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olitary pulmonary nodules (SPN) are encountered incidentally in 0.2% of patients who undergo chest X-ray or chest CT. Although SPN has malignant potential, it cannot be treated surgically by biopsy in all patients. The first stage is to determine if patients with SPN require periodic o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베이지안 분석이 인공 지능 망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고립성 폐결절의 악성 확률을 예측하는 데 더 좋은 것으로 평가된 보고는 있으나14, 베이지안 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중 악성 확률을 예측하는데 어떤 분석이 더 좋은 것으로 평가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고립성 폐결절 환자에 있어서 베이지안 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악성도 예측을 비교하여, 어느 쪽이 더 악성 확률을 예측하는 데 정확한 방법인가를 조사,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립성 폐 결절을 3 cm 이하로 정의하는 이유는? 고립성 폐결절(solitary pulmonary nodule)은 폐 안에 둘러싸인 직경 3 cm 미만의 둥근 병변으로, 임파 종대나 무기폐 등의 다른 이상은 없는 경우로 정의한다1. 고립성 폐 결절을 3 cm 이하로 정의하는 이유는 3 cm 이상일 경우 대부분 악성 결절이기 때문에2, 진단 및 치료 과정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고립성 폐결절이 중요한 것은 악성종양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고립성 폐결절이란? 고립성 폐결절(solitary pulmonary nodule)은 폐 안에 둘러싸인 직경 3 cm 미만의 둥근 병변으로, 임파 종대나 무기폐 등의 다른 이상은 없는 경우로 정의한다1. 고립성 폐 결절을 3 cm 이하로 정의하는 이유는 3 cm 이상일 경우 대부분 악성 결절이기 때문에2, 진단 및 치료 과정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고립성 폐결절을 발견하였을 때 악성 확률을 사전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따라서 고립성 폐결절을 발견하였을 때 악성 확률을 사전검사(pretest probability of malignancy, pCa)를 하도록 최근 권고하고 있다9. 결절의 악성 확률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베이지안(Bayesian) 분석10 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LRA)11, 인공 지능 망(artificial neural networks)12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다. 베이지안 분석은 방사선 판독의에 의한 일반 판독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고립성 폐결절의 악성 확률을 판단할 때 더 정확도가 높았다는 보고와 10 정확도에 차이가 없다는 국내 보고도 있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uddenham WJ. Glossary of terms for thoracic radiology: recommendations of the nomenclature committee of the fleischner society. AJR Am J Roentgenol 1984;143:509-17 

  2. Swensen SJ, Morin RL, Schueler BA, Brown LR, Cortese DA, Pairolero PC, et al. Solitary pulmonary nodule: CT evaluation of enhancement with iodinated contrast material--a preliminary report. Radiology 1992;182:343-7 

  3. Leef JL 3rd, Klein JS. The solitary pulmonary nodule. Radiol Clin North Am 2002;40:123-43 

  4. Kim JY, Kim SK, Jang SH, Kim BI, Hong SP, Chang J, et al. Clinical observations of the solitary pulmonary nodules. Tuberc Respir Dis 1989;36:320-7 

  5. Gweon S, Cho YG, Lee WS, Jung TH. Clinical observation on solitary pulmonary nodules. Tuberc Respir Dis 1989;36:63-7 

  6. Shin KC, Chung JH, Lee KH, Kim CH, Park JY, Jung TH, et al. Estimating the likelihood of malignacy in solitary pulmonary nodues by Bayesian approach. Tuberc Respir Dis 1999;47:498-506 

  7. Midthun DE, Swensen SJ, Jett JR. Approach to the solitary pulmonary nodule. Mayo Clin Proc 1993;68:378-85 

  8. Mountain CF. Revision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for Staging Lung Cancer. Chest 1997;111:1710-7 

  9. Gould MK, Fletcher J, Iannettoni MD, Lynch WR, Midthun DE, Naidich DP, et al.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Evaluation of patients with pulmonary nodules: when is it lung cancer? ACC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nd edition). Chest 2007;132;108S-130S 

