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 polykrikoides 적조 발생시의 한국 남해안의 수온 및 염분 분포
Distribu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Korea Southern Coastal Water During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12 no.4, 2009년, pp.235 - 247  

이문옥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조선해양공학) ,  최재훈 (전남대학교 대학원 해양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나로도를 중심으로 한 한국 남해안에서 발생하는 C. polykrikoides 적조의 원인 규명을 위해 1995년부터 2008년까지 국립수산과학원이 조사한 정선해양관측 및 위성정보 자료에 기초하여 동계 및 하계에 있어서의 수온염분 분포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C. polykrikoides 적조는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의 평균 수온이 약 $25.0{\sim}26.0^{\circ}C$, 염분이 약 31.00 psu 전후일 때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한국남해 연안수와 외해수 사이에는 동계 및 하계에 각각 서로 다른 열염전선이 관측되었다. 즉, 동계에는 저온저염의 한국남해 연안수, 쓰시마 난류계의 중간수, 고온고염의 쓰시마 난류, 저온저염의 중국대륙 연안수 사이에 네 개의 전선이 관측되었다. 반면, 하계에는 저온고염의 한국남해 연안수, 고온저염의 쓰시마 난류, 고온고염의 중국대륙 연안수 사이에 두 개의 전선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열염전선은 서로 물리적 성질이 다른 수괴에 의해 형성된다는 사실이 T-S diagram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나로도 주변해역에서 하계에 발생하는 C. polykrikoides 적조는 한국남해 연안수와 쓰시마 난류 사이에 형성되는 열염전선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lucidate the cause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the Korea southern coastal water, we investigated observational data of water temperatures and salinities in summer and winter, obtained from the stoppage of ship by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8]). 따라서, 본 연구는 C. polykrikoides 적조 발생시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의 수온 및 염분 분포의 특징을 파악하고 또한, 이들에 의한 열염전선대의 형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7은 A line상에서 KSCW, TWC 및 YRW를 각각 대표한다고 판단되는 정점 203-00, 314-08 및 317-22에서의 수온염분값을 이용하여 작성한 2월과 8월의 T-S diagram이다. 특히, 여기서는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C. polykrikoides적조가 발생한 해(적조년, red tide year)인 2001년과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해(평상년, normal year)인 2008년을 서로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적조발생시의 환경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참고로 여기에 제시된 T-S diagram상의 수온 및 염분값은 국립수산과학원의 정선해양관측시의 표준 수심인 0, 10, 20, 30, 50, 75, 100 m에 있어서의 값들을 나타내며, 기호 표시는 적조년은 투명하게, 평상년은 검게 각각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하는 8월말에 계절풍이 남서풍에서 북서풍으로 바뀔 때, 양쯔강 하천수가 에크만 수송으로 유입하게 되고, 그 결과 나로도 연안수와 양쯔강 하천수 사이에 전선(front)이 형성된다고 하였다. 그래서 이 전선을 따라 양쯔강 하천수에 있는 C. polykrikoides 세포의 집적과 침강이 C. polykrikoides 적조 형성에 유리한 생태 물리적 환경을 조성한다고 하는 가설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의 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로도 해역을 중심으로 한 한국 남해안에서 하계에 빈발하는 C. polykrikoides 적조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2008년까지 국립수산과학원이 조사한 적조정보, 해양환경관측망, 정선 해양관측 및 위성정보 자료를 검토한 결과는 어떠한가? (1) 나로도 주변 해역에서 C. polykrikoides 적조는 평균적으로 수온이 25.0~26.0 ℃, 염분이 31.00psu 전후일 때 가장 많이 발생 하였다. 특히, 이 해역에서의 C. polykrikoides 적조는 수온이 대략 25.0~26.0 ℃에 도달하면, 염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발생하는 광염성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2) 나로도 연안수, 즉 한국남해 연안수와 외해수 사이에는 동계 및 하계에 각각 서로 다른 열염전선이 형성되었다. 동계에는 저온저염의 한국남해 연안수, 쓰시마 난류계의 중간수, 고온고염의 쓰시마 난류, 저온저염의 중국대륙 연안수 사이에 네 개의 전선이 형성되었다. 반면, 하계에는 저온고염의 한국남해 연안수, 고온저염의 쓰시마 난류, 고온고염의 중국대륙 연안수 사이에 두 개의 전선이 형성되었다. 즉, 동계에 저온저염의 한국남해 연안수는 하계에 저온고염이 되고, 동계에 고온고염의 쓰시마 난류는 하계에 고온저염이 되었다. 이러한 전선 형성에 따른 수괴의 분포는 T-S diagram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 남해 연안수는 하계에는 동계에 비해 그 세력을 외해쪽으로 확장하는 한편, 쓰시마 난류는 외해쪽에서 한국 및 중국 대륙의 연안방향으로 각각그 세력을 확장하여 이들 간에 열염전선이 형성되었다. (3) 이상으로부터, 나로도 주변해역에서 하계에 발생하는 C. polykrikoides 적조는 한국남해 연안수와 쓰시마 난류 사이에 형성되는 열염전선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로도가 위치한 한국 남해안은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가? 한편, 나로도가 위치한 한국 남해안은 제주해협 및 대한해협을 통과하는 쓰시마 난류(Tsushima Warm Current, 이하 TWC로 정의함)를 비롯하여 중국대륙 연안수(China Coastal Water, 이하 CCW로 정의함), 양쯔강 유출수(Yangtze River Water, 이하 YRW로 정의함), 한국 남해 연안수(Korea Southern Coastal Water, 이하 KSCW로 정의함)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1983]; Yang et al.[1998]; Yang et al.
적조는 어떠한 추세인가? C℃hlodinium polykrikoides(이하 C. polykrikoides) 적조는 1982년 진해만에서 처음 발생한 이래 지금은 나로도 연안을 비롯하여, 군산, 완도, 가막만, 돌산, 통영, 거제, 부산, 기장, 울산, 포항, 죽변, 묵호, 강릉 등 거의 우리 나라 전 연안에서 적어도 1회 이상 발생한 기록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그 발생범위가 광역화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더구나, 1995년 이래 그 발생빈도가 증가하여, 유독성적조로 인하여 우리 나라 남해안에 걸쳐 발생하는 수산 생물에의 피해도 적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서영상, 장이현, 김학균, 2003, "C. polykrikoides 적조의 시공간적 분포와 중규모 해양환 경 변동간의관계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 6, No. 3, 139-150. 

