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간호를 위한 중재목록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List for Family Nursing Care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0 no.2, 2009년, pp.123 - 133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  김희걸 (경원대학교 간호학과) ,  정혜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nursing interventions by developing a list of interventions for family nursing care. Methods: A new intervention list was confirmed after the researchers' discussion and professional consult. All possible interventions were re-organized. Results: Five grand c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4년간의 예비 연구를 통해 가족간호 중재분류 목록을 작성한 후 다양한 문헌 고찰 및 본수차례에 걸친 논의와 전문가 자문과정을 통해 가족간호중재분류 목록을 대분류와 중분류로 구분하고 새로운 가족간호중재목록을 제시한 것이다. 대분류 목록으로는 보건교육, 직접간호 제공, 지역사회자원 활용 및 의뢰 가족자원 강화, 스트레스관리 등의 5개를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에 Kim 등(2005) 에서 제시한 가족간호중재틀 중 예즉적 안내와 건강상담을 보건교육 항목에 포함시킨 것이다.
  • 본 연구는 한국에서 간호사가 가족을 대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중재목록을 작성하여 표준화된 가족간호 중재목록을 구성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흔]국에서 가족을 단위로 간호사가 수행할 수 있는 중재목록을 분류하여 표준화된 가족간호중재 수행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가족을 단위로 간호사가 수행할 수 있는 중재목록을 분류하여 지 역사회분야의 가족간호 핵심간호 중 재분류틀을 제시함으로써 표준화된 가족 간호 중재 수행에 기여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meida Mde, A., Longaray, V. K., De Cezaro, P., & Barilli, S. L. 

  2. Bowles, K. H., & Naylor, M. D. (1996). Nursing intervention 

  3. Choi, J. Y., Kim, H. S., & Park, M. S. (2003), The relations between 

  4. Hyun, S., & Park, H. A. (2002). Cross-mapping the ICNP with 

  5. Kim, S. Y., Chin, Y. R., Oh, V. C., Park, E. J., Yun, S. N., & Lee, I. 

  6. Kim, Y. I., Kim, H. G., Yoon, S. N., Jung, H. S., & Park, J. K. 

  7. Kim, Y. I., Yoon, S. N., & Hong, K. J. (2005). Family nursing. 

  8. Kim, Y. I., Kim, H. G., Jung, H. S., & Park, J. K. (2003). Family 

  9. Lee, N. J., Bakken, S., & Saba, V. (2004). Representing public 

  10. Lee, E. J., & Choi, I. H. (2003), Importance and performance 

  11. Martin, K. S., Elfrink, V. L., & Monsen, K. A. (2008). The Omaha 

  12. McCloskey, J. C., & Bulechek, G. M. (2000). Nursing Interventions 

  13. No, M. K., & Park, K. S. (1999), The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 of adult nursing unit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1(2), 331-342. 

  14. Park, H. T., Lu, D. F., Konicek, D., & Delaney, C. (2007). 

  15. Park, H. Y., & Kim, J. E. (1998), Nursing diagnose, a comparative 

  16. Park, H. Y., Kim, J. E., Jo, Y. S., Choi, Y. H., Lee, H. R., Kim, H. 

  17. Park, S. H., Park, J. H., Jung, M. S., Ju, M. K., & Lee, H. J. (2003), 

  18. Saba, V. K. (2008).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CCC) System Translations. 

  19. Saba, V. K. (1992). Home Health Care Classification. Caring, 11 

  20. Seo, M. J. (1998), Trend to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21. Thoroddsen, A. (2005). Applicability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22. Um, Y. H. (1999), Nursing intervention performance analysis 

  23. Yoo, J. B., Jang, H. J., & Kim, N. C. (2003), Analysis of nursing 

  24. Yoon, S. N., Kim, H. S., Kwan, Y. S., Park, K. M., Kim, H. J., Lee, 

  25. Yoon, S. N., Kim, H. S., Kwan, Y. S., Park, K. M., Lee, J. H., Go, 

  26. Young, J. S., Yoo, E. J., & Yoo, J. Y. (2000), Analysis on hom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