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 보건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개발과 보건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율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 Components for Early Childhood and the Investigation of Teachers' Awareness and Performance Rate of Health Educatio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0 no.4, 2009년, pp.453 - 464  

권명순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한숙정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윤오순 (삼육보건대학 간호과) ,  송명선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health education program components for early childhood and to investigate teach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ealth education and their performance rate of health education. Methods: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program components were develo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보건 의료 환경과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면서, 향후 초·중등학교 보건교육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유아에게 적합한 보건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중요도 인식과 실천율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유아 보건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개발하였고, 구성요소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중요도 인식과 실천율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아 보건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중요도 인식과 실천율을 파악하여 유아를 위한 체계적인 보건교육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방법을 활용해서 5개 영역, 16개 주제, 33개 세부내용으로 구성된 유아 보건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중요도 인식과 실천율을 파악하기 위해 1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 보건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중요도 인식과 실천율을 파악하여 유아를 위한 체계적인 보건교육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방법을 활용해서 5개 영역, 16개 주제, 33개 세부내용으로 구성된 유아 보건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중요도 인식과 실천율을 파악하기 위해 1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보건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개발과 보건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율을 파악하여 향후 유아들을 위한 체계적인 보건교육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 보건교육 목적은? 유아기 보건교육 목적은 건강을 발달시키는데 필요한 지식, 태도, 행동의 습득을 통하여 어린이들의 삶의 질을 유지·향상시키는 것이다(Kim, 2002). 이는 유아들에게 자신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것을 인식하고 긍정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며 자신의 건강을 책임질 수 있도록 하는것을 의미한다(Kim, 2002; Park et al.
향후 유아들을 위한 체계적인 보건교육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유아 보건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개발한다. • 이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중요도 인식과 실천율을 파악한다.
유아기에 건강습관과 바른 태도를 심어줄 수 있도록 보건교육을 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이 시기의 건강은 평생건강의 기초가 되며 한 사회 인구집단의 건강잠재력과 재생산에 영향을 미쳐 차세대 국민건강과도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하다(Han, 2001). 유아기의 생활습관은 인간이 문화생활을 하는데 마땅히 습득해야만 하는 기본적인 것으로 올바르고 순조롭게 터득하면 신체적 건강에 초석이 될 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고 성인이 된 후에도 지속되어 원만한 사회생활을 하는 성숙한 인격체로 생활하는데 근간이 된다. 따라서 이 시기에 건강습관과 바른 태도를 심어줄 수 있도록 보건교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Hong, 1994; Kim, 2002; Kim, 1998; Ko & Baek,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an, K. G. (2001). Early childhood health and care, nursing role,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4(1), 107-109. 

  2. Hong, Y. J. (1994). The study on health forming of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11(1), 33-42. 

  3. Kim, H. J. (1999). A health school book. Seoul: Daehan Publishing Company. 

  4. Kim, H. Y. (2002). A case study of pre-daycare teachers' knowledge on health and its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University, Seoul. 

  5. Kim, I. G., Noh, E. H., Park, K. H., Lee, M. C., Lee, S. Y., Lee, H. S., et al. (2002). An introduction to public health. Seoul: Kyomun Publishing Company. 

  6. Kim, I. O. (1998). A study on the status of health education of kindergartens for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Nursing, 4(2), 255-264. 

  7. Kim, Y. I., Lee, K. Y., & Park, E. (2005). A survey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needs in scho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8(2), 1-13. 

  8. Ko, Y. A., & Baek, H. C. (2008). Status and needs assessment of health education in child day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2(2), 237-245. 

  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2007 Annual report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Retrieved June 22, 2009, from http://www.kostat.go.kr 

  10. Korean Health Teachers Association (2009). A health textbook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Seoul: Deulsam Publishing Company. 

  11. Meeks, L. B., Heit, P., & Page, R. M. (2007). Comprehensive school health education: Totally awesome strategic for teaching health (5th ed.). Boston, MA: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12.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a). 2008 Child care statistics. Retrieved June 20, 2009, from http//stat.mw.go.kr 

  13.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b). Comprehensive early child care program. Seoul: Hanhakmoonhwa Publishing Company. 

  1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A elementary &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tice 2008-148th unit. 

  15. Oh, J. S., Lee, H. W., & Jeong, I. J. (2006). National child welfare service-focused o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Seoul: Nanum Publishing Company. 

  16. Park, E. O., Yoo, S. M., Cho, H. J., Lee, W. Y., & June, K. J. (2005). The present state and improvements of health education in scho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8(2), 15-26. 

  17. Park, E. S., Park, Y. J., Ryu, H. S., Han, K. S., Hwang, R. I., Im, Y. J., et al. (2006). A nationwide survey on current conditions of school health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6(2), 381-388. 

  18. Whang, C. J. (1990). Kindergarten health service and health care in terms of school administ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9. Yang, S. O.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strategies for health management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facility. Unpublished manuscript, Hallym University-Health Promotion Support Tea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