  2. 양재삼, 최현용, 정해진, 정주영, 박종규, 2000, "전남 고흥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1. 물리화학적인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Vol. 5, No. 1, 16-26. 

  3. 이석우, 1983, 물리해양학 통론, 집문당, 235-245. 

  4. 이문옥, 문진한, 2008,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해역인 나로도 주변해역의 해양환경",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 11, No. 3, 113-123. 

  5. 이영식, 박영태, 김영숙, 김귀영, 박종수, 고우진, 조영조, 박승윤, 2001,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기작과 대책, 1.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소멸의 환경특성", 한국해양학회지, Vol. 6, No. 4, 259-264. 

  6. 조은섭, 최용규, 2005, "남서 해역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환경과학회지, Vol. 14, No. 2, 177-184. 

  7. 최현용, 2001,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한국해양학회지, Vol. 6, No. 2, 49-62. 

  8. Choo, H.S., 2002, "The variations of oceanic conditions and the distributions of eggs and larvae of anchov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5, No.1, 77-85. 

  9. Anton, A., Teoh, P.L., Mohd-Shaleh, S.R. and Mohammad-Noor, N., 2008, "First occurrence of Cochlodinium blooms in Sabah, Malaysia", Harmful Algae, Vol. 7, 331-336. 

  10. Gobler, C.J., Berry, D.L., Anderson, O.R., Burson, A., Koch, F., Rodgers, B.S., Moore, L.K., Goleski, J.A., Allam, B., Bowser, P., Tang, Y. and Nuzzi, R., 2008, "Characterization, dynamics, and ecological impacts of harmful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on eastern Long Island, NY, USA", Harmful Algae, Vol. 7, 293-307. 

  11. Guo, Z.G., Lin, T., Zhang, G., Zheng, M., Zhang, Z.Y., Hao, Y.C., Fang, M., 2007, "Sedimentary fluxe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the Yangtze River Estuary coastal sea for the past centur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386, 33-41. 

  12. Hu, K.L, Ding, P.X., Wang, Z.B. and Yang, S.L., 2009, "A 2D/ 3D hydrodynamic and sediment transport model for the Yangtze Estuary, China", Journal of Marine Systems, Vol. 77, 114-136. 

  13. Hou, L.J, Liu, M., Yang, Y., Ou, D.N., Lin, X., Chen, H. and Xu, S.Y., 2009, "Phosphorus speciation and availability in intertidal sediments of the Yangtze Estuary, China", Applied Geochemistry, Vol. 24, 120-128. 

  14. Kudela, R.M., Ryan J.P., Blakely, M.D., Lane, J.Q. and Peterson, T.D., 2008, "Linking the physiology and ecology of Cochlodinium to better understand harmful algal bloom events: A comparative approach", Harmful Algae, Vol. 7, 278-292. 

  15. Lee, C.I. and Cho, K.D., 2001,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by advection of Tsushima Warm Current in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2001년 춘계수산관련학회공동학술대회 발표요지집, 242-243. 

  16. Lee, M.O., Kim, B.K., Kwon, Y.A. and Kim, J.K., 2009,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algal blooms in Gamak Bay", Fisheries Science, Vol. 75, No. 2, 401-411. 

  17. Lee, M.O. and Kim, J.K., 2008, "Characteristics of algal bloom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Vol. 65, No. 2, 128-147. 

  18. Lee Y.S. and Lee, S.H., 2006, "Factors affecting outbreak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coastal areas of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2, 626-634. 

  19. Yang, Y.J., Kim, S.H. and Rho, H.K., 1998, "A study on the temperature fronts observed in the south-west sea of Korea and the northern area of the East China S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1, No.5, 695-706. 

  20. Yang, Y.J., Kim, S.H. and Rho, H.K. and Jeong, D.G., 1999, "Relationship between SST fronts and purse-seine fishing grounds in the south-west sea of Korea and northern area of the East China S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2, No.5, 618-623. 

  21. Zhou, M.J., Shen, Z.L. and Yu, R.C., 2008, "Responses of a coastal phytoplankton community to increased nutrient input from the Changjiang (Yangtze) River",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28, No. 12, 1483-14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