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호의식 조사를 활용한 첨단 대중교통 서비스의 지불의사액 추정
An Estimation of Willingness to Pay for 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Using SP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교통공학, 도로공학, 시공관리, 정보기술, 지역 및 도시계획, 철도공학,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공학, v.29 no.4D, 2009년, pp.433 - 441  

이백진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 ,  김관우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 ,  김경석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오성호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비쿼터스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기존 첨단 대중교통체계를 이용자들의 개별선호에 대응하고 일상생활에 보다 활용될 수 있도록 신규 서비스의 제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첨단 대중교통체계를 한 단계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대중교통 차내 무료 인터넷 서비스와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안하고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선호의식조사를 이용하여 신규 서비스에 대한 응답자들의 선호도와 지불의사액을 조사 분석하였다. 특히 응답자들의 사회 경제적 특성에 따른 이질성을 고려한 모형을 구축하고 차내 이동시간별 지불의사액의 변화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결과 신규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는 차내 이동시간별, 계층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장거리 통행일수록 지불의사액이 증가했다. 계층별로는 주부-자영업의 경우 차내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에 대한 지불 의사액이 높은 반면, 회사원-학생의 경우에는 무료 인터넷 서비스와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지불의사액이 비슷하였고 비교적 장거리인 경우에 유효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ming ubiquitous society,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APTS) corresponding to individuals' needs and useful in their daily life is profound. In these regards, the study proposed new APTS services: Free internet access service and On-board real time 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사회의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기존 첨단 대중교통체계를 한 단계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대중교통 차내 무료 인터넷 서비스와 차내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4장에서는 서비스 효과분석을 위한 모형설명과 모형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한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이용자 계층별 및 차내 이동시간에 따른 지불의사액의 차이에 관하여 논의한다. 끝으로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에 관하여 논의한다.
  • 본 연구는 기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첨단 대중교통시스템의 한 단계 발전된 서비스로서 차내 무료인터넷 서비스를 통한 통행 중 생산적 활동을 지원하는 서비스와 차내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에 대한 가치를 계량적으로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기존 첨단 대중교통서비스를 한 단계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이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차내 실시간 교통정보제공 서비스와 대중교통 이용시 이동 중 생산적 활동(즉, 업무, 레저활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무료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대하여 논의하고, 신규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지불의사액(버스요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상기에서 제시한 대중교통 차내 무료 인터넷 서비스와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계량적으로 분석한다. 먼저, 버스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선호의식조사(SP: Stated Preference Survey)를 통해 해당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와 지불의사액(WTP: Willingness to Pay)을 조사하였다.
  • 특히 주목할 만한 연구로는 Lyons와 Urry (2005)가 있다. 저자들은 첨단 정보화 시대의 시간가치에 대해 논의하고 기존 비생산적 시간으로 인식되었던 이동시간이 정보화시대는 이동 중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생산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Bhat 등(2003)은 첨단 정보통신 기술과 일상생활의 통행빈도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특히 쇼핑통행의 통행빈도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가설 설정

  • 보다 현실적인 설문응답을 얻기 위하여 응답자들은 설문 항목에 응답하기 이전에 “대중교통 차내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와 “무료 인터넷 서비스” 제공내용에 대한 설명을 읽도록 하였으며 면접자를 통하여 각 서비스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추가적으로 경청 후 응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통행시간에 따른 지불의사액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본 설문의 주요 대상지인 경기도권의 버스이용 평균 출근통행시간이 약 48분(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2006)인 점을 참조하여 단거리 통행 30분, 장거리 통행 60분을 가정하여 각각의 조건에서 가장 선호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 계층별 이질성을 고려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회사원-학생 계층과 자영업-주부(가사) 계층으로 구분하였는데 회사원-학생은 정기적인 출퇴근(통학) 통행과 시간제약이 있는 계층, 자영업-주부는 비정기적 통행과 비교적 시간제약이 적은 계층을 대변한다. 즉, 신규 제공 서비스인 대중교통 차내 실시간 교통정보제공과 무료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응답자들의 선호도는 평상시 통행행태와 시간제약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특히, 응답자들의 지불의사액(버스 요금)은 정기적인 이용계층과 비정기적 이용계층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내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서비스는 무엇인지 예를 들어 설명하라. 다음으로 차내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서비스는 대중교통 차내 정보제공매체(예, 차내LCD 등)를 통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동 중에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면, 승용차 등과 같은 개인 교통수단의 경우 다양한 개인정보매체(예, 네비게이션, DMB 등)를 통해 통행 전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반면,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경우 이동 중 도로혼잡 정보, 목적지까지 도착예정시간, 유고, 환승 등과 같은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차내 대중교통 정보제공 매체를 통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서 개인 교통수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한 대중교통의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에 기여하는 서비스이다.
대중교통 차내 무료 인터넷 서비스는 무엇인가? 먼저, 대중교통 차내 무료 인터넷 서비스는 대중교통 이용자들이 이동 중 업무활동, 영화감상 등 다양한 일상적 활동이 가능토록 지원하여 이동시간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서비스이다. 즉, 지금까지 이동시간은 대중교통수단의 효용(Utility)에 부(-)의 효과가 있으며 가능한 최소화 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가정되었으나,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접목시켜 이동 중 생산적 활동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대중교통의 이동시간에 대한 부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대중교통의 효용개선에 기여하는 서비스이다.
대중교통 차내 무료 인터넷 서비스와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안하고 이용자들의 선호도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특히 응답자들의 사회 경제적 특성에 따른 이질성을 고려한 모형을 구축하고 차내 이동시간별 지불의사액의 변화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결과 신규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는 차내 이동시간별, 계층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장거리 통행일수록 지불의사액이 증가했다. 계층별로는 주부-자영업의 경우 차내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에 대한 지불 의사액이 높은 반면, 회사원-학생의 경우에는 무료 인터넷 서비스와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지불의사액이 비슷하였고 비교적 장거리인 경우에 유효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연수, 오철, 김범일(2005)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교통부문 여건변화분석 및 대응전략개발 연구, 연구보고서, 연구총서 2005-13, 한국교통연구원. 

