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분자 딸기(Rubus coreanum) 에탄올 및 열수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활성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y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Rubus coreanum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5 no.3, 2009년, pp.379 - 386  

전연희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상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라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장수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ie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Rubus coreanum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ir antimutagenic activities were measured by the Ames test and their cytotoxic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the growth inhibition of cancer cells via the 3-[4,5-dimethyl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딸기의 생리활성을 탐색하고 새로운 천연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복분자 딸기의 항돌연변이 활성과 항암 활성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4) Data were expressed as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산화제의 기능은? 식생활의 다양화와 가공식품의 발달로 인하여 식품 첨가물의 사용이 증가하고 건강과 장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천연 식품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의 탐색과 생리활성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항산화제는 활성산소종을 소거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여러 만성적 질병을 예방할 뿐 아니라 불포화지방의 자동산화에 의한 지방의 산패를 억제하여 식품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또한 free radical에 의한 DNA 손상으로 발생되는 여러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β-carotene, tocopherol, vitamin C, selenium 등과 같은 항산 화적 항돌연변이원성 물질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복분자 딸기의 분류학적 위치는? 장미과(Rosaceae)의 다양한 식물 속(屬) 중의 하나인 산딸기속(Rubus)에 속하는 복분자 딸기(覆盆子: Rubus coreanus Miquel)는 주로 한국과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에 많이 분포한다. 복분자 딸기는 작은 단과가 여러 개 모여서 덩어리를 이룬 것으로 원추형이나 눌려진 구형을 이루고 있으며 꽃받침의 중심부는 함몰되어 있다.
복분자 딸기의 이명은? 복분자 딸기는 작은 단과가 여러 개 모여서 덩어리를 이룬 것으로 원추형이나 눌려진 구형을 이루고 있으며 꽃받침의 중심부는 함몰되어 있다. 음력 5월에 익은 열매가 검붉은색을 띠어 오표자(烏藨子), 대맥매(大麥莓), 삽전표(揷田藨), 재앙표(栽秧藨)라고도 불린다. 복분자 딸기는 식용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동의 보감ㆍ당본본초ㆍ본초종신록 등의 여러 고문헌에 그 효능이 언급되어 있어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미성숙 열매를 당뇨병 및 발기부전 치료, 청량(淸凉), 지갈(止渴), 강장약(强壯藥) 등의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배기환 2000, Moon GS 1991), 전통주 및 화장품, 음료 등의 재료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배기환. 2000.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서울. pp 127-129 

  2. Ahn BY, Kim DG, Choi DS. 1999. Antimutagenic effect of Salvia Miltriorrhza Bung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3):197-202 

  3.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 anisole and butylated hydroxy toluene. J Am Oil Chem Soc 52(2):59-63 

  4.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936-942 

  5. Cho EJ, Yang MO, Hwang CH, Kim WJ, Kim MJ, Lee MK.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fidduk added with Rubus coreanum Miquel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4):458-467 

  6. Choi OK, Kim YS, Cho GS, Sung CK. 2002. Screening for antimicrobial activity from Korean Plants. Korean J Food & Nutr 15(4):300-306 

  7. Doll R, Peto R. 1981.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 Natl Cancer Inst 66(6):1191-1308 

  8. Hwang Bo HS, Ham SS. 1999.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ster acaber root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1(4):1065-1070 

  9. Ito N, Fukushima S, Hasegawa A, Shibata M, Ogiso T. 1983. Carcinogenecit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in F344 rats. J. Cancer Inst 70(22):343-347 

  10. Iqbal S, Bhanger MI and Anwar F. 2005. Antioxidant properties and components of some commercially available varieties of rice bran in Pakistan. Food Chem. 93(2):265-272 

  11. Kim DH, Park JH, Kim JH, Kim CH, You JH, Kwon MC, Lee HY. 2005. Enhancement of immune activities of Ephedrae herba and Rubi Fructus at low temperature extraction. Korean J Med Crop Sci 13(3):81-86 

