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음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의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 분석을 위해 전자공여능,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의 총 함량은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104 mg/L, 125 mg/L으로 정량되어 70% EtOH 추출물이 열수추출 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70% EtOH 추출물이 1,000 ppm에서 93.1%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와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다.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은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이 1,000 ppm에서 49.6%, 49.5%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BHA보다 높은 nitrit oxide radical 저해활성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1,000 ppm농도에서 열수 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46.6%, 60.4%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은 1,000 ppm에서 열수추출물이 92.7%, 70% EtOH 추출물이 91.4%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음나무 잎의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많은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으며, 70% EtOH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합성항산화제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다소 낮지만 천연 항 산화제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음나무 잎의 강한 항산화능을 피부노화 예방관련 미용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한 유용한 수종으로 개발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cosmeceutical activity of Kalopanax septemlobus leaf and it is possible that can be used as a cosmetic ingredient for applicaiton of cosmetic industries. The concentration of total phenolic compound of hot water and 70% EtOH extracts of K. septemlobus leaf sh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89). 본 실험에서는 항산화능을 측정하는 방법의 하나로써 xanthine oxide 저해활성 실험을 하였다. 음나무 잎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Fig.
  • 본 연구에서는 음나무 잎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인 항산화활성을 검증하고, 화장품 및 의약품의 산업적 응용을 위하여 천연소재인 음나무 잎 추출물의 기능성 물질로써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나무란?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 Koidz.)는 우리나라 전국에 자생하는 낙엽활엽 교목으로 수고 25 m, 직경 1 m에 달하는 거목으로 군집성이 없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100~1,800 m에서 자라나, 표고 400~500 m 부근에 집중 분포하고 지리적으로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유묘시에는 내음성이 높아 수관하부에서도 생육하나 크면서부터 양광을 요구하며, 생장이 빠르고 단간으로 생장하여 어려서 달렸던 가지는 수령이 증가하면서 자연낙지 되고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에서 잘 생장하나 토성은 별로 가리지 않는다(문흥규 등, 2007).
음나무 잎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페놀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음나무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의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 분석을 위해 전자공여능,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의 총 함량은 열수추출물과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104 mg/ℓ, 125 mg/ℓ으로 정량되어 70% EtOH 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70% EtOH 추출물이 1,000 ppm에서 93.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한 음나무의 효능은 무엇인가? 음나무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그 껍질을 해동피(海桐皮: Kalopanacis cortex), 근피는 해동수근(海桐樹根)이라 하여 풍습제거, 경락소통, 살충, 살균, 항진균, 신경통 등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면역활성, 항산화 활성 및 잎 추출물의 진통 및 소염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Choi, 1997; 박희준 등, 2005; 김세현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세현, 박영기, 장용석, 한진규, 정현관. 2007. 음나무 추출물 의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와 항산화 활성. 한국목재공학회. 35(6): 126-134 

  2. 문흥규, 박소영, 김용욱, 손석규, 김지아. 2007. 산림자원의 기내대량증식. 국립산림과학원. pp. 39 

  3. 박희준, 남정환, 정현주, 김원배, 박광균, 정원윤, 최종원. 2005. 음나무 잎 수피의 진통소염효과 및 아주반트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 생약학회지. 36(4): 18-323 

  4.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5. Brand-Wiliams, W., Cuvelier M. E. and C. Berset.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Technology. 28: 25-30 

  6. Choi, S. W. 1997. Antioxidative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in Leaves of Kalopanax pictum Nakai. Research Bulletin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54(2): 131-139 

  7. Hatano, T., Yasuhara, T., Fukuda, T., Noro, T. and T. Okuda. 1989. Phenolic constituents of licoriceⅡ. Structures of licopyranocoumarin, licoarylcoumarin and glisoflavone, and inhibitory effects of licorice phenolics on xanthine oxidase. Chemical & Phamaceutical Bulletin. 37: 3005-3009 

  8. Hwang, H. S., Lee, Y. K. and K. G. Lee. 2006. Fractionation of Banaba Leaves Extract(Lagerstroemia speciosa L. Pers)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Food Engineering Progress. 10: 120-124 

  9. Jung, M. S., Lee G. S. and Chae H. J. 2004.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assay of ethanol extract of Radish.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47(1): 67-71 

  10. Kelley, W. N. and J. B. Wyngaarden. 1974. Enzymology of gout. Advances in Enzymology and Related Areas of Molecular Biology. 41: 1-33 

  11. Kong, W. S.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Korean J. Geographical Society. 39: 528-543 

  12. Lee, S. Y., Hwang E. J., Kim G. H., Choi Y. B., Lim C. Y., S. M. Kim. 2005.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L. Korea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3(3): 93-100 

  13. Marcocci, L., Maguire J. J., Droylefaix M. T. and L. Packer. 1994. The Nitric Oxide Scavenging Properties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1, 15: 748-755 

  14. Maxwell, S. J. 1995. Prospects for the use of anti-oxidant therapies. Drugs. 49: 345-361 

  15. Pellegrin, N., Re, R., Yang, M and Rice-Evans, C.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es applying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16. Stirpe, F. and E. D. Cort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ournal of Biochemistry. 244:3855-3861 

  17. Storch, J. and E. Ferber. 1988. Detergent-amplified chemilum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nion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Analytical Biochemistry. 169(2):262-267 

  18. Swain, T., Hillis, W.E. and Or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Science of Food Agriculture. 10:83-88 

  19. Wyngaarden, J. B. and E. W. Jr. Holmes. 1977. Molecular nature of enzyme regulation in purine biosynthesis. Ciba Foundation Symposium. 48: 43-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