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3계 지방산 적절 함량 식이의 docosahexaenoic acid 첨가가 기억력 관련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 with Docosahexaenoic Acid into N-3 Fatty Acid Adequate Diet on Learning Related Brain Function in Rat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7 = no.111, 2009년, pp.917 - 922  

임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D계 흰쥐를 사용하여 motor activity 실험에서 동물들의 자발적인 운동성을 측정한 결과, 주어진 시간 내 움직인 시간과 움직인 거리에는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 (Adq group)과 DHA가 첨가된 식이군(Adq+DHA group)간에 유의적 차이를 관찰할 수가 없었다. 학습효과 실험에서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 (Adq group)의 경우 목적 플랫트폼까지 걸리는 시간이 DHA 첨가 식이군(Adq+DHA group)에 비하여 다소 길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관찰할 수가 없었다. 수영 속도(swimming speed)에서 DHA 첨가 식이군(Adq+DHA group)의 경우,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 (Adq group)에 비해 유의적으로 빨랐으나 수영 풀에서 움직인 거리 (swimming distance)에는 두 식이군 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두 식이군의 흰쥐들이 수영한 시간(swimming time)과 쉬고 있는 시간(resting time)의 경우, 쉬는 시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수영 시간 또한 n-3 지방산이 적절이 함유된 식이(Adq group)로 사육된 쥐가 DHA가 첨가된 식이로 사육된 쥐(Adq+DHA group)보다 수영한 시간이 길었으나 여기서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기억력 테스트에서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군(Adq group) 및 DHA가 첨가된 식이군(Adq+DHA group) 모두는 목적 플랫트폼이 있었던 A 지역에 대한 기억이 우수하여 다른 지역들인 B, C, D를 지나가는 횟수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음을 관찰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임신에서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로 사육된 쥐와 비교할 때 DHA가 첨가된 식이로 사육된 흰쥐가 Morris water maze를 이용한 공간기억력 실험에서 다소 우수한 기억 학습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음을 관찰 할 수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adding docosahexaenoic acid into an n-3 fatty acid adequate diet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related brain function was investigated. On the second day after conception, Sprague Dawley strain dams were subjected to a diet containing either n-3 fatty acid adequate (Adq, 3.4% linole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에 대한 정확한 기작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마도 혈류로부터 뇌의 DHA 선호성, 뇌에서 효율적인 DHA의 uptake와 보존, 및 LNA와 달리 DHA의 경우 추가적인 불포화작용이 필요 없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연구에서는 임신기부터 성인기까지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 이군과 DHA를 첨가한 식 이군으로 나누어 횐쥐를 사육한 후 성인이 되었을 때 이들 두 식이군 간의 공간 기억 학습능력을 Morris water maze test로 측정하여 DHA 첨가에 의한 뇌 기능 개선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뇌의 적절한 DHA 함량 유지와 기억, 학습 둥 지능 및 사고와 관련된 뇌 기능 항상성에 대해서이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보고되었다[5, 10, 13, 15, 25]. 이들 연구들의 접근방식은 신경계에서 DHA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DHA가 결핍된 식이로 23세대 동안 사육한 후 뇌의 DHA 함량이 극히 낮은 동물을 생성하여 이들의 뇌 기능 장애를 밝히는 것이다. 한 예로 3 세대동안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로 사육된 동물군은 n-3 지방산이 적절히 함유된 식이로 사육된 동물군보다 공간 기 억학습 능력 이 떨어짐이 보고[1 이 되었고, Greiner 둥[5]의 연구에서도 후각을 기초로 한 기억학습실험에서 3세대동안 n-3 지방산 결핍은 냄새의 구별에 있어서 기억 학습장애가 나타났음이 보고되었다.
  • Gamoh 둥[3]도만성적인 DHA 섭취는 기억력을 개선시키고 오히려 뇌의 지질과 산화물 함량을 감소시켜 신경조직의 환경을 바람직하게 유지시킨다고 보고하였고 Lim의 연구[9]에서도 임신에서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로 사육된 쥐와 비교할 때 DHA가 첨가된 식이로 사육된 쥐의 경우 우수한 공간 기억 학습능력을 나타냄을 보고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은 3세대 동안 n-3 지방산이 결핍된 동물의 뇌 기능 장애와 n-3 지방산이 결핍된 식이에 DHA를 보충하므로써 뇌 기능 개선 효과에 관하여 살펴 본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arrie, I., P. Guesnet, J. M. Bourr, and H. Frances. 2000. Diets containing long-chain n-3 polyubsaturated fatty acids affect behavior differently during development than aging in mice. Br. J. Nutr. 83, 439-447 

  2. Connor, W. E. and M. Neuringer. 1988. The effect of n-3 fatty acid deficiency and repletion up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function of brain and retina. pp. 275-294, In Karnovsky, M. L., A. Leaf, and L. C. Bolls (eds.), Biological Membranes: Aberrations in Membrane Structure and Function, Liss Inc., New York 

  3. Gamoh, S., M. Hahimoto, K. Sugioka, M. Shahdat-Hossain, Y. Misawa and S. Masumura. 1991. Chronic administration of docosahexaenoic acid improves reference memoryrelated learning ability in young rats. Neurosci. 93, 237-241 

