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깨의 볶음 조건이 참기름 중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Formation in Sesame Oils with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4 = no.206, 2009년, pp.355 - 361  

서일원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Lotus기능성식품소재연구소) ,  남혜정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Lotus기능성식품소재연구소) ,  신한승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Lotus기능성식품소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참기름 제조 과정 중 참깨를 볶는 과정에서 온도와 시간에 따른 PAHs 생성량 변화를 분석하고 볶음방법에 따라 PAHs 생성량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분석 표준물질은 돌연변이원성과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8가지 PAH를 선정하여 HPLC/FLD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분석을 하였고, 제조한 참기름의 색도를 비교해보기 위해 색차계를 이용하여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참깨를 볶는 온도와 시간에 따라 PAHs 함량은 1.67-4.66 ${\mu}g$/kg으로 증가하였다. 가열 온도가 증가할수록 PAHs 생성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가열 시간에 따른 PAHs 함량을 비교해보면, 190, $220^{\circ}C$에서 가열 시간이 늘어날수록 PAHs 생성량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고온인 $250^{\circ}C$에서는 볶음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PAHs 생성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볶음 방법에 따른 PAHs 함량은 간접가열 방식인 열풍을 이용하여 참깨를 볶은 후 착유한 참기름이 직접가열 방식으로 볶은 후 착유한 참기름보다 적게 검출되었다. 참기름의 색도를 비교했을 때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와 황색도(b)는 감소하였고, 적색도(b)는 증가하였다. 볶음 방법 중 열풍가열 조건에서 $250^{\circ}C$에서 10-25분 볶은 후 착유한 참기름의 색도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참기름과의 색도와 비슷한 결과값을 나타냈다. 반면에 직접 가열 조건에서 볶은 참깨를 착유한 참기름의 색도는 시중에 판매되는 참 기름 보다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가 낮아 어둡고 탁한 색을 띄어 품질적인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PAHs 생성량을 고려해 볼 때 참기름 제조에 가장 적당한 볶음 온도와 시간은 낮을수록 좋으나 색도에서 품질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본 실험을 통해 색도, 가열온도와 시간, 가열방법을 생각해 볼 때, 열풍 가열방법 $250^{\circ}C$에서 10분간 볶은 후 착유하는 참기름 제조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가공방법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re environmental carcinogenic compounds that arise by several means including food processing methods such as smoking and direct drying and cooking.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ntration of PAHs in sesame oils with various roasting temperatures (190, 220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참기름 제조 과정 중 참깨를 볶는 과정에서 온도와 시간에 따른 PAHs 생성량 변화를 분석하고 볶음방법에 따라PAHs 생성량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분석 표준물질은 돌연변이원성과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8가지 PAH를 선정하여 HPLC/FLD를 이용하여 정성·정량분석을 하였고, 제조한 참기름의 색도를 비교해보기 위해 색차계를 이용하여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참기름 제조 중의 참깨의 볶음온도와 시간조건에 따른 PAHs 함량 분석과 가열조건을 달리하는 볶음 과정이 PAHs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함으로써 최적조건의 참기름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성체 화합물의 위해성 평가는 어떤 기준으로 실시하고 있는가? PAHs와 같은 이성체 화합물의 위해성 평가는 대표물질의 독성을 기준으로 상대독성계수(Toxic Equivalency Factors, TEFs)를 정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 적용되고 있는 평가는 PAHs 화합물 중 발암성이 가장 높은 BaP을 기준(TEF=1)으로 상대독성계
참기름의 장점은? 이 가운데 참기름은 고소한 향미가 있고 다른 식용유지에 비해 산화되기 어렵다는 점, 영양적으로 우수함이 있다는 점 등의 다양한 기능적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조미료 및 식품으로 이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참기름은 참깨를 볶는 과정 중에 물리화학적인 특성이 변화하여 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참기름에 대해 열풍 가열 방식에서는 PAHs가 적게 생성하는 이유는 어떻게 추측할 수 있는가? 이와 같은 결과를 생각해 볼 때 열풍 가열 방식에서는 PAHs가 적게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참깨가 볶아 질 때 표면에 형성된 PAHs 유도체가 열풍에 의해서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있으며, 열풍조건 가열방식에서는 참깨의 표면 온도가 직접가열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덜 타게 됨으로써 적게 생성되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열풍을 이용한 가열 방법이 참기름 제조 과정 중 PAHs 저감화에 효율적이라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Phillips D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the diet. Mutat. Res. 443: 139-147 (1999) 

  2. Wenzl T, Simon R, Kleiner J, Anklam E. Analytical methods fo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food and the environment needed for new food legislation in the European Union. Trends Anal. Chem. 25: 716-725 (2006) 

  3. Kazerouni N, Sinha R, Hus CH, Greenberg A, Rothman N. Analysis of 200 food items for benzo[a]pyrene and estimation of its intake in an epidemiologic study. Food Chem. Toxicol. 39: 423-436 (2001) 

  4. Tilgner DJ, Daun 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moked foods. Residue Rev. 27: 19-41 (1969) 

  5. Gunther FA, Buzzetti F. Occurrenc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olynuclear hydrocarbons as residues. Residue Rev. 23: 90-113 (1965) 

  6. U.S. EPA. U.S. EPA Method 610. Methods for organic chemical analysis of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water.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1984) 

  7. European Commission. Commission Regulation No 1881. Setting maximum levels for certain contaminants in foodstuffs. Off. J. Eur. Union 49: 5-24 (2006) 

  8. IARC. IARC Monographs i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Suppl. 7.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Lyon, France (1987) 

  9. WHO. Recommendations for the revision of guidelines for predicting dietary intake of pesticide residues. Report of a FAO/WHO consultation. WHO/FNU/FOS/95.11.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1995) 

  10. Douglass JS, Tennant DR. Estimations of dietary intake of food chemicals. pp. 195-218. In: Food Chemical Risk Analysis. Tennant DR (ed). Blackie Academic Professional, London, UK (1997) 

  11. Tasi PJ, Shieh HY, Lee WJ, Lai SO. Health-risk assessment for workers exposed to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a carbon black manufacturing industry. Sci. Total Environ. 278: 137-150 (2001) 

  12. Nisbet, ICT, Lagoy, PK. Toxic equivalency factors (TEFs) fo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Regul. Toxicol. Pharm. 16: 290-300 (1992) 

  13. Kluska M. Soil contamination wit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the vicinity of the ring road in siedlce city. Pol. J. Environ. Stud. 12: 309-313 (2003) 

  14. Voutsa D, Terzi H, Muller L, Samara C, Kouimtzis TH. Profile analysis of organic micropollutants in the environment of a coal burning area. Chemosphere 55: 595-604 (2004) 

  15. Chung SY, Sho YS, Park SK, Lee EJ, Suh JH, Choi WJ, Kim JS, Kim MH, Kwon KS, Lee JO, Kim HY, Lee CW. Concentration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vegetable oils and f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68-691 (2004) 

  16. Hu SJ, Oh NS, Kim SY, Lee HM. Determining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domestic vegetables and fruits. Anal. Sci. Technol. 19: 415-421 (2006) 

  17. Kim HY, Song DS. Minimizing Benzo(a)pyrene content in the manufacturing of sesame oil and perilla oil. Korean J. Food Preserv. 15: 556-561 (2008) 

  18. Moret S, Dudine A, Conte LS. Processing effects on th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content of grapeseed oil. J. Am. Chem. Soc. 77: 1289-1292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