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트 추출물 첨가 연근 피클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Pickle with Beet Extract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8, 2009년, pp.1124 - 1129  

박복희 (목포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  전은례 (성화대학 식품영양) ,  김성두 (주식회사 다연) ,  조희숙 (목포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

초록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 변화에 맞추어 칼라 푸드에 접목하기 위해 비트 물 추출물을 첨가한 연근 피클을 제조하여 품질변화 및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조 직후 연근 피클의 pH는 3.5$\sim$3.51이었는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pH가 감소하여 비트 물 추출물을 넣지 않은 대조군은 3.45이었고, 비트 물 추출물 첨가군은 완만하게 감소하여 3.47$\sim$3.48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의 산도는 pH가 내려감에 따라 증가하여 대조군의 경우는 제조 직후 1.50%에서 저장 35일째에는 1.88%로 증가되었고, 비트 물 추출물 첨가군은 제조 직후 1.40$\sim$1.70%에서 저장 35일째에 1.70$\sim$1.80%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명도) 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비트 물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적색도(a) 값은 비트 물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황색도(b) 값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경도는 낮아졌는데, 대조군과 비트 물 추출물 첨가 연근 피클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비트 물 추출물 첨가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저장 21일째 연근 피클 색의 바람직한 정도는 비트 물 추출물 30%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맛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비트 물 추출물 첨가 연근 피클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30% 비트물 추출물 연근 피클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냄새(상큼한 신 냄새)는 비트 물 추출물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40% 비트 물 추출물 첨가 연근 피클의 경우 상큼한 신 냄새가 가장 강했다. 조직감 특성은 대조군이 3.81, 비트 물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3.88$\sim$4.65로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30% 첨가군이 가장 높게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pickle added with beet water extract were investigated. Lotus root slices were salted with NaCl, soaked into pickling solution, and then stored at $20^{\circ}C$. Throughout the whole storage periods, pH, acidity, saltiness of pickles (control, 10% b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 변화에 맞추어 칼라 푸드에 접목하기 위해 비트 물 추출물을 첨가한 연근 피클을 제조하여 품질변화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피클제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수입 위주의 외국산 피클을 대체하는 동시에 연근제품의 다양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은 무엇인가? 연(Nelumbo nucifera)은 한국, 시베리아 지역의 못이나 늪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수초로서(1,2) 예전에는 연꽃을 관상용으로, 연은 차와 술로 이용되었으나 근대에 이르러 연근 및 연잎, 연꽃을 식용이나 약용으로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3-5). 특히 뿌리줄기의 끝부분이 굵어져 식용으로 사용하는 부분인 연근(Nelumbo nucifera Gaertn.
연근과 연잎에는 무슨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은 한방과 민가에서 어혈을 풀거나 신경통 및 류머티즘의 치료에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6). 연근과 연잎은 methylcorypalline, diemthylcocaeurine, β-sistosterol, kaempferol, quercetine 및 tannic acid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7,8), 연근 및 연잎의 효능에 관한 연구는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심장병과 대장암 예방효과, 당뇨병 예방효과, 항암효과 및 항산화 효과 등이 보고되어 왔다(9-11).
본 연구의 비트 물 추출물을 첨가한 연근 피클을 제조하여 품질변화 및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에서 전반적인 기호도는 어떤 것에서 높게 나타났는가? 65로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30%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orsch T, Barthott W, Shim MS, Choi SW, Bae SJ. 2001. Effects of Punica granatum L. fractions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several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0-85 

  2. Kang HI, Kim JY, Moon KD, Seo KI, Cho YS, Lee SD, Yee ST. 2004. Effect of the crude polysaccharide of Pleurotus eryngii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92-1097 

  3. Kim CK, Chung JD, Lee HS, Kim CB, Yoon JT, Choi BS. 1996.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organogenesis of rhizome in mature embryo cultures of Nelumbo nucifera.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3: 195-198 

  4. Kim YS, Chun SS, Jung ST, Kim RY. 2002. Effect of lotus root powder on the quality of dough.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573-578 

