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대면적 금연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Public Health Center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Program us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4, 2009년, pp.469 - 479  

김윤희 (부산시 건강증진과) ,  김정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김명수 (울산과학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public health center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program us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on the process of change, smoking temptation, decisional balance and stage change transi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일회성 상담이거나 인터넷이나 전화상담을 병행한 경우가 많았고, 금연 클리닉 중심의 지속적인 상담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금연준비단계에 있는 대상자의 특성에 맞춘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금연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여 향후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금연클리닉 운영에 있어 질적인 측면의 보완책을 마련하고자 범이론적 모형을 기반으로 금연상담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유사실험연구이다. 현재까지 금연현상을 이해하는 이론인 범이론적 모형이 흡연자들을 위한 하나의 중재방안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금연상담프로그램이 금연성공률뿐 아니라 범이론적 모형속의 변인들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보건소 금연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성인 흡연자에게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극적안도는 문제 행위의 결과에 대한 감정을 경험하고 느끼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폐암으로 사망하는 사람의 인터뷰 동영상을 보도록 하고 감상을 말하도록 하였다. 환경재평가는 건강 문제를 주위환경과 연결하여 재조명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과 간접흡연의 폐해를 담은 동영상을 보고 소감을 적도록 하였다. 사회적 해방은 개인이 흡연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사회적 노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로 하여금 명예금연홍보단 활동을 하도록 안내하였다.

가설 설정

  •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보건소 금연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보건소 금연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금연변화 단계 이행률이 높을 것이다.
  •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보건소 금연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보건소 금연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변화과정 점수가 높을 것이다.
  • 2.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보건소 금연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보건소 금연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흡연손실평가 점수가 높을 것이다.
  •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보건소 금연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보건소 금연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흡연유혹 점수가 낮을 것이다.
  • 1.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보건소 금연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보건소 금연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보다 흡연이득평가 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보건소 금연상담프로그램은 무엇인가? 기존의 보건소 금연상담프로그램은 보건소 금연클리닉에서 보건복지가족부의 금연사업안내에 따라 금연차트, 비디오, 소책자 등을 활용하여 1회 15-30분, 최소 3회 상담과 교육을 제공하고 3회 이후에는 이메일이나 전화 등을 통해 관리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보건소 금연상담 프로그램은 Prochaska, Velicer, DiClement와 Fava (1988)이 제시한 10개의 변화과정을 중재안의 기본구조로 하고 Nam (2001)의 금연, 절주교육가이드를 참고하여 개발한 내용을 1회 30-40분씩, 주 1회 7주간 총 7회에 걸쳐 대면하여 금연상담을 제공한 프로그램을 말한다.
성인남성의 흡연율감소는 무엇이 영향을 미친 결과인가? 8%였던 것에 비해서 23.9% 감소하였는데(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Health, 2007), 이러한 흡연율 감소는 국가적 차원의 금연정책이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Cho & Song, 2007). 이 중 2005년부터 전국 240여 개 보건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금연클리닉은 4주 및 6개월 금연성공률이 영국, 뉴질랜드에 비해 높고, 4주 성공자 1인당 운영비용 또한 영국과 홍콩의 약 40-50% 정도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흡연자에게 금연을 직접 지원하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Song,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O. H., Yeun, E. J., Kwon, S. B., Chung, H. K., & Ryu, E. J. (2005). Predictive factors of aspects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on smoking cessation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285-1294 

  2. Aveyard, P., Lawrence, T., Cheng, K. K., Griffin, C., Croghan, E., & Johnson, C. (2006).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moking cessation for pregnant women to test the effect of a transtheoretical model-based intervention on movement in stage and interaction with baseline stage.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263-278 

  3. Chang, S. O. (2004). The concept development of smoking temp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60-171 

  4. Chang, S. O., Kim, E. J., Kil, S. Y., Seomun, G. A., & Lee, S. J. (2005). Influential variables on intention and action to quit smoking between adolescent smokers and adults smokers-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410-1419 

