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경북 지역 성인의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 - 1, 2, 3기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바탕으로 -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s of Adults over 20 years in Daegu-Gyeongbuk - From the 1st to 3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2 no.5, 2009년, pp.474 - 485  

정명애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지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성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s of adults aged 20-64 year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in comparison with Seoul and the whole nation. Data from the 1st (1998) to 3r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은 1998년, 2001년, 2005년도 1에서 3기에 걸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20~64세 이상의 성인 자료를 사용하여 대구 및 경북지역의 에너지와 영양소 섭 취 상황과 변화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동시에 전국평균과 대도시인 서울지역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 전 연령을 평균할 경우는 연령층 (1~65세 이상) 이나 남녀 별에 따른 섭취량의 차이가 상당히 크므로 평균 값을 남녀와 연령이 결정된 어떤 계층도 대표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지역에 관계없이 전국과 세 지역의 성인의 실제 에너지 섭취를 남녀 별로 확실히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대구 경북 지역 성인의 에너지 섭취량이 이 지역 영양을 대표하는지는 확신할 수 없었으나 에너지 섭 취의 특성은 파악할 수 있었다.
  • 그러나 총 에너지와 또 부수되는 미량 영양소들의 섭취량이 연도별 변화의 폭도 크고 일관되지 않아 지역 특성 및 기간에 다른 변화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별도로 성인의 성별과 나이로 구별되는 현실적인 영양섭취 자료를 산출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지며 대구 경북 지역의 영양 정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이러한 비교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제시된 행정구역별 결과가 지역의 성인의 결과와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고 건강 증진정책을 계획하는데 효용성이 있는지를 타진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몇 년을 주기로 시행되는가? 한국인의 영양섭취상태는 1969년도 국민영양조사를 기점 으로 시작된 후 1998년도에 국민건강·영양조사로 바뀌면 서 현재까지 3년을 주기로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전에 비하여 개선된 영양섭취조사방법으 로 이루어지며 건강지표들도 많이 포함되어 명실공이 우리 국민들의 영양과 건강상태에 대한 좋은 정보를 제공해 주 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영양섭취조사방법으로 어떤 관점에서 분석 보고되는가?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전에 비하여 개선된 영양섭취조사방법으 로 이루어지며 건강지표들도 많이 포함되어 명실공이 우리 국민들의 영양과 건강상태에 대한 좋은 정보를 제공해 주 고 있다.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얻은 방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영양 섭취와 질병 관련성,1-5) 연령,6,7) 식행동 및 식사패턴,8-11) 그 외 식품관련성,12,13) 특수 식이성분의 섭취 량 조사,14,15) 영양섭취의 사회경제학적 측면16-20)등 여러 관 점에서 다양하게 분석, 보고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장점은 무엇인가? 한국인의 영양섭취상태는 1969년도 국민영양조사를 기점 으로 시작된 후 1998년도에 국민건강·영양조사로 바뀌면 서 현재까지 3년을 주기로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전에 비하여 개선된 영양섭취조사방법으 로 이루어지며 건강지표들도 많이 포함되어 명실공이 우리 국민들의 영양과 건강상태에 대한 좋은 정보를 제공해 주 고 있다.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얻은 방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영양 섭취와 질병 관련성,1-5) 연령,6,7) 식행동 및 식사패턴,8-11) 그 외 식품관련성,12,13) 특수 식이성분의 섭취 량 조사,14,15) 영양섭취의 사회경제학적 측면16-20)등 여러 관 점에서 다양하게 분석,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HS, O SU, Kang JH, Park YU, Choe JM, Kim YS, Choe UH, Yu HJ, Kim YS.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with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survey, 1998-. Korean J Obes 2003; 12(1): 1-14 

  2. Moon HK, Park JH.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between with and without hypertension using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Korean J Nutr 2007; 40(4): 347-361 

  3. Lee HJ, Lee HS, Lee YN, Jang YA, Moon JJ, Kim CI. Nutritional environment influences hypertension in the middle-aged Korean adults-Based on 1998 &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 (3): 272-283 

  4. Moon HK, Jeong JY, Kim SY. Analysis of dietary intake of Koreans by dyslipidemia using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n J Nutr 2007; 40(5): 435-450 

  5. Chung CE. Establishment of total sugar reference value for Koreans: Association of total sugar intakes and metabolic syndrome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02. Korean J Nutr 2007; 40(1): 29-38 

  6. Choi JH, Moon HK. Dietary pattern by sex and age with menu analysis using 1998,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 (6): 798-814 

  7. Kim KR, Kim SA, Kim MK. Nutritional status and food insufficiency of korean population through the life-course by education level based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2008; 41(7): 667-681 

  8.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H.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2006; 39(8): 841-849 

  9. Kwon MK, Park YS.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eating behaviors of underweight adolescent boys using 2001 NHANES of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3): 235-246 

  10. Yeoh YJ, Yoon JH, Shim JE, Chung SJ. Factors associated with skipping breakfast in Korean children: Analysis of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1): 62-68 

  11. Shim JE, Paik HY, Moon HK.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 diet quality and health outcomes in adults from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2007; 40(5): 451-462 

  12. Shim JS, Oh KW, Nam CM. Association of household food security with dietary intake-based on the thir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3). Korean J Nutr 2008; 41(2): 174-183 

  13. Chung HR. Health intended food use by Korean adult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Korean J Nutr 2006; 12(4): 369-377 

  14. Chung CE. Ready-to-eat cereal consumption enhances milk and calcium intake in Korean population from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2006; 39(8): 786-794 

  15. Yu KH, Chung CE, Cho SS, Ly SY. Analysis of dietary fiber intake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2001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newly established dietary fiber database. Korean J Nutr 2008; 41(1): 100-110 

  16. Kim BH, Lee JW, Lee YN, Lee HS, Jang YA, Kim CI. Food and nutrient consumption patterns of the Korean adult population by income level-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6): 952-962 

  17. Song YJ, Joung HJ, Paik HY. Socioeconomic, nutrient, and health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etary patterns in adult populations from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2005; 38(3): 219-225 

  18. Moon HK, Park JH.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between with and without hypertension using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Korean J Nutr 2007; 40(4): 347-361 

  19. Lee JW. A comparative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families with working housewives and with non-working ones: Analysis of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5): 610-619 

  20. Choi JH, Moon HK. Comparison of dietary patterns by sex and urbanization in different economic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3): 346-358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 on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1999 

  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2 

  23. Lee JS, Yu CH, Park SH, Han GJ, Lee SS, Moon HK, Paik HY, Shin SY.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of the rural people in Korea-comparison of the nutrient intake by area and age. Korean J Nutr 1998; 31(9): 1468-1480 

  24. Kwak EH, Lee SL, Yoon JS, Lee HS, Kwon CS, Kwun IS. Macronutrient, mineral and vitamin intake in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of north Kyungpook province in south Korea. Korean J Nutr 2003; 36(10): 1052-1060 

  25. Kim SM, Kim JR. A study of the nutritional iron status of adults in Taegu 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1): 191-199 

  26. Jung YJ, Choi MJ. Studies of nutrient intake, life style and serum lipids level in middle-aged men in Taegu. Korean J Nutr 1997; 30(3): 277-285 

  27. Lee KS, Kim JM. Comparison of nutrients intake, bone density, total cholesterol and blood glucose in women living in Taegu city. J Korean Dietetic Assoc 2003; 9(1): 81-93 

  2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29. Choi MJ. Studies of nutrient intake, life style and serum lipids level in adult women in Taegu. Korean J Nutr 1998; 31(4): 777-786 

  30.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