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미생간탕(加味生肝湯)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지방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isaenggan-tang on High Fat Diet-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0 no.2, 2009년, pp.365 - 374  

최미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실) ,  우홍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실) ,  김영철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실) ,  이장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isaenggan-tang on high fat diet 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ethods: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Normal group was fed a solid diet containing 10% fat. The Gamisaenggan-tang (GS) group was f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비알코올성의 지방간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뚜렷한 치료 약물이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에서 지방간의 한의학적 치료에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이에 저자는 加味生肝湯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투여한 실험동물의 체중, 간무게, 혈청의 생화학적 검사 및 간의 병리조직검사 등을 시행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 저자는 加味生肝湯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알코올성 지방간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란 무엇인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fatty liver disease,NAFLD)은 유의한 알코올 섭취나 바이러스성 간염,약물성 간염,자가면역성 간염 없이 나타나는 간질환으로 단순지방간,지방간염,간경변증,간세포 암종을 모두 포함한다 1-2.국내에서 NAFLD 의 유병률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아직 없으며 3,미국에서는 일반 인구의 17-33% 정도로 추산되며, 비만 인구에서는 30-100%에 이른다고 한다 4-6
加味生肝湯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6주간의 고지방식이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한 다음 체중변화, 간무게,혈액검사,조직 검사 등을 시행하여 얻은 결론은 무엇인가? 1.체중은 HFD-GS군에서 Control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간무게는 평균적으로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2.혈청 간기능 검사 결과,HFD-GS군은 Control군에 비해 ALT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으며,GGT는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ALP는 HFD-GS군이 Control군에 비해 평균적으로는 낮게 측정되었으나,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3.TNF-α에 대하여 westernblot을 시행한 결과, Control군에 비하여 HFD-GS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됨을 볼 수 있었다. 4.간조직의 TG양은 HFD-GS군에서 Control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5.간조직 관찰 결과,HFD-GS군은 Control군에 비하여 fatgranules가 적게 관찰되었다.
미국에서 NAFLD는 일반인구의 몇 퍼센트 정도인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fatty liver disease,NAFLD)은 유의한 알코올 섭취나 바이러스성 간염,약물성 간염,자가면역성 간염 없이 나타나는 간질환으로 단순지방간,지방간염,간경변증,간세포 암종을 모두 포함한다 1-2.국내에서 NAFLD 의 유병률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아직 없으며 3,미국에서는 일반 인구의 17-33% 정도로 추산되며, 비만 인구에서는 30-100%에 이른다고 한다 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an E, Durazo F, Tong M, Hong K.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athogenesis, identification, progression, and management. Nutr Rev. 2007; 65(8):376-84. 

  2. Ludwig J, Viggiano TR, McGill DB, Oh BJ.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Mayo Clinic experiences with a hitherto unnamed disease. Mayo Clin Proc. 1980;55(7):434-38. 

  3. 정재연.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치료. 대한간학회지. 2007;13(2s):9-16. 

  4. Bedogni G, Miglioli L, Masutti F, Tiribelli C, Marchesini G, Bellentani S.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e Dionysos nutrition and liver study. Hepatolgy. 2005;42(1):44-52. 

  5. Gambarin-Gelwan M, Kinkhabwala SV, Schiano TD, Bodian C, Yeh HC, Futterweit W. Prevale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woma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07;5(4):496-501. 

  6. Damaso AR, do Prado WL, de Piano A, Tock L, Caranti DA, Lofrano MC, Carnier J, Cristofalo DJ, Lederman H, Tufik S, de Mello MT. Relationship betwee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revalence and visceral fat in obese adolescents. Dig Liver Dis. 2008;40(2):132-9. 

  7. SanYal AJ, Campbell-Sargent C, Mirshahi F, Rizzo WB, Contons MJ, Sterling RK, Luketic VA, Shiffman ML, Clore JN.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Association of insulin resistance and mitochodrial abnormalities. Gastroenterolgy. 2001;120(5):1183-92. 

  8. 김홍규, 서찬종, 윤효종, 황용하, 이기영, 박혜영, 김갑환, 강문호.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대사성질 환들과의 연관성. 대한내분비학회지. 2002;17(4): 526-34. 

  9. 유권. 비알콜성 지방간염. 대한간학회지. 2002; 8(1s):66-72. 

  10. 김선미, 김정아, 한지혜, 조경환, 윤도경. 당뇨가 없고 정상체중을 가진 사람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과 대사성 증후군. 대한비만학회지. 2006;15(1):44-51. 

  11. Charles S Lieber, Maria A Leo, Ki M Mak, Youqing Xu, Qi Cao, Chaoling Ren, Anatoly Ponomarenko, Leonore M DeCarli. Model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s. 2004;79(3):502-9. 

  12. 박상훈.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발병기전과 치료. 대한간학회지. 2008;14(1):12-27. 

  13. 박원환. 마취유무에 따른 章門·期門穴의 울금 약침이 고지방성 식이로 인한 고지혈증 白鼠에 미치는 영향.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999;13(1): 92-103. 

  14. 반상석, 윤현덕, 신오철, 신유정, 박치상, 박지하, 서부일.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에 茵蔯, 枳實, 山査가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6;21(3):55-67. 

  15. 김형철, 김형우, 조수인, 김용성, 이장식, 권정남, 김영균. 丹蔘이 고지혈증 흰쥐의 혈중 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7; 22(4):239-45. 

  16. 吳其愷, 程井軍, ??. 脂炎消煎劑治療非酒精性 脂肪肝 63例的臨床觀察. CJ GMTCM. 2007; 22(2):34-5. 

  17. 趙和平, 段曉燕. 降脂益肝?劑治療非酒精性脂肪 肝炎的實驗硏究. Drug evaluation. 2007;4(2):114-6 

  18. 지형준. 대한약전 및 대한약전외 한약규격주해. 서울: 한국메디칼인덱스사; 1998. p. 109-619. 

  19. Angulo P.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Engl J Med. 2002;346(16):1221-31. 

  20. 박중원. 지방간의 진단과 치료. 대한간학회지. 2001;7(1s):64-70. 

  21. 전국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 교수 공저. 간계내과학. 서울: 동양의학연구원;2001. p. 315-22. 

  22. 류광렬, 김철우, 이지은, 한창우, 김영철, 이장훈, 우홍정. 만성 B형간염환자에서 자발성 급성 학화 2례. 대한한방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2004;73-81. 

  23. 이창규. 生肝湯이 $CCl_4$ 및 d-galactosamine에 의하여 유발된 흰쥐의 간장해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1986. 

  24. 최서형. 生肝湯과 그 분획이 간장보호, 혈소판 응집능 및 일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1987. 

  25. 류경하. 生肝湯이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1988. 

  26. 승현석, 박신명, 한창우, 김영철, 이장훈, 우홍정. 加減生肝湯을 투여하여 호전된 급성 간염 2례. 대한한방내과학회. 2002;23(2):226-37. 

  27. 김영철, 이장훈, 우홍정. 중풍을 동반한 초기간 경변증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 별책부록. 1999;19(2):21-8. 

  28. 김동우, 김덕호, 우홍정, 김병운. 加減生肝湯을 투여한 간암환자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991;12(2):233-49. 

  29. Baumgardner JN, shankar K, Hennings L, Badger TM, Ronis MJ. A new model f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 the rat utilizing total enteral nutrition to overfeed a high-polyunsaturated fat diet.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8;294(1):G27-38. 

  30. Xue Zhi Hong, Lian Da, Li Mao Wu. effect of fenofibrate and xuezhikang on high-fat diet-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linical and experimental pharmacology and physiology. 2007;34:27-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