  5. Cho, K. S., & Song, T. M. (2007). Analysis of key factors in smoking cessation and cost effectiveness at public health centers. Health and Welfare Forum, 121, 65-77 

  6. DiClemente, C. C., & Fava, J. L. (1988). Measuring processes of change:Applications to the cessation of smoking.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520-528 

  7. Fava, J. L., Velicer, W. F., & Prochaska, J. O. (1995). Apply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representative sample of smokers. Addictive Behaviors, 20, 189-203 

  8. Fiore, M. C., Bailey, W. C., & Cohen, S. J. (2000).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Rockville, M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Public Health Service 

  9. Hall, S. M., Humfleet, G. L., Reus, V. I., Munoz, R. F., & Cullen, J. (2004). Extended nortriptyline and psychological treatment for cigarette smoking.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1, 2001-2007 

  10. Kim, M. R. (2005). Recent option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 259-276 

  11. 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Health. (2007, October 2). The report of smoking report. Retrieved December 10, 2008 from http://www.kash.or.kr/user_new/pds_list.asp? 

  12. Lee, H. S. (2004). A study on evaluation of effects of juvenile smoking cessation program applied by transtheoretical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Busan 

  13.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National tobacco control and smoking cessation program guideline. Seoul:Author 

  14. Moore, L., Campbell, R., Whelan, A., Mills, N., Lupton, P., Misselbrook E., et al. (2002). Self help smoking cessation in pregnancy: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325, 1383 

  15. Nam, J. J. (2001). Guide for education of smoking cessation and moderation in drink.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6. O'Connell, K. A., Gerkovich, M, M., & Cook, M, R. (1995). Reversal theory's mastery and sympathy states in smoking cessation. Image-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7, 311-316 

  17. Prochaska, J. O. (1994). Strong and weak principles for progressing from precontemplation to action on the basis of twelve problem behaviors. Health Psychology, 13, 47-51 

  18. Prochaska, J. O., Diclemente, C. C., Velicer, W. F., & Rossi, J. S. (1993). Standardized, individualized,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self-help programs for smoking cessation. Health Psychology, 12, 399-405 

  19. Prochaska, J. O., & Velicer, W. F. (1997).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change.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2, 38-48 

  20. Prochaska, J. O., Velicer, W. F., Diclemente, C. C., & Fava, J. L. (1988). Measuring processes of change: Applications to the cessation of smoking.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520-528 

  21. Prochaska, J. O., Velicer, W. F., Fava, J. L., Rossi, J. S., & Tsoh, Y. T. (2001). Evaluating a population-based recruitment approach and a stage-based expert system intervention for smoking cessation. Addictive Behaviors, 26, 583-602 

  22. Prochaka, J. O., Velicer, W. F., Redding, C., Rossi, J. S., Goldsein, M., DePue, J., et al. (2005). Stage-based expert systems to guide a population of primary care patients to quit smoking, eat healthier, prevent skin cancer, and receive regular mammograms. Preventive Medicine, 41, 406-416 

  23. Rovina, N., Nikoloutsou, I., Dima, E., Michailidou, M., Roussos, C., & Gratziou, C. (2007). Smoking cessation treatment in a real-life setting: The Greek experience. Therapeutic Advances in Respiratory Disease, 1, 93-104 

  24. Song, T. M. (2007). Smoking cessation clinics at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Forum, 129, 50-65 

  25. Song, Y. H., & Lee, K. S. (2006). Effects of a tailored smoking cessation program in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3(2), 11-27 

  26. Velicer, W. F., Diclemente, C. C., Prochaska, J. O., & Brandenberg, N. (1985). A decisional balance measure for assessing and predicting smoking statu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1279-1289 

  27. Velicer, W. F., Prochaska, J. O., Rossi, J. S., & Snow, M. G. (1992). Assessing outcome in smoking cessation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111, 23-41 

  28. Velicer, W. F., Rossi, J. S., Prochaska, J. O., & Diclemente, C. C. (1996). A criterion measurement model for health behavior change. Addictive Behaviors, 21, 555-5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