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항종양성
Antineoplastic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oligosaccharide on Various Tumor Cell Lin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2 no.2, 2009년, pp.308 - 312  

박헌국 (동남보건대학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세포 독성을 실험하였다.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은 정상세포주인 Vero E6(Africa green monkey kidney cell)에 대한 세포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정상세포주에 대한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IC_{50}$값은 $1,060.28{\mu}g/m{\ell}$이었다.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은 폐암 세포주인 A549, 방광암 세포주인 J82, 대장암 세포주인 SNU-C4, 위암 세포주인 SNU-1, 유방암 세포주인 ZR75-1 등과 같은 사람의 종양세포주에 대한 in vitro 항종양성을 나타내었다. 종양세포주에 대한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IC_{50}$값은 A549, J82, SNU-C4, SNU-1, ZR75-1 세포주의 경우에 각각 $477.42{\mu}/m{\ell}$, $480.40{\mu}g/m{\ell}$, $436.84{\mu}g/m{\ell}$, $373.55{\mu}g/m{\ell}$, and $539.95{\mu}/m{\ell}$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oligosaccharides were assessed. Low molecular weight chitooligosaccharide evidenced no cytotoxicity in in vitro trials with the normal cell line, Vero E6(Africa green monkey kidney cell). The $IC_{50}$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효소분해법으로 직접 제조한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종양세포에 대한 in vitro 항종양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키토산 올리고당은 어떻게 얻어지는가? Park HK(2001)는 키토산을 효소분해하여 얻어진 키토산 올리고당을 이용하여 11종의 식중독 세균과 1종의 효모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였으며, 다양한 식중독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특히 그람 양성세균에 대한 항균성이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우리나라에서 키토산 올리고당은 무엇으로 지정되어 있는가? 키토산 올리고당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식품첨가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여러 가지 가공식품에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첨가되어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키토산 올리고당의 기능성을 이용한 건강식품으로도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와 같이 키토산 올리고당은 다수의 기업체로부터 많은 양이 생산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자사 제품의 생리적 기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내세워 선전하고 있으나 실제로 그 생리적 기능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항균 스펙트럼을 관찰하는 것이 키토산 올리고당의 용도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인 이유는? Uchida 등(1998)은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의 항균작용에 대한 실험에서 40~50 ㎎ 환원당/g 키토산 가수분해물이 키토산보다 높은 항균성을 보였으며, 중합도 3~4를 주체로 하는 가수분해물보다는 중합도 5~6 이상의 것이 주성분인 가수분해물이 항균성이 강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Uchida 등의 연구는 곰팡이 3종 세균 4종의 극히 제한된 균종에 대한 항균성을 측정하여 보고한 것이었다. 따라서 식중독 세균을 비롯한 여러 가지 세균에 다양하게 적용하여 항균 스펙트럼을 관찰하는 것은 키토산 올리고당의 용도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 HR, Chang DS, Lee WD, Jeong ET, Lee EW. 1998. Utilization of chitosan hydrolysate as a natural food preservative for fish meat past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817-822 

  2. Hahn HG, Nam KD. 2004. Fungicidal activities of chitosan against plant pathogens. J Chitin Chitosan 9:73-78 

  3. Jeon YJ, Kim SK. 1997. Antimumor, antibacterial and calcium absorption acceleration effects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prepared by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 enzyme reacter. Korean J Chitin Chitosan 2:60-78 

  4. Jin SS, Oh DH. 2004. Combined effect of chitosan oligosaccharide and monolaurin about Listeria monocytogenes. J Chitin Chitosan 9:68-72 

  5. Kendra DF, Hadwiger LA. 1984. Characterization of the smallest chitosan oligomer that is maximally antifungal to Fusarium solani and elicits pisatin formation in pisum savitum. Exp Mycol 8:276-281 

  6. Kim HS, Seong JH. 2008. Effects of chitosan 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lipid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ies in hyperglycemic rats. Korean J Food Nutr 21:328-335 

  7. Nam MY, Shon YH, Kim SK, Kim CH, Nam KS. 1999. Inhibitory effect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on the growth of tumor cells. J Chitin Chitosan 4:184-188 

  8. Park HK.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oligosaccharides. Korean J Food Nutr 14:579-58 

  9. Park HK. 1999. Aggregation property of chitosan and chitooligosaccharides. 

  10. Park PJ, Kim SK, Lee HK.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oligosaccharides on Vibrio parahaemolyticus. 7:225-230 

  11. Ryu BH. 1992. Antitumor and immunological activity of chitosan extracted from shell of shrimp. J Korean Food Nutr 21:154-162 

  12. Shimojoh M, Masaki K, Kurita K, Fukoshima K. 1996. Bactericidal effect of chitosan from squid pens on oral streptococci. Nippion Nogeikagaku Kaishi 70:787-792 

  13. Tokoro A, Tatewaki N, Suzuki K, Mikami T, Suzuki S. 1988. Growth-inhibitory effect of hexa-N-acetylchitohexaose and chitohexaose against Meth-A solid tumor. Chem Pharm Bull 36:784-790 

  14. Uchida Y, Izumi M, Ohtakara A. 1988. Preparation of chitosan oligomers with purified chitosanase and its application. Annual Review of Japanese Society for Chitin and Chitosan. pp.93-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