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로콜리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eok added with Broccoli(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Plen.)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2 no.2, 2009년, pp.229 - 237  

조경련 (한양여자대학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a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eolgiddeok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broccoli(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Plen.) powder were investigated during 3 days of storage. Moisture content decreased gradually during storage and was less in broccoli powder-amended samples. The col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천연 기능성 소재인 브로콜리의 이용성 증진을 목적으로 브로콜리 분말을 0, 3, 6, 9, 12%로 첨가하여 설기떡을 제조한 후 저장하면서 설기떡의 품질 변화 관찰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건강기능성 설기떡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 Values within a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로콜리란? italica Plen.)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채소로 모란채라고도 하며, 꽃봉오리와 줄기를 식용하는 것으로 양배추의 일종이다. β-carotene, 비타민 B1 및 B2, 비타민 C와 무기질 중 철분과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수용성 식이섬유소와 칼륨이 많이 들어 있어(Jang HG 2001)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암 예방 및 돌연변이 억제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낸다고도 알려져 있다(Matusheski 등 2004).
떡에 대한 관심도와 이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 전통음식 중의 하나인 떡은 감소된 쌀의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점과 서구에서 전래된 밀가루 제품에 비해 건강에 기여하는 건강식품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과 이용도가 높아지고 있다(Kim & Lee 2007). 최근에는 여러 가지 한약재료 및 약리성을 갖는 천연재료를 떡에 첨가하여 건강식품으로도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Kim 등 2005; Kim & Hwang 2007; Chae & Hong 2006; Park 등 2002; Yoo 등 2005), 브로콜리를 첨가한 떡에 관한 연구보고는 거의 없다.
브로콜리속 성분과 생리활성 효과는? )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채소로 모란채라고도 하며, 꽃봉오리와 줄기를 식용하는 것으로 양배추의 일종이다. β-carotene, 비타민 B1 및 B2, 비타민 C와 무기질 중 철분과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수용성 식이섬유소와 칼륨이 많이 들어 있어(Jang HG 2001)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암 예방 및 돌연변이 억제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낸다고도 알려져 있다(Matusheski 등 2004). 브로콜리에 관한 국내 연구로는 브로콜리의 항암성분인 sulforaphane의 함량(Kim 등 1997) 및 조리 가공에 따른 sulforaphane의 함량 변화(Seok 등 1997), 브로콜리 잎즙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질과 비타민 C의 함량 분석(Wi 등 1999), 브로콜리의 생리활성 물질인 organosulfur 분리 및 동정(Seok 등 2003), 브로콜리의 항산화성과 항균성 효과(Lee & Park 2005) 등에 관한 보고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pp.211-214 Assos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aek HN, Lee HG. 2004. Sensory and texture properties of Neuti-dduk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0:49-56 

  3. Biliaderis CG. 1983.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in food research-A review. Food Chem 10:239-246 

  4. Cha GH, Lee EM, Lee HG. 2005. Sensory and machanical characteristics of Shinsuncho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1:422-432 

  5. Chae KY,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waxy sorghum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363-369 

  6. Cho EJ, Yang MO, Hwang CH, Kim WJ, Kim MJ, Lee MK.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Rubus coreanum Miquel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458-467 

  7. Han JY, Lee HG. 2002.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lsulgi using varied levels of pine leave powders and different types of sweeteners. Korean J Food Cookery Sci 18:164-172 

  8. Hong HG, Choi JH, Yang JA, Kim GY, Rhee SJ.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eok added with green te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15:224-230 

  9. Hyun HJ, Song KH, Choi MK, Song SM. 2007. Food calory and nutrition composition table. pp.76-77 Kyomunsa. Seoul. Korea 

  10. Jang HG. 2001. Food Material. pp.145-147. Sinkwang Press. Seoul. Korea 

  11. Jang MS, Kim BW, Yoon SJ. 2005. Effects of addition baekbokryung(white Poria cocos Wol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895-907 

  12. Jeon ER, Jung LH, Kim KA. 2000.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starch during steeping condition of potato. Korean J Soc Food Sci 16:431-436 

  13. Jeong HS. 2004. Quality of characteristics of Paeksulgis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Food Cookery Sci 20:93-98 

  14. Jeong DH. 2007. Health Functional Food Dictionary. pp.284 Shinilbooks. Seoul. Korea 

  15. Kang MJ, Kim KS. 2001. Current trends of research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dandelion. Food Industry and Nutr 6:60-63 

  16. Kim CH, Lee JH. 2007. The study on the consumers perce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rice cake as a meal. Korean J Culinary Research 13:59-68 

  17. Kim GY, Kang WW, Choi SW. 1999.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persimmon leave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461-466 

  18. Kim JA, Lee JM. 2004.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Harvey) Okamura with blanching tim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219-226 

  19. Kim JW, Hwang SJ. 2007. Effects of roots powder of balloonflowers on general composo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Culture 22:77-82 

  20. Kim KO, Kim SS, Sung NK, Lee YC. 1997. Methods & Application of Sensory Evaluation. pp.131-135. Sinkwang Press. Seoul. Korea 

  21. Kim MJ, Kim JH, Oh HK, Chang MJ, Kim SH. 2007. Seasonal variations of nutrients in Korean fruits and vegetables : Examining water, protein, lipid, ascorbic acid, and β-carotene cont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23-432 

  22. Kim SG, Lee SJ. 1998. Amylograph pasting properties of flour and starch of Korean rices differing in maturity.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1:421-425 

  23. Kugimiga M, Donovan JW. 1981. Calorimetric determination of amylose content of starches based on formation and melting of amylose-lysolecithin complex. J Food Sci 46:765-767 

  24. Kum JS, Lee CH, Baek KH, Lee SH, Lee HY. 1995. Influence of cultivar on rice starch and cooking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365-369 

  25. Lee KJ, Kim MR, Kim HY. 1997. Effect of processing on the content of sulforaphane of broccoli. Korean J Food Cookery Sci 13:422-426 

  26. Lee KH, Park HC, Her ES. 1998.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Method. pp.253-296. Hyoil Press. Seoul. Korea 

  27. Lee HS, Park YW.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from different parts of broccoli extract under high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59-764 

  28. Lee MY, Yoon S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oncentrations of Hericium erinace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0:575-580 

  29. Matusheski NV, Juvik JA, Jeffery EH. 2004. Heating decreases epithiospecifier protein activity and increases sulforaphane formation in broccoli. Phytochemistry 65:1273-1281 

  30. Oh SH, Kim BG, Yoon ES, Lee YH. 1999. Food Material Dictionary. pp.200-201 Korea Dictionary Research Publishing. Seoul. Korea 

  31. Park MK, Lee JM, Park CH, In MJ.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chlorell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225-229 

  32. Seok DE, Kim MR, Lee KJ, Kim JH. 1997. Determination of sulforaphane in cruciferous vegetables by SIM. Korean J Food Sci Technol 29:882-887 

  33. Seok DE, Kim JH, Kim MR.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ioactive organosulfur phytochemicals from solvent extract of brocco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315-319 

  34. Sohn KH, Yim SK. 2004. Effects of steriliz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carrot purees. Food Sci Biotechnol 13:141-146 

  35. Wi DS, Kim MR, Kim JH, Na JH, Seok DE. 1999. Volatile sulfur compounds, proximate components, minerals, vitamin C conte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juices of kale and broccoli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201-1207 

  36. Yoo KM, Kim SH, Chang JH, Hwang IK, Kim KI, Kim SS, Kim YC.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dandelion(Taraxacum officinale) leaves and root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110-116 

  37.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eok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33-4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