  12. Kim JH, Kim CH, Kim HS, Kwon MC, Song YK, Seong NS, Lee SE, Yi JS, Kwon OW, Lee HY. 2006. Effect of aqueous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uel and Angelica gigas Nakai on Anti-tumor and Anti-stress activities in mice. Korean J Med Crop Sci 14(4):206-211 

  13. Kim KH, Lee YA, Kim JS, Lee DI, Choi YW. 2000. Antioxidative activity of tannins from Rubus coreanum. Yakhak Hoeji 44(4):354-357 

  14. Kim MJ, Kim JS, Kang WH, Jeong DM. 2002. Effect on antimutagenic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of lxeris dentata naka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2):139-143 

  15. Kim MS, Pang GC, Lee MW. 1997.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num. Yakhak Hoeji 41(1):1-6 

  16. Kim YH, Kang SS. 1993. Triterpenoids from Rubi Fructus (Bogbunja). Arch Pharn Res 16:109-113 

  17. Kinae N, Masuda S. 2002. Studies on antimutagens (A review). Environ Mutagen Res 24(3): 129-144 

  18. Lee KI, Park KY, Rhee SH.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toward aflatoxin B1 and 4-nitroquinoline-1-oxide. J Korean Soc Food Nutr 21(1):143-148 

  19. Lee SE, Seong NS, Park CG, Seong JS. 2002.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y of priental medicinal plant material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3):171-176 

  20. Lee MK, Lee HS, Choi GP, Oh DH, Kim JD, Yu CY, Lee HY. 2003.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1):5-12 

  21. Lee NJ, Lee KH, Lee DU, Park SS, Han YH, Ryu SY. 2001. Antimutagenic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the whole plant of Rumex acetosa. Korean J Pharmacogn 32(4):338-343 

  22. Maron DM,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 Res 113:173-215 

  23. Moon GS. 1991. Constituents and uses of medicinal herbs. Ilweolseogak. Seoul. pp. 310-311 

  24. Nam SH, Jung JE, Kang MY. 1999. Screening of the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of the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4):344-350 

  25. Nohmi T. 2002. Translesion DNA polymerases from microorganisms. Environ Mutagen Res 24(3):153-159 

  26. Oh SW, Lee YC, Hong HD. 2002. Effects on the shelf-life Tofu with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uel, Therminalia chebula Retz and Rhus javan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746-749 

  27. Park JG, Hyun JW, Lim KH and Shin JE. 1993. Antineoplastic effect of extracts from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Korean J Pharmacogn. 24(3):223-230 

  28. Park JH, Lee HS, Mun HC, Kim DH, Seong NS, Jung HG, Bang JK, Lee HY. 2004. Imptovement of anticancer activation of ultrasonificated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nticosis Harms, Ephedra sinica Srapf, Rubus coreanus Miq. and Artemisia capillaris Thunb.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4):273-278 

  29. Park JH, Oh SM, Lim SS, Lee YS, Shin HK, Oh YS, Choe NH, Park JHY, Kim JK. 2006. Induction of heme oxygenase-1 mediat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Rubus coreanus in murine macrophage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51(1):146-152 

  30. Park YS.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medicinal herb extracts. J Fast Asian Soc Dietary Life 12(1):23-31 

  31. Pauwels B, Pooter CMJ, Lambrechts HAJ, Lardon F. 2003. Comparision of the sulforhodamine B assay and the clonogenic assay for in vitro chemoradiation studies. Cancer Chemother Pharmacol 51:221-226 

  32. Scudiero DA, Shoemaker RH, Paull KD, Monks A, Tierney S, Nofziger TH, Currens MJ. Seniff D, Boyd MR. 1998. Evaluation of a soluble tetrazolium/formazan assay for cell growth and drug sensitivity in culture using human and other tumor cell lines. Cancer Res 48:4827-4833 

  33. Shin SM. 2008. Cytotoxic effects of korean black raspberry wine on various human cancer cells. Master thesis. Dogguk University. pp 2-31 

  34. Song GS, Ahn BY, Lee KS, Maeng IK, Choi DS. 1997.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al plants on the mutagenicity of indirect mutag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6):1288-12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