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기똥풀 추출액으로 염색한 견직물의 항균성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ilk Fabrics Dyed with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1 no.5, 2009년, pp.827 - 832  

정진순 (세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ientifically proof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natural dye which has antimicrobial activity with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For that silk fabrics dyed with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extracts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Bacterials used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농축액을 증류수로 희석한 것을 염액으로 하여 견직물에 소정 횟수 반복(2회, 4회, 6회)염색하고 2종의 세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과 1종의 사상균-Trichophyton mentagrophytes IFO 5466-에 대하여 항균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반복 염색에 따른 각 염색포의 표면염착농도와 항균성과의 상관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일광 조사 및 드라이클리닝 후 염색포의 균에 대한 내일광성과 내드라이클리닝성을 측정하였다.
  • 이상과 같이 애기똥풀에 관한 연구가 다수 보고되어 있으나 애기똥풀 추출액으로 염색한 직물의 항균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애기똥풀을 이용하여 항균성을 가지는 천연염재로서의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자 한다. 그를 위하여 먼저 자연 건조한 애기똥풀을 메탄올로 추출, 농축하였다.
  • 본 연구는 예부터 무좀, 습진 등 피부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애기똥풀을 이용하여 항균성을 가지는 천연염재로서의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였다. 사용한 시험균은 2종의 세균-피부습진, 내의 악취의 원인균인 S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기똥풀은 무엇인가? 애기똥풀은 양귀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길옆이나 들판에 흔하게 자라는 풀이다. 식물의 줄기를 자르면 진한 노랑색의 진이 나오는데 그것이 애기 똥처럼 노랗다고 해서 애기똥 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김재길, 1995; 이영노, 1996).
예전부터 민간에서는 애기똥풀을 어떤 증상 및 질환에 사용하였는가? 순 우리말로는 젖풀이라고 하고 한자로는 백굴채라고 한다. 예로부터 애기똥풀은 민간에 약이 되는 풀로 널리 알려졌는데 피부병, 각종 암, 눈병, 관절염, 무좀, 위염, 위경련, 위궤양, 간염, 복통, 소화기 질병 등에 사용되어 왔다(네이버 애기똥풀 사이트).
의복을 화학약품으로 항균방취가공 처리한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따라서 섬유에서 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악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항균방취가공 처리를 한 의복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화학약품으로 처리한 가공제품을 착용하였을 경우 인체피부표면에서 발생한 땀이나 불감증설로 의복이 습해지면 섬유에서 항균제가 점차 빠져나와 피부장해를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 세탁 등에 의하여 항균제가 물속으로 빠져나와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中島照夫, 1989; 中島 照夫, 1991, 中島照夫, 1994). 따라서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초래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기능성 천연염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민수, 황방연, 최상길, 이명구, 노재섭, 이경순. (2000). 애기똥풀 과실의 Alkaloid 성분. 생약학회지, 31(4), 390-393 

  2. 김영옥. (1986). 국산 백굴채 엑스의 급성 경구독성과 항염작용에 관한 연구. 원광대 학교 대학원 약학과 석사학위논문 

  3. 김재길. (1995). 동양전통약물 원색도감. 서울: 영림사, pp. 325 

  4. 서석진. (2006). 애기똥풀(Chelidonium majus L.) 및 곽향(Herba Agastache) 열수추출물의 항산화효과와 Nitric Oxide 생성 유도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소진백, 김호철, 안덕균. (1997). 백굴채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13(2), 63-72 

  6. 양재헌, 은재순, 이남희. (1995). 베르베린 제제의 생체이용율에 관한연구(II):황련과 감초 공침물의 항균효과 및 생체이용율. 약제학회지, 25(3), 185-192 

  7. 이영노. (1996). 원색한국식물도감. 서울: 교학사, pp. 237 

  8. 최경은, 강성일, 이전숙, 정용식. (2006). 애기똥풀 추출액에 대한 Polycarboxylic Acid 처리 면직물의 염색 특성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9(1), 43-50 

  9. 최경은, 이전숙, 강성일. (2004). 애기똥풀 추출액을 이용한 견직물 염색. 대한가정학회지, 42(7), 55-61 

  10. 中島照夫. (1989). 最近の抗菌防臭加工纖維製品の問題と對策. 染色工業, 37(5), 224 

  11. 中島照夫. (1991). 抗菌防臭加工纖維製品の最近の動向と課題(下). 纖維科學, 33(7), 15 

  12. 中島照夫. (1994). 抗菌防臭加工とMRSAについて. 纖維科學, 36(8), 15 

  13. 弓削治. (1982). [I]-2 衛生加工. 纖消誌, 23(9), 363 

  14. 弓削治. (1990). 抗菌防臭. 大阪:纖維社, pp. 44-45, 48 

  15. Freile M. L., Giannini F., Pucci G., Sturnoolo A., Rodero L., Pucci O., Balzareti V. and Enriz R. D.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aqueous extracts and of berberine isolated from Berberis heterophylla. Fitoterapia, 74(7-8), 702 

  16. Han Y. (2002). Berberine synergy with amphotericin B against growth of Candida albicans. Dongduk Pharml. Res, 6(6), 49 

  17. Lenfeld J., Kroutil M., Marsalek E., Slavik J., Preininger V. (1981).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quaternary benzophenanthridine alkaloids from Chelidonium majus. Planta. Med. 43(2), 161-165 

  18. [No authors listed]. (2000). Berberine. Altern Med. Rev. 5(2), 175 

  19. Stermitz F. R., Lorenz P., Tawara J. N., Zenewicz L. A. and Lewis K. (2002). Synergy in a medicinal plant:Antimicrobial action berberine potentiated by 5'-methoxyhydnocarpin, a multidrug pump inhibitor. Proc. Natl. Acad Sci. USA. 97(4), 1433 

  20. 네이버 애기똥풀 사이트. 자료검색일 2009. 3. 18, 자료출처 http://user.chollian.net/-yesooj/mincho/agiddn.ht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