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폴리스 섭취 후 흡연자의 임파구 DNA 손상도 및 항산화 상태의 변화: 이중맹검 교차 인체시험
Changes in Lymphocyte DNA Damage and Antioxidant Status after Supplementing Propolis to Korean Smokers: A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Cross-Over Trial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2 no.5, 2009년, pp.442 - 452  

강명희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혜진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경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성미경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오란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유경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흡연은 신체 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할 뿐 아니라 체내 항산화 상태를 악화시킨다. 따라서 흡연으로 인해 유도되는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한 여러 다양한 식품영양학적인 시도들이 되어져 왔다.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에 꿀벌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혼합하여 만든 천연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가 산화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난 흡연자의 DNA 손상을 회복시키어 항산화 영양 상태를 개선시키는지를 보고자 하여 placebo를 사용하는 double- blind cross-over 인체시험을 수행하였다. 흡연자에게 800 mg의 프로폴리스와 placebo를 4주 섭취시킨 후 2주 washout period를 가진 뒤 다시 군을 바꾸어 교차시험으로 4주간 섭취시킨 후, comet assay에 의한 DNA 손상도 및 신체 내 항산화 효소 수준, 총 항산화력 및 항산화 비타민 상태를 분석하였다. 처음 2주 동안의 고갈기간 후에 흡연자 29명 (평균나이: 34.38 ${\pm}$ 1.73세)을 프로폴리스군과 위약군의 두 군으로 나누어 하루에 프로폴리스 또는 위약을 4주 동안 공급하였고 2주 동안의 washout 기간을 가진 후에 교차실험을 위해 대상자의 군을 바꾸어 다시 4주 동안 프로폴리스와 위약을 공급하였다. Comet assay로 분석한 대상자의 임파구 DNA 손상정도는 프로폴리스를 섭취한 군이나 위약을 섭취한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총 항산화 영양상태도 두 군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적혈구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도, 그리고 혈장 vitamin C와 tocopherol 수준도 프로폴리스군과 위약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흡연자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oking has been known to exacerbate the initiation and propagation of oxidative stresse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smoking-induced oxidative stresses using commercial dietary supplements. Propolis is the resinous substance collected by bees from the leaf buds and bark of trees, espec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의 인체에 대한 항산화 생리활성을 DNA 손상 개선정도를 중심으로 평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이중 맹검 (double-blind)에 의한 교차 실험 (cross-over design) 디자인으로 인체 중재연구를 시도하였다. 즉 건강한 남성 흡연자를 두 군으로 나누어 프로폴리스를 4주 섭취시킨 후 wash out period를 가진 뒤에 다시 군을 바꾸어 cross-over 방식으로 4주간 프로폴리스를 섭취시키었으며 중재실험이 끝난 후에 comet assay에 의한 임파구 DNA 손상도 및 적혈구 항산화 효소 수준, 혈장 총 항산화력 및 항산화 비타민 상태를 분석하여 프로폴리스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인체에서의 프로폴리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흡연자를 대상으로 일정기간 프로폴리스 또는 placebo를 섭취하게 한 뒤에 comet assay에 의한 DNA 손상 정도 및 항산화 영양 상태를 double-blind cross-over 인체적용시험 디자인으로 수행한 in vivo 연구이다. 프로폴리스를 4주 동안 매일 섭취할 때 적혈구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도, 그리고 혈장의 vitamin C와 tocopherol 수준을 측정하여 항산화 지표들의 변화를 보았으며, 궁극적으로 임파구의 DNA 손상정도가 회복되는 지를 comet assay로 평가하였다.
