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이 실험적으로 유발된 흰쥐의 자궁내막증(子宮內膜症)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jungikgi-Tang on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ly-induced Endometriosis in the Rats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22 no.3, 2009년, pp.1 - 24  

이정구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이동녕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서일복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  김형준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jungikgi-Tang on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ly-induced endometriosis in rats. Methods: Endometriosis was induced in rats by autotransplanting uterine tissue to the peritoneum and we divided the rats into three groups: (1) sham-op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子宮內膜症의 원인은 무엇인가? 子宮內膜症의 정확한 원인과 병태생리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호르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7)과 함께 면역학적 요인8,9)이 중요한 병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치료는 약물요법, 수술요법 또는 이를 병행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증상이나 진행정도가 미약한 경우에는 기대요법을 실시할 수도 있다10).
子宮內膜症이란 무엇인가? 子宮內膜症은 자궁내막조직이 자궁 밖에 존재하여 증식하는 질환으로 월경통, 만성 골반통, 성교통, 불임과 같은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1-3). 이 질환은 가임기 여성인구의 6-20%에서 발견되고1,4), 子宮內膜症을 갖고 있는 여성의 불임은 10-30%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5,6).
補中益氣湯이 子宮內膜症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이식자궁조직의 체적은 처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성(p<0.05) 있게 감소하였다. 2. 병리조직학적으로 처치군은 점막상피 세포 및 자궁선의 발달, 염증세포의 침윤 및 모세혈관의 신생이 대조군에 비해서 미약하게 관찰되었다. 3. 복강세척액내 MCP-1 함량은 처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성(p<0.05) 있게 감소하였다. 4. 복강세척액내 TNF-α 함량은 처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성(p<0.05) 있게 감소하였다. 5. COX-2 발현 점막상피세포층 비율은 처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성(p<0.05) 있게 감소하였다. 6. 점막상피세포, 신생혈관 내피세포 및 간질세포에서의 VEGF 발현정도는 처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미약하게 관찰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7)

  1. Hammond CB, Hancy AF. Conservative treatment of endometriosis. Fertil Steril. 1978;30:497-509. 

  2.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부인과학(제4판). 서울:도서출판 고려 의학. 2007:399-430. 

  3. 한의부인과학 교재편찬 위원회. 한의 부인과학 상권. 서울:도서출판 정담. 2001:96, 137, 171, 172, 182, 186, 279, 280, 287, 291, 326, 380. 

  4. Winkel CA.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women with endometriosis. Obstet Gynecol. 2003;102:397-408. 

  5. Smith S, Pfiefer SM, Collins J. Diagnosis and management of female infertility. JAMA. 2003;290:17. 

  6. ASRM Practice Committee Report. A Committee Opinion: endometriosis infertility. Fertil Steril. 2004;81:1441-6. 

  7. Kennedy SH. Is there a genetic basis to endometriosis?. Semin Reprod Endocrino. 1997;15:309-17. 

  8. Halme J et al. Increased activation of pelvic macrophages in infertile women with mild endometriosis. Am J Obstet Gynecol. 1983;145(3):333-7. 

  9. Koyama N, Matsuura K, Okamura H. Cytokines in the peritoneal fluid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Int J Gynecol Obstet. 1993;43(1):45-50. 

  10. Hughes E, Fedorkow DM, Collins J. A quantitative overview of controlled trials in endometriosis-associated infertility. Fertil Steril. 1993;59:963-70. 

  11. Winkel CA, Scialli AR. Medical and surgical therapies for pain associated with endometriosis. J Womens Health Gend Based Med. 2001;10:137-62. 

  12. Takayama K et al. Treatment of serve postmenopausal endometriosis with an aromatase inhibitor. Fertil Steril. 1998;69:709-13. 

  13. Ailawadi RK et al. Treatment of endometriosis and chronic pelvic pain with letrozole and norethindrone:a pilot study. Fertil Steril. 2004;81:290-6. 

