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잎녹차 추출물 보다는 분말녹차 추출물의 경우가 그리고 저장된 sample보다는 fresh sample의 AChE 저해활성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이는 생리활성 물질의 추출효율성과 생리활성 물질의 특성 변화 측면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팀에서 구성한 저장 조건에서, 4주간의 짧은 저장기간이 3개월 저장조건보다는 우수한 효소 저해활성도를 나타냈다. 수분활성도 측면에서는 수분활성도 0.81의 조건을 갖는 sample에서의 효과가 비교적 우수했고, 3개월 저장하는 동안의 저장온도 조건은 효소 저해 활성도에 큰 차이를 보이는 요소로 작용하지 못했다. 다만 상온이나 냉장조건 보다는 냉동상태의 저장조건이 다소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생리활성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녹차의 상태와 처리 또는 섭취 농도가 더욱 중요한 것으로 사료되고,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잎 보다는 분말의 상태가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녹차 추출물은 acetylcholine성 신경세포의 기능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AChE 저해제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s, which enhance cholinergic transmission by reducing the enzymatic degradation of acetylcholine, are the only source of the compound that is currently approved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D). In these experiments, the concentration samples of gr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분활성도(0.81, 0.69, 0.23)와 저장온도(−20, 4, 25℃)를 달리하여 잎녹차와 분말녹차를 3개월 동안 저장한 후 저장 조건에 의한 녹차 추출물이 가지는 신경세포의 AChE 저해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차란? 녹차(Camellia sinensis)는 동백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식물로서 전 세계 사람들이 물 다음으로 즐겨 마시는 음료 중의 하나이고, 매우 다양한 생리학적인 성질 등이 알려져 있다(17,18).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적 지표성분인 catechins는 건조시킨 녹차에 8-15% 정도 함유되어 있고, 또한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한 catechins는 epicatechin, epigallocatechin, epicatechingallate 및 epigallocatechin gallate 등으로 나누어진다(19).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한 catechins의 종류는? 녹차(Camellia sinensis)는 동백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식물로서 전 세계 사람들이 물 다음으로 즐겨 마시는 음료 중의 하나이고, 매우 다양한 생리학적인 성질 등이 알려져 있다(17,18).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적 지표성분인 catechins는 건조시킨 녹차에 8-15% 정도 함유되어 있고, 또한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한 catechins는 epicatechin, epigallocatechin, epicatechingallate 및 epigallocatechin gallate 등으로 나누어진다(19). 녹차에서 추출된 여러 가지 활성 물질들 중에서 특히 epigallocatechin gallate(EGCG)는 가장 강력한 생리활성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작용은 항암, 심혈관 질환 및 각종 퇴행성 질환 등 여러가지 연구에서 증명되어 왔다(20-23).
수분활성도와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잎녹차와 분말녹차를 저장후 저장 조건에 의한 녹차 추출물이 가지는 신경세포의 AChE 저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실험의 결과는? 잎녹차 추출물 보다는 분말녹차 추출물의 경우가 그리고 저장된 sample보다는 fresh sample의 AChE 저해활성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이는 생리활성 물질의 추출효율성과 생리활성 물질의 특성변화 측면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팀에서 구성한 저장 조건에서, 4주간의 짧은 저장기간이 3개월 저장조건 보다는 우수한 효소 저해활성도를 나타냈다. 수분활성도 측면에서는 수분활성도 0.81의 조건을 갖는 sample에서의 효과가 비교적 우수했고, 3개월 저장하는 동안의 저장온도 조건은 효소 저해활성도에 큰 차이를 보이는 요소로 작용하지 못했다. 다만 상온이나 냉장조건 보다는 냉동상태의 저장조건이 다소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생리활성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녹차의 상태와 처리 또는 섭취 농도가 더욱 중요한 것으로 사료되고,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잎 보다는 분말의 상태가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녹차 추출물은 acetylcholine성 신경세포의 기능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AChE 저해제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ock C, Konietzko U, Streffer JR, Tracy J, Signorell A, Muller- Tillmanns B, Lemke U, Henke K, Moritz E, Garcia E, Wollmer MA, Umbricht D, Quervain D JF, Hofmann M, Maddalena A, Papassotiroplos A, Nitsch RM. Antibodies against $\beta$ -amyloid slow cognitive decline Alzheimer's disease. Neuron 38: 547-554 (2003) 

  2. Choi JH, Kim DW, Choi JS, Han YS, Baek YH. Effect of reed root extract (RRE) on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animal model SAMP8 strain. Ⅲ. Feeding effect of RRE on neurotransmitters and their metabolites in SAMP8 brain. Korean J. Genet. 7: 29-36 (1997) 

  3. Selkoe DJ. The molecular pathology of Alzheimer's disease. Neuron 6: 487-498 (1991) 

  4. Harada J, Sugimoto M. Activation of caspase-3 in $\beta$ -amyloidinduced apoptosis of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Brain Res. 842: 311-323 (2000) 

  5. Yan XZ, Qiao JT, Dou Y, Qiao ZD. Beta-amyloid peptide fragment 31-35 induces apoptosis in cultured cortical neurons. Neuroscience 92: 177-184 (1999) 