  • 중재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제한점 중의 하나는 대상자 수가 제한되어 있다는 점과 관찰 기간이 짧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프로폴리스의 DNA 손상 개선 및 항산화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은 것도 대상자 개인 간의 변이가 컸다는 것에 부분적으로 기인했을 것이다. 개인 간 변이로 인해 대상자수가 많지 않은 인체 중재연구를 수행할 때 그 중재효과를 관찰하기가 어려워지며,41) 개인 간의 변이로 인해 genotoxicity가 나타나지 않음은 다른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보고된 바 있다.
  •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에 꿀벌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혼합하여 만든 천연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가 산화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난 흡연자의 DNA 손상을 회복시키어 항산화 영양 상태를 개선시키는지를 보고자 하여 placebo를 사용하는 double-blind cross-over 인체시험을 수행하였다. 흡연자에게 800 mg의 프로폴리스와 placebo를 4주 섭취시킨 후 2주 washout period를 가진 뒤 다시 군을 바꾸어 교차시험으로 4주간 섭취시킨 후, comet assay에 의한 DNA 손상도 및 신체 내 항산화 효소 수준, 총 항산화력 및 항산화 비타민 상태를 분석하였다.
  • 산화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쉬운 흡연자에게 있어 프로폴리스의 섭취가 혈장 내 항산화 비타민 수준에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았다. 4주간의 프로폴리스 및 위약 섭취 후에 혈장 비타민 C, α-tocopherol 및 γ-tocopherol 수준은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Table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폴리스의 구성성분은?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식물로부터 수집해온 수지에 꿀벌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혼합하여 만든 천연 물질로써 200종 이상의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지가 50%, 밀납 (왁스) 30%, 유성성분 10%, 화분 (폴렌) 5%, 그리고 나머지 5%는 유기물 및 무기질이다.1)
프로폴리스란 무엇인가?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식물로부터 수집해온 수지에 꿀벌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혼합하여 만든 천연 물질로써 200종 이상의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지가 50%, 밀납 (왁스) 30%, 유성성분 10%, 화분 (폴렌) 5%, 그리고 나머지 5%는 유기물 및 무기질이다.1)
프로폴리스 및 그 주요성분들의 항산화 효과의 in vitro 실험은 무엇이 있는가? 프로폴리스 및 그 주요성분들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는 그동안 in vitro 실험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다.11,12-16) In vitro 실험으로는 DPPH 라디칼 소거실험,11) β-carotene bleaching assay,11) 지질과산화 방지 측정,12) superoxide anion 제거 실험,13) xantine oxidase 활성14) 그리고 hydrogen peroxide UV-photolysis에 의해 유도된 DNA cleavage 저해 실험13) 등이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Gomez-Caravaca AM, Gomez-Romero M, Arraez-Roman D, Segura-Carretero A, Fernandez-Gutierrez A. Advances in the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products derived from bees. J Pharmacol Bio Anal 2006; 41: 1220-1234 