  14. Canis M et al. Laparoscopic treatment of endometriosis. Acta Obstet Gynecol Scand Suppl. 1989;150:15-20. 

  15. Nisolle-Pochet M, Casanas-Roux F, Donnez J. Histologic study of ovarian endometriosis after hormonal therapy. Fertil Steril. 1988;49(3):423-6. 

  16. 보건복지부. 子宮內膜症의 새로운 진단, 치료 및 예방법 개발-1998년도 보건의료 기술 연구. 개발사업 최종고서. 1999;2-108. 

  17. 김동일, 이동규, 이태균. 子宮內膜症의 韓醫學 治療에 관한 硏究.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2;15(2):126-43. 

  18. 최변탁 등. 芎歸調血飮이 흰쥐의 子宮內膜症 형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8;21(3):34-59. 

  19. 이태균. 子宮內膜症에 대한 文獻的 考察.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1995;8(1):161-74. 

  20. 오규석, 홍영욱, 이태균. 血府逐瘀湯이 子宮內膜症 白鼠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1995;18(2):273-82. 

  21. 김동일, 이태균. 子宮內膜症 및 만성 지속성 간염과 병발한 원발성 불임증 1례에 대한 치험 보고. 대한한의학회지. 1998;19(1):100-8. 

  22. 권은정, 배한익, 이태균. 內膜Ⅰ號丸의 子宮內膜症 白鼠의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 東國論集. 1996;15:325-42. 

  23. 이동규, 김순열, 이태균. 內膜Ⅱ號丸의 phospolipase A2 활성 억제능에 관한 연구.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1996;9(1) :97-107. 

  24. 김동일, 이태균. 子宮內膜症 환자 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7;18(2):58-71. 

  25. 김여태 등. 加味歸朮破?湯이 실험적으로 유발된 흰쥐의 子宮內膜症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6 ;19(2):162-85. 

  26. 김형일, 임은미, 권기록. 溫經湯이 子宮內膜症 유발 白鼠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6;19(2):18-33. 

  27. 윤영희 등. 少腹逐瘀湯이 실험적으로 유발된 흰쥐의 子宮內膜症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6;19(2) :141-61. 

  28. 장성환, 임은미, 이은. 桃紅四物湯이 子宮內膜症을 유발한 흰쥐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6;19(2) :125-38. 

  29. 이지연, 임은미, 권기록. 加味紅藤湯 직장 내 투여가 子宮內膜症을 유발한 흰쥐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6;19(3):109-20. 

  30. 김철수 등. 膈下逐瘀湯이 실험적으로 유발된 흰쥐의 子宮內膜症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7;20(1) :61-83. 

  31. 허윤, 임은미, 이은. 丹蔘이 子宮內膜症 白鼠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6;19(3):95-107. 

  32. 육상숙, 임은미, 권기록. 中性瘀血藥鍼이 子宮內膜症 白鼠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06;9(1):83-94. 

  33. 박준식, 임은미, 이은. 浦公英 추출물이 子宮內膜症 유발 白鼠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6;19(3):69-82. 

  34. 이현희, 김윤상, 임은미. 黃芩의 경구 와 직장투여가 실험적으로 유발된 子宮內膜症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8;21(3):1-17. 

  35. 이미정, 임은미, 권기록. 八珍湯이 子宮內膜症을 유발한 흰쥐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6;19(3):83-94. 

  36. 임성민. 補陽還五湯이 실험적으로 유발된 흰쥐의 子宮內膜症에 미치는 영향. 세명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37. 주병주. 當歸芍藥散이 실험적으로 유발된 흰쥐의 子宮內膜症에 미치는 영향. 세명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38. 조현주, 김윤상, 임은미. 黃?가 子宮內膜症 유발 흰쥐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7;20(2):43-59. 

  39. 김성혜, 권기록, 박희수. 山蔘藥鍼이 子宮內膜症 유발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6;23(5):55-67. 