  4. Green, P. and E. Yavin. 1998. Mechanisms of docosahexaenoic acid accretion in the fetal brain. J. Neurosci. Res. 52, 129-136 

  5. Greiner, R. S., T. Moriguchi, B. M. Slotnick, A. Hurron, and N. Salem. 2001. Olfactory discrimination deficits in n-3 fatty acid-deficient rats. Physiol. Behav. 72, 379-385 

  6. Lim, S. Y. and H. Suzuki. 2000. Intakes of dietary docosahexaenoic acid ethyl ester and egg phosphatidylcholine improve maze-learning ability in young and old mice. J. Nutr. 130, 1629-1632 

  7. Lim, S. Y. and H. Suzuki. 2001. Changes in maze behavior of mice occur after sufficient accumulation of docosahexaenoic acid in brain. J. Nutr. 131, 319-324 

  8. Lim, S. Y. and H. Suzuki. 2005. Effect of dietary docosahexaenoic acid on maze-learning ability in aged mice fed n-3 fatty acid deficient diet. Food Sci. Biotechnol. 14, 788-792 

  9. Lim, S. Y. 2007. Effect of supplementation with docosahexaenoic acid from gestation to adulthood on spatial learning performance in rat. J. Life Sci. 17, 1400-1405 

  10. Moriguchi, T., R. Greiner, and N. Salem. 2000. Behavioral deficits associated with dietary induction of decreased brain docosahexaenoic acid concentration. J. Neurochem. 75, 2563-2573 

  11. Moriguchi, T. and N. Salem. 2003. Recovery of brain docosahexaenoate leads to recovery of spatial task performance. J. Neurochem. 87, 297-309 

  12. Morris, R. 1984.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sci. Methods 11, 47-60. 

  13. Niu, S. L., D. C. Mitchell, S. Y. Lim, Z. M. Wen, H. Y. Kim, N. Salem, and B. J. Litman. 2004. Reduced G proteincoupled signaling efficiency in retinal rod outer segments in response to n-3 fatty acid deficiency. J. Biol. Chem. 279, 31098-31104 

  14. Reeves, P. G., F. H. Neilsen, and G. C. Fahey. 1993. Committee report on the AIN-93 purified rodent diet. J. Nutr. 123, 1939-1951 

  15. Salem, N., B. Litman, H. Y. Kim, and K. Gawrisch. 2001. Mechanisms of action of docosahexaenoic acid in the nervous system. Lipids 36, 945-959 

  16. SanGiovanni, J. P., S. Parra-Cabrera, G. A. golditz, C. S. Berkey, and J. T. Dwyer. 2000. Meta-analysis of dietary essential fatty acids and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s they related to visual resolution acuity in healthy 

  17. Sastry, P. 1985. Lipids of nervous tissue: Composition and metabolism. Prog. Lipid Res. 24, 69-176 

  18. Sinclair, A. J. 1975. Incorporation of radioactiv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to liver and brain of developing rat. Lipids 10, 120-123 

  19. Stewart, C. A. and R. Morris. 1993. The water maze. pp. 107-122, In Sagal, A. (ed.), Behavioral Neuroscience: A Practical Approach, Vol. 1,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 Su, H. M., M. C. Huang, N. M. R. Saad, P. W. Nathanielsz, and J. T. Brenna. 2001. Fetal baboons convert 18:3n-6 to 22:6n-3 in vivo: a stable isotope tracer study. J. Lipid Res. 42, 581-586 

  21. Uauy, R. D., D. G. Birch, E. E. Birch, J. E. Tyson, and D. R. Hoffman. 1990. Effect of dietary omega-3-fatty-acids on retinal function of very-low-birth-the-weight neonates. Ped. Res. 28, 485-492 

  22. Valenzuela, A., R. Van Bernhardi, V. Valenzuela, G. Ramirez, R. Alarcon, J. Sanhueza, and S. Nieto. 2004. Supplementation of female rats with alpha- linolenic acid or docosahexaenoic acid leads to the same omega-6/ omega-3 LC-PUFA accretion in mother tissues and in fetal and newbron brains. Ann. Nutr. Metab. 48, 28-35 

  23. Weisinger, H. S., A. J. Vingrys, B. V. Bui, and A. J. Sinclair. 1999. Effect of dietary n-3 deficiency and repletion in the guinea pig retina. Invest. Ophthalmol. Vis. Sci. 40, 327-338 

  24. Weisinger, H. S., J. A. Armitage, A. J. Sinclair, A. J. Vingrys, P. Burns, and R. S. Weisinger. 2001. Perinatal omega-3 fatty acid deficiency affects blood pressure later in life. Nature Med. 7, 258-259 

  25. Weisinger, H. S., J. A. Armitage, B. G, Jeffrey, D. C. Mitchell, T. Moriguchi, A. J. Sinclair, R. S. Weisinger, and N. Salem. 2002. Retinal sensitivity loss in third-generation n-3 PUFA-deficient rats. Lipids 37, 759-765 

  26. Willatts, P., J. S. Forsyth, M. K. DiModugno, S. Varma, and M. Colvin. 1998. Influence of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infant cognitive function. Lipids 33, 973-9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