  5. Kim YS, Chun SS, Jung ST. 2002. Effect of lotus root powder on the baking quality of wheat brea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43-425 

  6. Lee JJ, Young PS, Lee MY. 2006. Effect of lotus root (Nelumbo nucifera G.) on lipid metabolism in rats with diet- induced hypercholesterolemia. Korean J Food Preserv 13: 634-642 

  7. Jung HA, Kim JE, Chung HY, Choi JS. 2003. Antioxidant principles of Nelumbo nucifera stamens. Arch Pharm Res 26: 279-285 

  8. Lee KS, Kim MG, Lee KY.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82-185 

  9. Na MK, An RB, Lee SM, Hong ND, Yoo JK, Lee CB, Kim JP, Bae KH. 2001. Screening of crude drugs for antioxidative activity. Korean J Phamacogn 32: 108-115 

  10. Ling ZQ, Xie BJ, Yang EI. 2005.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oligomeric procyanidins from the seedpod of Nelumbo nucifera Gaertn. J Agric Food Chem 53: 2441-2445 

  11. Park IB, Park JW, Kim JM, Jung ST, Kang SG. 2005. Quality of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lotus root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519-523 

  12. Chun HJ, Lee HJ. 1996. Western food. Kyomunsa, Seoul. p 296 

  13. Kim OS, Joo NM. 2004.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properties of mushroom.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158-163 

  14. Han GJ, Jang MS, Shin DS. 2007.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pickles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3: 294-301 

  15. Constabel F, Nassif-Makki H. 1971. Betalainbidung in beta- calluskulturen. Ber Dtsch Bot Ges 84: 629-640 

  16. Jung HA, Yoon JY, Hwang JS, Joo NM. 2004. Optimization on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cauliflower pickles. Korean J Food Culture 19: 193-199 

  1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8. Oh SH, Oh YK, Park HH, Kim MR. 200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prepared with different pickling spic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 10: 347-353 

  19. Fleming HP, McFeeter RF, Daeschel MA, Humphries EG, Thompson RL. 1988. Fermentation of cucumbers in anaerocic tanks. J Food Sci 53: 127-133 

  20. Son EJ, Oh SH, Heo OS, Kim MR. 200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added with chitosa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02-1309 

  21. Kim SC, Kim SY, Ha HC, Park KS, Lee JS. 2001. The preparation of mushroom pickles and change in quality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400-407 

  22. Park MW, Park YK, Jang MS. 1994.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pickled cucumber with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Nutr 23: 634-640 

  23. Kim JG, Choi HS, Kim SS, Kim WJ. 1989.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38-844 

  24. Huang AS, Elbe JH. 1987. Effect of pH on the degradation and regeneraion of betanine. J Food Sci 52: 1689-1693 

  25. Mcfeeters RF, Fleming HP, Thomopson RL. 1985. Pectinesterase activity pectin methyl methylation and texture changes during storage of blanched cucumber slice. J Food Sci 50: 201-205 

  26. Choi HS, Kim JG, Kim WJ. 1989. Effect of heat treatment on some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21: 845-849 

  27. Van Buren JP. 1979. The chemistry of texture in fruits and vegetables. J Texture Studies 10: 1-23 

  28. Demain AL, Phaff HJ. 1957. Softening of cucumbers during curing. J Agric Food Chem 5: 60-64 

  29. Hong SP, Jun HI, Song GS, Kwon KS, Kwon YJ, Kim YS. 2004. Characteristics of wax gourd juice-added dry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38-844 

  30. Park BH, Cho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2: 600-608 

  31. Zhou A, Mcfeeters RF, Fleming HP. 2000. Development of oxidized odor and volatile aldehydes in fermented cucumber tissue exposed to oxygen. J Agric Food Chem 48: 193-197 

  32. Palma-Harris C, McFeeters RF, Fleming HP. 2002. Fresh cucumber flavor in refrigerated pickles: comparison of sensory and instrumental analysis. J Agric Food Chem 50: 4875-48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