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에서 분리한 세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 YK-9의 식중독 원인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특성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poisoning Causing Bacteria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YK-9 Isolated from Kimchi 원문보기

KSBB Journal, v.24 no.3, 2009년, pp.273 - 278  

송유진 (순천향대학교 생명공학과) ,  박수호 (순천향대학교 생명공학과) ,  유지영 (순천향대학교 생명공학과) ,  조윤석 (순천향대학교 생명공학과) ,  오계헌 (순천향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YK-9의 다양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형태학적 관찰 및 생리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균주를 동정하였고, 그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로 확인되었고, L. plantarum YK-9으로 명명하였으며, 이 균주는 GenBank에 [FJ669130]로 등재하였다. 배양 시간에 따른 L. plantarum YK-9의 생장과 pH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대사산물로서 유기산 (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생성은 HPLC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유기산의 생성은 L. plantarum YK-9의 생장에 따라 증가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기 pH 7.0은 배양 기간동안 3.6으로 감소하였고, 배양 72시간이 지난 후 생성된 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농도는 각각 588.7 mM과 255.5 mM이었다. 식중독 원인균인 S. aureus, B. cereus, L. monocytogenes, E. coli, E. faecalis, S. enteritidis에 대하여 20배로 농축된 YK-9 배양 상등액에 처리하여 항균력을 조사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6가지 식중독 원인세균 모두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는 것이 관찰되었고, 이는 유기산 생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YK-9 isolated from fermented Kimchi.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 plantarum YK-9 were examined.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RNA sequencing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tr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YK-9의 다양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형태학적 관찰 및 생리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형태학적 관찰 및 생리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균주를 동정하였고, 그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Oldfield, E. C. (2001), Emerging foodbome pathogens: keeping your patients and your families safe. Rev. Gstroenterol. Disorders. 1, 177-186 

  2. Jung, H. J., and S. H. Park, H. A. Seo, Y. J. Kim, J. I. Cho, S. S. Park, D. S. Song, and K. S. Kim (2005), Differentiation of four major gram-negative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l genera by using ERIC-PCR genomic fingerprinting. Kor. J. Food Sci. Technol. 37, 1005-1011 

  3. Ahn, S. C., T. K. Kim, H. J. Lee, Y. J. Oh, J. S. Lee, D. O. Kang, W. K. Oh, T. I. Mheen, and J. S. Ahn (2001), Fermentation patterns of leek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Kor. J. Microbiol. 37, 234-238 

  4. Lee, C. W., C. Y. Ko, and D. M. Ha (1992),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5. Aly, S., A. T. Cheik, H. N. Imael, and S. Alfred (2004), Antibacterial activ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isolated from burkina faso fermentated milk. J. Nutri. 3, 174-179 

  6. Baek, Y. J. and H. S. Bae (1988), Growth inhibition of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A_2$ and Escherichia coli $G_7$ by the organic acid producing bacteria.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6, 111-118 

  7. Cho, J. S., S. J. Jung, Y. M. Kim, and U. H. Chun (1994), Detection of the bacteriocin from lactic acid bacteria involved in Kimchi ferment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700-706 

  8. Johansson, M. L., G. Molin, B. Jeppsson, S. Nobaek, S. Ahrne, and S. Bengmark (1993), Administration of different Lactobacillus strains in fermented oatmeal soup: in vivo colonization of human intestinal mucosa and effect on the indigenous flora. Appl. Environ. Microbiol. 59, 15-20 

  9. Bae, S. S. and C. Ahn (1997), Antibiosis and bacteriocin produ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Food Sci. Nutr. 2, 109-120 

  10. Vrese, M., P. Winkler, P. Rautenberg, T. Harder, C. Noah, C. Laue, S. Ott, J. Hampe, S. Schreiber, K. Heller, J. Schrezenmeir (2006), Probiotics bacteria reduced duration and severity but not the incidence of common cold episodes in a doub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Vaccine 24, 6670-6674 

  11. Chon, H. S., B. R. Choi, G. J. Jeong, and I. P. Mo (2008), Evaluation system for an experimental study of 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 (H9N2) infection in specific pathogen free chickens using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plantarum KFCCI1389P. Avian Pathol. 37, 593-597 

  12. Jang, S. Y. and Y. J. Jeong (2005), Effect of chitosanliquid calcium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34, 715-720 

  13. Ahn, D. K., T. W. Han, H. Y. Shin, I. N. Jin, and S. Y. Ghim (2003),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191-196 

  14. Krueger, W. B. and B. J. Kolodziej (1986), Laboratory Procedures for General Microbiology, p59, Kendall / Hunt Publishing Company 

  15. Cho, Y. S., N. S. Schiller, and K. H. Oh (2007), Cellular responses and proteomic analysis of Escherichia coli exposed to green tea polyphenols. Curr. Microbiol. 53, 501-506 

  16. Chun, J. W., C. W. Ma, and K. H. Oh (2005),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p. JK-8 isolated from shrimp aquaculture pond. Kor. J. Microbiol. 41, 18-23 

  17. Schillinger, U. and F. K. Lucke (1989),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sake isolated from meat. Appl. Environ. Microbiol. 55, 1901-1906 

  18. Sameshima, T., C. Magome, K. Takeshita, K. Arihara, M. Itoh, and Y. Kondo (1998), Effect of intestinal Lactobacillus starter cultures on the behaviour of Staphylococcus aureus in fermented sausage. J. Food Microbiol. 41, 1-7 

  19. Shen, Y., Y. Liu, Y. Zhang, J. Cripe, W. Conway, J. Meng, G. Hall, and A. A. Bhanwat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s from ready-to-eat foods in Florida. Appl. Environ. Microbiol. 72, 5073-5076 

  20. Teuber, M. (1999), Spread of antibiotic resistance with food-bome pathogens. Cell. Molecul. Life Sci. 56, 755-763 

  21. Andersson, A., U. Ronner, P. E. Granum (1995), What problems does the food industry have with the sporeforming pathogens Bacillus ce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Int. J. Food. Microbiol. 28, 145-155 

  22. Wilson, A. R., D. Sigee, and H. A. S. Epton (2005),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SKl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is due to lactic acid production. J. Appl. Microbiol. 99, 1516-1522 

  23. Ma, C. W., Y. S. Cho, and K. H. Oh (2009), Removal of pathogenic bacteria and nitrogens by Lactobacillus spp. JK-8 and JK-11. Aquaculture 287, 266-270 

  24. Herich, R. and M. Levkut (2002),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s and immune system. Vet. Med. 47, 169-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