  10. Gurney JW. Determining the likelihood of malignancy in solitary pulmonary nodules with Bayesian analysis. Part I. Theory. Radiology 1993;186:405-13 

  11. Swensen SJ, Silverstein MD, Ilstrup DM, Schleck CD, Edell ES. The probability of malignancy in solitary pulmonary nodules. Application to small radiologically indeterminate nodules. Arch Intern Med 1997;157:849-55 

  12. Nakamura K, Yoshida H, Engelmann R, MacMahon H, Katsuragawa S, Ishida T, et al. Computerized analysis of the likelihood of malignancy in solitary pulmonary nodules with use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Radiology 2000;214:823-30 

  13. Oh YW, Park SY, Kang EY, Park JS, Lee KY, Kim HI, et al. Estimation of the probability of malignancy in solitary pulmonary nodules: comparative study of conventional interpretation method and Bayesian analysis. J Korean Radiol Soc 1998;38:67-74 

  14. Gurney JW, Swensen SJ. Solitary pulmonary nodules: determining the likelihood of malignancy with neural network analysis. Radiology 1995;196:823-9 

  15. Swensen SJ, Silverstein MD, Edell ES, Trastek VF, Aughenbaugh GL, Ilstrup DM, et al. Solitary pulmonary nodules: clinical prediction model versus physicians. Mayo Clin Proc 1999;74:319-29 

  16. Liptay MJ. Solitary pulmonary nodule: treatment options. Chest 1999;116:517S-518S 

  17. Good CA, Wilson TW. The solitary circumscribed pulmonary nodule; study of seven hundred five cases encountered roentgenologically in a period of three and one-half years. J Am Med Assoc 1958;166:210-5 

  18. Yankelevitz DF, Henschke CI. Does 2-year stability imply that pulmonary nodules are benign? AJR Am J Roentgenol 1997;168:325-8 

  19. Berlin L. Failure to diagnose lung cancer: anatomy of a malpractice trial. AJR Am J Roentgenol 2003;180:37-45 

  20. Yankelevitz DF, Henschke CI. Small solitary pulmonary nodules. Radiol Clin North Am 2000;38:471-8 

  21. Henschke CI, McCauley DI, Yankelevitz DF, Naidich DP, McGuinness G, Miettinen OS, et al. Early lung cancer action project: overall design and findings from baseline screening. Lancet 1999;354:99-105 

  22. Winer-Muram HT, Jennings SG, Tarver RD, Aisen AM, Tann M, Conces DJ, et al. Volumetric growth rate of stage I lung cancer prior to treatment: serial CT scanning. Radiology 2002;223:798-805 

  23. Swensen SJ, Viggiano RW, Midthun DE, Muller NL, Sherrick A, Yamashita K, et al. Lung nodule enhancement at CT: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000;214:73-80 

  24. Keagy BA, Starek PJ, Murray GF, Battaglini JW, Lores ME, Wilcox BR. Major pulmonary resection for suspected but unconfirmed malignancy. Ann Thorac Surg 1984;38:314-6 

  25. Gould MK, Lillington GA. Strategy and cost in investigating solitary pulmonary nodules. Thorax 1998;53 Suppl 2:S32-7 

  26. Melin JA, Piret LJ, Vanbutsele RJ, Rousseau MF, Cosyns J, Brasseur LA, et al. Diagnostic value of exercise electrocardiography and thallium myocardial scintigraphy in patients without previous myocardial infarction: a Bayesian approach. Circulation 1981;63:1019-24 

  27. Goldsmith SJ, Kostakoglu L. Nuclear medicine imaging of lung cancer. Radiol Clin North Am 2000;38:511-24 

  28. Schultz EM, Sanders GD, Trotter PR, Patz EF Jr, Silvestri GA, Owens DK, et al. Validation of two models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malignancy in patients with solitary pulmonary nodules. Thorax 2008;63:335-41 

  29. Takashima S, Sone S, Li F, Maruyama Y, Hasegawa M, Matsushita T, et al. Small solitary pulmonary nodules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