  2. 남궁문, 손영국, 이병주, 엄영숙(2002)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교통정보제공시스템 도입에 대한 편익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2D호, pp. 229-235. 

  3. 노정현, 김용석(1999) 통행전 교통정보의 불확실성에 따른 출발시각 선택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4권 제4호, pp. 135-147. 

  4. 빈미영, 김효빈(2005) 실시간 버스도착정보의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궈 제6호, pp. 81-89. 

  5. 원제무, 최기주, 황준환(1996) 운전자의 출근 통행 행태에 미치는 교통정보의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1권 제5호, pp. 281-297. 

  6. 윤대식, 김상황(2001) 교통정보 제공에 따른 통행자의 통행행태 변화 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6권 제2호, pp. 101-115. 

  7. 이병주, 박영석, 김명수, 남궁문(2005) CVM을 이용한 관광지 접근도로 신설에 따른 편익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3D호, pp. 403-408. 

  8. 이상건, 이백진, 조지현, 김관우(2007) 아산-천안축 광역버스정보시스템 구축사업 관리용역 최종보고서, 연구보고서, 국토연구원. 

  9. 정진규, 이백진, 임영태, 김종학(2007) 초기 유비쿼터스 환경과 대도시권 교통정책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국토연 2007-34, 국토연구원.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 TAGO 기본계획 및 유지관리방안 수립 연구. 

  11. 林山泰久 (1998) 想的市場評法による環境質の便益評評, 日本土木誌, Vol. 83, pp. 37-40. 

  12. Ben-Akiva, M.E. and Lerman, S.R. (1987)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The MIT Press. 

  13. Bhat, C.R., Sivakumar, A., and Axhausen, K.W. (2003)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on non-maintenance shopping activiti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Vol. 37, pp. 857-881. 

  14. Denant-Boemont, L. and Petiot R. (2003) Information value and sequential decision-making in a transport setting: an experimental stud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Vol. 37, pp. 365-386. 

  15. Dziekan, K. and Kottenhoff, K. (2007) Dynamic at-stop real-time information displays for public transport: effects on customer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Vol. 41, pp. 489-501. 

  16. Grotenhuis J.W., Wiegmans, B.W., and Rietveld, P. (2007) The desired quality of integrated multimodal travel information in public transport: Customer needs for time and effort savings, Transport Policy, Vol. 14, pp. 27-33. 

  17. Khattak, A.J., Youngbin, Y., and Linda S.P. (2003) Willingness to pay for travel inform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Vol. 11, pp. 137-159. 

  18. Lee, B.j., and Timmermans, H.J.P. (2007) A latent class accelerated hazard model of activity episode dur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41, pp. 426-447. 

  19. Loomis, J. and Ekstrand, E. (1998) Alternative approaches for incorporating respondent uncertainty when estimating willingness to pay: the case of the Mexican spotted owl, Journal of Ecological Economics, Vol. 27, pp. 29-41. 

  20. Lyons, G. and Urry, J. (2005) Travel time use in the information ag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 39, pp. 257-276. 

  21. Molin, E.J.E. and Timmermans, H.J.P. (2006) Traveler Expectations and Willingness-to-Pay for Web-Enabled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Servic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14, pp. 57-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