것이었던 당대의 사회적인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독서 분야는 시기별로 대표적인 경향을 살폈는데, 23년도 개관 초기 독서 분야에서는 문학, 사상서, 어학 등이 최다였고, 25년 중반기에는 그 읽기 대상이 법률, 사회 분야로 변화되고 있어 전 시기와 차이점을 드러냈다.
도서관 설립 시기의 특징은? 1920년대 경성에서는 소위 사회사업이라 하여 활동사진관, 도서관, 박물관 등의 건립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시기이다.2) 특히 도서관 설립은 “아는 것이 힘”이라고 여기던 당대에 주요 관심 사안 이었고 이의 확충이 요구되었던 시기였다.3)
경성도서관이란? 경성도서관은 1920년 11월에 건립된 도서관으로서 당시 조선인 경영으로 유일했던 도서관이었다. 김윤식(金允植), 윤익선(尹益善), 윤양구(尹亮求) 등의 유지들은 취운정(翠雲亭)을 인수하여 ‘경성도서관(京城圖書館)’이라는 이름의 도서관을 건립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1920-1970). 

  2. (1920-1970). 

  3. (1920-1930). 

  4. (1920-1930). 

  5. (1920-1930). 

  6. (1960-1990). 

  7. 박영민. "독서 교육의 성격과 유형." 청람어문교육(청람어문교육학회) 제31집(2005), pp.53-74. 

  8. 박영순.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한국어학(한국어학회), 6집(1997). pp.112-132. 

  9. 신헌재 외. 독서 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 서광학술자료사. 1993. 

  10. 손영애.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서울 : 한국문화사. 2002. 

  11. 윤금선. "1920-30년대 독서운동 연구." 한말연구(한말연구학회), 제17집(2005), pp.129-167. 

  12. 윤금선. "해방 이후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 국어교육연구(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제17집 (2006), pp.333-380. 

  13. 윤금선. "日帝强占期 學生 讀書運動 硏究." 語文硏究(韓國語文敎育硏究學會), 제133호(2007), pp.389-413. 

  14. 윤여탁 외. 국어교육 100년사(1)-(2).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15. 이경화. "도서관 활용 독서교육의 방안." 청람어문교육(청람어문교육학회), 제32집(2005), pp.75-97. 

  16. 이연옥.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사, 서울 : 한국도서관협. 2002. 

  17. 조은숙. "동화회(童話會)" 연구 - 공동체적 독서에서 독서의 공동체로." 민족문화연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제45권(2006), pp.226-227. 

  18.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서울 : 푸른역사. 2003. 

  19. 허재영. "국어과 교육과정과 독서교육론의 전개 - 학문적 정체성 확립 과정을 중심으로." 한말연구(한말연구학회), 제16집(2005), pp.265-301. 

  20. 한철우. "독서교육 연구 및 지도방안 탐색 : 독해과정 연구와 독서 교육; 1970년대 이전." 한국국어교육연구회논문집(한국어교육학회) 33(1988), pp.18-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