  40. 李?.. 東垣十種醫書. 上海:鴻文局版. 1975:33, 34, 85, 86. 

  41. 金相贊 등. 方劑學-改正增補版. 서울: 도서출판 永林社. 1999:279-81. 

  42. 尹用甲. 補中益氣湯 및 加減方이 白鼠와 家兎의 摘出子宮, 腸 및 血管運動에 미치는 影響. 方劑學會. 1992;3(1):53-80. 

  43. 김동일 등. 補中益氣湯 과립제(보로)의 한방부인과 임상응용 경향 분석과 월경기간 중 활용에 대한 제언.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5;18(2):148-58. 

  44. 정형민 등 .교애궁귀탕, 보중익기탕,궁소산, 안태음, 안태금출탕을 투약한 임신생쥐의 생식능력의 변화. 대한한의학회지. 2000;21(3):166-73. 

  45. 金惠媛, 李京燮, 宋炳基. 加味補中益氣湯이 肥滿생쥐의 卵巢反應과 姙娠에 미치는 影響.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2000;13(2):35-45. 

  46. 白承嬉. 加味補中益氣湯으로 治療한 卵巢囊腫 治驗例. 東西醫學. 1999;24(3) :1-16. 

  47. 宋鐘錫, 柳同烈. 加味補中益氣湯과 子宮下垂의 活用에 관한 考察.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論文集. 2005;14(2) :205-12. 

  48. 許浚 著, 東醫文獻硏究室 編譯. 新編 對譯 東醫寶鑑. 서울:법인문화사. 2005 :2113. 

  49. Vernon MW, Wilson EA. Studies on the surgical induction of endometriosis in the rat. Fertil Steril. 1985;44(5) :684-94. 

  50. McLaren J.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endometriotic angiogenesis. Hum Reprod Update. 2000;6:45-55. 

  51. Jonathan S et al. Novak's Gynecology. 12ed Williams & Wilkins, Baltimore. 1996;403, 406, 887-915. 

  52. Moen MH. Endometriosis in monozygotic twins. Acta Obstet Gynecol Scand. 1994;73:59-62. 

  53. Kennedy S et al. Age of onset of pain symptoms in non-twin sisters concordant for endometriosis. Hum Reprod. 1996;11:403-5. 

  54. 韓?程. 한국 여성에서 중증子宮內膜症과 MMP-9 유전자 다형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1. 

  55. Dmowski WP, Steele RW, Baker GF. Deficient cellular immunity in endometriosis. Am J Obstet Gynecol. 1981;141(4):377-83. 

  56. Donnez J, Langendonckt AV. Typical and subtle atypical presentations of endometriosis. Med Sci Monit. 2000 ;6(5):1042-6. 

  57. 金達鎬, 李鍾馨, 共編譯. 注解補注 黃帝內經 素問. 서울:醫聖堂. 2001:上권:628, 726, 下권:746. 

  58. 李慶雨 飜譯. 編注譯解 黃帝內經 靈樞. 서울:여강출판사. 2001:2권:221, 3권:223. 

  59. 蔡浩然, 鄭鎭鴻, 金東熙. 加味八珍湯이 免疫調節作用에 미치는 影響.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1999;12(2):198-224. 

  60. 장일무 外 편집부. 동양의과학대전(2) 서울: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문헌정보학연구실. 2003:180, 642, 706, 806, 837, 937, 1006. 

  61. 江克明, 包明薰. 校正方劑大辭典. 서울:醫聖堂. 1991:567-8. 

  62. 김영아 등. 子宮內膜症 자궁내막의 증가된 증식 활성도. 대한산부학회지. 2004;47(7):1334-41. 

  63. Abul KA, Andrew HL. 세포분자면역학 제 5판. 서울:도서출판 범문사. 2005:243-74. 

  64. Akoun A, et al. Cytokine-induced secretion o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by human endometriotic cells in culture. Am J Obstet Gynecol. 1995;172:594-600. 