  2. Banskota AH, Tezuka Y, Kadota S. Recent progress in pharmacological research of propolis. Phytother Res 2001; 15: 561-571 

  3. Kartal M, Yildiz S, Kaya S, Kurucu S, Topcu G. Antimicrobial activity of propolis samples from two different regions of Anatolia. J Ethnopharmacol 2003; 86: 69-73 

  4. Amoros M, Lurton E, Boustie J, Girre L. Comparison of the antiherpes simplex virus activities of propolis and 3-methylbut-2-enyl caffeate. J Nat Prod 1994; 64: 235-240 

  5. Wang L, Mineshita S, Ga I, Shigematsu T, Matsuno T, Antiinflammatory effect of propolis. Jpn J Pharmacol Ther 1993; 24: 223-224 

  6. OrDolic N, Terzic S, Mihaljevic Zver L, BaDic I. Effects of local administration of propolis and its polyphenolic compounds on tumor formation and growth. Biol Pharm Bull 2005; 28(1): 928-933 

  7. Murad JM, Calvi SA, Soares AMVC, Bankova V, Sforcin JM. Effect of propolis from Brazil and Bulgaria in fungicidal activity of mactophages against Paracoccidioides brasiliensis. J Ethnopharmacol 2002; 79: 331-334 

  8. Ahn MR, Kunimasa K, Ohta T, Kumazawa S. Suppression of tumor-induced angiogenesis by Brazilian propolis: Major component artepillin C inhibits in vitro tube formation and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Cancer Lett 2007; 252: 235-243 

  9. Nakajima Y, Shimazawa M, Mishima S, Hara H. Water extract of propolis and its main constituents, 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exert neuroprotective effects via antioxidant actions. Life Sci 2007; 80: 370-377 

  10. Ahn MR, Kunimasa K, Kumazawa S, Nakayama T, Kaji K, Uto Y, Hori H, Nagasawa H, Ohta T. Correlation between antiangiogenic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components from propolis. Mol Nutr Food Res 2009; 53(5): 643-651 

  11. Kumazawa S, Hamasaka T, Nakayama T. Antioxidant activity of propolis of various geographic origins. Food Chem 2004; 84: 329-339 

  12. Isla MI, Nieva Moreno MI, Sampietro AR, Vattuone MA. Antioxidant activity of Argentine propolis extracts. J Ethnopharmacol 2001; 76(2): 165-170 

  13. Russo A, Cardile V, Sanchez F, Troncoso N, Vanella A, Garbarino JA. Chilean propoli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proliferative action in human tumor cell lines. Life Sci 2004; 76(5): 545-558 

  14. Russo A, Longo R, Vanella A. Antioxidant activity of propolis: role of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and galangin. Fitoterapia 2002; 73 Suppl 1: S21-S29 

  15. Abo-Salem OM, El-Edel RH, Harisa GE, El-Halawany N, Ghonaim MM. Experimental diabetic nephropathy can be prevented by propolis: Effect on metabolic disturbances and renal oxidative parameters. Pak J Pharm Sci 2009; 22(2): 205-210 

  16. El-Sayed el-SM, Abo-Salem OM, Aly HA, Mansour AM. Potential antidiabet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propolis extrac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Pak J Pharm Sci 2009; 22(2): 168-174 

  17. Jasprica I, Mornar A, Debeljak Z, Smolci?Bubalo A, Medi? Sari?M, Mayer L, Romi?Z, Bu?n K, Balog T, Sobocanec S, Sverko V. In vivo study of propolis supplementation effects on antioxidative status and red blood cells. J Ethnopharmacol 2007; 110(3): 548-554 

  18. Kim CS, Kang HJ, Lee SH, Park YK, Kang MH. The effect of alpha-tocopherol supplementation on the improvement of antioxidant status and lymphocyte DNA damage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2007; 40(8): 708-718 

  19. Park E, Kang MH. Smoking and high plasma triglyceride levels as risk factors for oxidative DNA damage in the Korean population. Ann Nutr Metab 2004; 48: 36-42 

  20. Kim HY, Park YK, Kim TS, Kang MH. The effect of green vegetable drink supplementation on blood pressure,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plasma lipid profiles of Korean male subje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6; 35(3): 344-352 

  21. Park YK, Park E, Kim JS, Kang MH. Daily grape juice consumption reduces oxidative DNA damage and plasma free rdical levels in healthy Koreans. Mutat Res 2004; 529: 77-86 

  22. Matshshige K, Kusumoto IT, Yamamoto Y, Kadota S, Nambe T. Quality evaluation of propolis. 1. A comparative study on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propolis and vespae nidus. J Trad Med 1995; 12: 45-53 

  23. Matshushige K, Basnet P, Kadota S, Namba T. Pot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icaffeoyl quinic acid derivatives from propolis. J Trad Med 1996; 13: 217-228 

  24. Hayashi K, Komura S, Isaji N, Ohishi N, Yagi K. Isolation fo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Brzillian propolis: 3, 4-dihydroxy-5-prenylcinnamic acid, a novel potent antioxidant. Chem Pharm Bull 1999; 47: 1521-1524 