  6. Goodman Y, Mattson MP. Secreted forms of $\beta$ -amyloid precursor protein protect hippocampal neurons against amyloid β-peptideinduced oxidative injury. Exp. Neurol. 128: 1-12 (1994) 

  7. Behl C, Davis JB, Cole GM, Schubert D. Vitamin E protects nerve cells from amyloid $\beta$ protein toxicity. Biochem. Bioph. Res. Co. 186: 944-950 (1992) 

  8. Hachiski VC, Illiff LD, Zikhka, E, Du boulay GH, McAllister VL, Russel RW, Symon L. Crebral blood flow in dementia. Arch. Neurol. 32: 632-637 (1975) 

  9. Webster RA, Jordan CC. Neurotransmitters, Drugs and Disease. Blacewell Scienific Publication. London, England. pp. 428-445 (1989) 

  10. Aarsland D, Larsen JP, Reinvamg I, Aarsland AM. Effect of cholinergic blockade on language in healthy young women. Brain 117: 1377-1384 (1994) 

  11. Perry EK, Perry RH, Blessed G, Tomlinson, BE. Necropsy evidence of central cholinergic deficts in senile dementia. Lancet 1: 8004-8189 (1997) 

  12. Bowen DM, Benton JS, Spillane JA, Smith CC, Allen SJ. Choline acetyltransferase activity and histopathology of frontal neocortex from biopsies of demented patients. J. Neurol. Sci. 57: 191-2024 (1982) 

  13. Schroder H, Giacobini E, Struble RG, Luiten PG, Zilles K, Strosberg AD. Muscarinic cholinoceptive neurons in the frontal cortex in Alzheimer's disease. Brain Res. Bull. 27: 631-636 (1991) 

  14. Polinsky RJ. Clinical pharmacology of rivastigmine: A new generation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Clin. Ther. 20: 634-47 (1998) 

  15. Jang CH, Eun JS, Park HW, Seo SM, Yang JH, Leem KH, Oh SH, Oh CH, Baek NI, Kim DK. An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from the leaves of securinega suffruticosa. Korean J. Pharmacogn. 34: 14-17 (2003) 

  16. Choi WH, Um MY, Ahn JY, Kim SR, Kang MH, Ha TY.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against cytotoxicity of perilla seed m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026-1031 (2004) 

  17. Kim YI, Park JY, Choi SJ, Kim JK, Jeong CH, Choi SG, Lee SC, Cho SH, Heo HJ.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on amyloid $\beta$ peptide-induced neurotoxicity. Korean J. Food Preserv. 15: 743-748 (2008) 

  18. Chen ZP, Schell JB, Ho CT, Chen KY. Green tea epigallocatechin gallate shows a pronounced growth inhibitory effect on cancerous cells but not on their normal counterparts. Cancer Lett. 129: 173-179 (1998) 

  19. Maeda S, Nakagawa M. General chemical and physical analysis on various Kinds of green tea. Chagyo Kenkyuhokoku 45: 85-92 (1977) 

  20. Masuda M, Suzui M, Weinstein IB.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on growth, epidermal growthfactor receptor signaling pathways, gene expression, and chemosensitivity in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s. Clin. Cancer Res. 7: 4220-4229 (2001) 

  21. Shimizu M, Deguchi A, Lim JT, Moriwaki H, Kopelovich L, Weinstein IB.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polyphenon Einhibit growth and activation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nd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 signaling pathway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Clin. Cancer Res. 11: 2735-2746 (2005) 

  22. Koh SH, Kim SH, Kwon H, Kim JG, Kim JH, Yang KH, Kim J, Kim SU, Yu HJ, Do BR, Kim KS, Jung HK. Phosphatidylinositol-3 kinase/Akt and GSK-3 mediated cytoprotective effect of epigallocatechin gallate on oxidative stress-injured neuronaldifferentiated N18D3 cells. Neurotoxicology 25: 793- 802 (2004) 

  23. Kim MK, Jung HS, Yoon CS, Kwon MJ, Koh KS, Rhee BD, Park JH. The protective effect of EGCG on INS-1 cell in the oxidative stress and mechanism. Korean Diabetes J. 32: 121-131 (2008) 

  24. Jeong DH, Kim JT. The Science of Tea. Daegwang Press, Seoul, Korea. pp. 87-92 (1997) 

  25. Park JH, Back CN, Kim JK. Recommendation of packing method to delay the quality decline of green tea powder stored at room temperature. Korean J. Hort. Sci. Technol. 23: 499-506 (2005) 

  26. Youn KS.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powder as influenced by particle siz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720-1725 (2004) 

  27. Youn KS.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powder as influenced by particle siz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720-1725 (2004) 

  28. Lee JM, Lim SW, Cho SH, Choi SG, Heo HJ, Lee SC. Effect of relative humidity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green te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83-88 (2009) 

  29. Park JH, Kim YO, Kug YI, Cho DB, Choi HK.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21-1025 (2003) 

  30. Ko WJ, Ko KS, Kim YD, Jeong KW, Lee SH, Koh JS. Changes in functional constituents and stability of green tea beverage during different storing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3: 421-426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