  65. Gazvani R, Templeton A. The peritoneal environment, cytokines and angiogenesis in the pathophysiology of endometriosis. Reproduction. 2002;123:217-26. 

  66. Barcz E, Kaminsk P, Marianowski L. Role of cytokines in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Medical science monitor. 2000;6(5):1042-6. 

  67. Christine J, et al. Increased expression o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in the endometrium of women with endometriosis.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998;152(1):125-33. 

  68. Shakida K, Falcone T. Tumor necrosis factor- $\alpha$ blockers:potentia limitations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endometriosis. Human Reproduction. 2006;21(9):2417-20. 

  69. Overton C, et al. Peritoneal fluid cytokines and the relationship with endometriosis and pain. Hum Reprod. 1996;11(2):380-6. 

  70. Hill JA, et al. Effects of soluble products of activated lymphocytes and macrophages (lymphokines and monokines) on human sperm motion parameters. Fertil Steril. 1987;47(3):460-5. 

  71. Lebovic DI, et al. Induction of an angiogenic phenotype in endometriotic stromal cell cultures by Interleukin-1beta. Mol Hum Reprod. 2000;6(3) :269-75. 

  72. Arici A, et al. Interleukin-8 concentration in peritoneal fluid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modulation of interleukin-8 expression in human mesothelial cells. Mol Hum Reprod. 1996;2(1):40-45. 

  73. Vigano P, et al. Expression of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ICAM)-1 mRNA and protein is enhanced in endometriosis versus endometrial stromal cells in 

  74. Akoun A, et al. Secretion of interleukin-6 by human endometriotic cells and regulation by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sex steroids. Human Reproduction. 1996;11(10):2269-75. 

  75. Gorospe WC, Hughes FM Jr, Spangelo BL. Interleukin-6:effects on and production by rat granulosa cells in vitro. Endocrinology. 1992;130(3):1750-2. 

  76. Cheong YC, et al. IL-1, IL-6 and TNF-alpha concentrations in the peritoneal fluid of women with pelvic adhesions. Hum Reprod. 2002 17(1):69-75. 

  77. Fletcher BS, et al. Structure of the itogen-inducible TIS10 gene and emonstration that the TIS10-encoded protein is a functional prostagland in G/H synthase. J Biol Chem. 1992;23(2):207-14. 

  78. Harada T, et al. Role of cytokines in progression of endometriosis. Gynecol Obstet Invest. 1999;47(1):34-40. 

  79. Donnez J, et al.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in endometriosis. Hum Reprod. 1998;13(6):1686-90. 

  80. Tsujii M, et al. Cyclooxygenase regulates angiogenesis induced by colon cancer cells. Cell. 1998;93:706-16. 

  81. Matsuzaki S, et al. Cyclooxygenase-2 selective inhibitor prevents implantation of eutopic endometrium to ectopic sites in rats. Fertil Steril. 2004;82(6):1609-15. 

  82. Tischer E, et al.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a new member of the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gene family.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89;165:1198-206. 

  83. McLaren J, et al.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concentrations are elevated in peritoneal flud of women with endometriosis. Hum Reprod 1996;11:220-3. 

  84. 이재춘 등. 이식신 생검에서 비만세포의 임상적 의의. 대한외과학회지. 2002;63(3):201-5. 

  85. Sugamata M, Ihara T, Uchiide I. Increase of activated mast cells in human endometriosis. American journal of reproductive immunology. 2005;53(3):120-5. 

  86. Nguyen M, Pace AJ, Koller BH. Age-induced reprogramming of mast cell deglanuation. The journal of immunology. 2005;175:5701-7. 

  87. Xiang Xu, et al. Roles of mast cells and myofibloblasts in human peritoneal adhesion formation. Annals of surgery. 2002;236(5):593-6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