  25. Banskota AH, Tezuka Y, Adnyana IK, et al. Biological evaluation of propolis form Brazil, Peru, the Netherlands and China. J Ethnopharmacol 2000; 72: 239-246 

  26. Oyaizu M, Ogihara H, Fujimoto Y.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propolis. J Jap Oil Chem Soc 1999; 48: 135-138 

  27. Williams RJ, Spencer JPE, Rice-Evans CA. Flavonoids: antioxidants or signaling molecules? Free Radic Biol Med 2004; 36: 838-849 

  28. Galati G, O’rien PJ. Potential toxicity of flavonoids and other dietary phenolics: significance for their chemopreventive and anticancer properties. Free Radic Biol Med 2004; 37: 287-303 

  29. Cherubini A, Beal MF, Frei B. Black tea increases the resistance of human plasma to lipid peroxidation in vitro, but not in vivo.? Free Radic Biol Med 1999; 27: 381-387 

  30. Sung MK, Kim MK, Kang MH. Establishment of functional evaluation system for antioxidants (II): Re-evaluation of functionality for antioxidant health foods listed in Korean Food Codex. Final Report of th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search Project; 2004 

  31. Anderson HR, Nielsen JB, Nielsen F, Grandjean P.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human erythrocytes. Clin Chem 1997; 43: 562-568 

  32. Kutlu M, Naziroglu M, Simsek H, Yilmaz T, Sahap Kukner A. Moderate exercise combined with dietary vitamins C and E counteracts oxidative stress in the kidney and lens of streptozotocin-indeced diabetic rat. Int J Vitam Nutr Res 2005; 75: 71-80 

  33. Kismet K, Sabuncuoglu MZ, Kilicoglu SS, Kilicoglu B, Devrim E, Erel S, Sunay AE, Erdemli E, Durak I, Akkus MA. Effect of propolis on oxidative stress and histomorphology of liver tissue in experimental obstructive jaundice. Eur Surg Res 2009; 41(2): 231-237 

  34. Cederbaum AI. Introduction-serial review: alcohol, oxidative stress and cell injury. Free Radic Biol Med 2001; 31: 1524-6 

  35. Konopacka M, Rzeszowska-Wolny J. Antioxidant vitamin C, E and beta-carotene reduce DNA damage before as well as after gamma-ray irradiation of human hymphocytes in vitro. Mutat Res 2001; 491: 1-7 

  36. MaCall MR, Frei B. Can antioxidant vitamins materially reduce oxidative damage in humans? Free Radic Biol Med 1999; 26: 1034-1053 

  37. Duthie SJ, Ma A, Ross MA, Collins AR. Antioxidant supplementation decreases oxidative DNA damage in human lymphocytes. Cancer Res 1996; 56: 1291-1295 

  38. Stahl W, Junghans A, de Boer B, Driomina ES, Briviba K. Carotenoids mixtures protect multilamellar liposomes against oxidative damage: synergistic effects of lycopene and lutein. FEBS Lett 1998; 427: 305-308 

  39. WCRF. Food,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ancer: a global perspective. Washington, DC. World Cancer Research Fund, America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1997 

  40. Bazzano LA, Serdula MK, Liu S. Dietary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urr Atheroscler Rep 2003; 5: 492-499 

  41. John JH, Ziebland S, Yudkin P, LS Roe. Effects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on plasma antioxidant concentrations and blood pressu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02; 359: 1969-1974 

  42. Silliman K, Parry J, Kirk LL, Prior RL. Pycnogenol does not impact the antioxidant or vitamin C status of healthy young adults. J Am Diet Assoc 2003; 103: 67-72 

  43. Chopra M, O'Neill ME, Keogh N, Wortley G, Southon S, Thurnham DI. Influence of increased fruit and vegatable intake on plasma and lipoprotein carotenoids and LDL oxidation in smokers and nonsmokers. Clin Chem 2000; 46(11): 1818-18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