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천 구운리 일대에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황반암-섬록암 복합체의 성인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Geochemical Studies of Petrogenesis of Hornblende Gabbro-Lamprophyre-Diorite Complex in Guwoonri, Hwacheon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8 no.2 = no.56, 2009년, pp.153 - 169  

김관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박영록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천군 구운리 일대에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황반암-섬록암 복합체는 암체의 중앙부에 각섬석 반려암체가 넓게 분포하고 소규모로 산출되는 섬록암이 가장자리를 따라 분포하며, 이들 두 암상의 경계부를 따라 맥상으로 관입한 황반암이 존재하는 누대분포 양상을 하고 있다. 복합암체의 중앙부에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체 또한 휘석의 가상조직을 가지며 아구형의 각섬석 반정을 주요 유색광물로 가지는 각섬석 반려암(Sag)이 주상형의 각섬석을 주요 유색광물로 갖는 각섬석 반려암(Pag)을 둘러싸는 누대분포 양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누대분포양상은 두 가지 서로 다른 지질학적인 작용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섬록암, 황반암 및 각섬석 반려암 사이에서 관찰되는 누대분포 양상은 동일 근원암으로부터 정도를 달리하는 부분용융에 의해 생성된 서로 다른 마그마의 관입에 의해 생성된 반면에, 복합암체의 중앙부에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체내에서 관찰되는 Sag와 Pag 사이에서 관찰되는 누대분포 양상은 동일한 마그마로부터 암체 내부를 향해 일어난 분별정출 작용의 결과로 형성되었다. 각섬석반려암, 황반암 및 섬록암에서 관찰되는 광물 조성 및 지화학적인 특징은 이들 암석들이 판 경계부에서 다량의 물을 포함한 휘발성 유체가 유입된 부화된 맨틀물질의 부분용융에 의해 생성된 것임을 지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rnblende gabbro-lamprophyre-diorite Complex in Guwoonri, Hwacheon distributes in a zonal pattern, where the diorite distributed along the margin of the Complex encompasses the hornblende gabbro body in the central part of the Complex, and lamprophyre intruded in vein along the boundary between d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고철질 암석이면서도 각섬석을 주요 유색광물로 가지는 각섬석 반려암과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제대로 연구 보고된 바가 없는 황반암의 성인 및 이 암석들이 생성된 조구조환경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구운리 일대에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황반암-섬록암 복합암체에서 특징적으로 관찰 되는 누대분포 양상을 보고하고 이러한 누대분포 양상이 어떠한 지질학적인 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는지를 야외 산출 양상과 지화학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 , 2005). 이 연구에서는 고철질 암석이면서도 각섬석을 주요 유색광물로 가지는 각섬석 반려암과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제대로 연구 보고된 바가 없는 황반암의 성인 및 이 암석들이 생성된 조구조환경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구운리 일대에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황반암-섬록암 복합암체에서 특징적으로 관찰 되는 누대분포 양상을 보고하고 이러한 누대분포 양상이 어떠한 지질학적인 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는지를 야외 산출 양상과 지화학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 황반암의 성인: 각섬석 반려암-황반암-섬록암 복합체를 구성하는 황반암은 연대 측정 자료가 없어서 이 암석이 생성된 정확한 시기를 알 수 없지만 섬록암과 각섬석 반려암의 경계부를 따라 맥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섬록암과 각섬석 반려암이 생성되고 난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황반암이 섬록암 및 각섬석 반려암과 성인적으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 암석들에 대한 지화학적인 특성을 고찰해보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황반암은 스파이더 다이아그램(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마암 복합체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1). 편마암 복합체는 흑운모 편암, 호상편마암, 각섬암 및 함 석류석 화강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관입한 중생대 관입암류는 각섬석 반려암-섬록암 복합체, 함 석류석 복운모 화강암 및 반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라기 각섬석 반려암황반암-섬록암 복합체는 어떤 양상을 하고 있는가? 화천군 구운리에 분포하는 주라기 각섬석 반려암황반암-섬록암 복합체는 암체의 중앙부에 넓게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을 소규모의 섬록암이 둘러싸고 있으며 이들 두 암상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황반암이맥상으로 관입한 누대분포 양상을 한다. 암체의 중앙부에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체 또한 휘석의 가상조직을 가지며 아구(subsphere)의 형태를 갖는 각섬석 반정을 주요 유색광물로 가지는 각섬석 반려암(Sag) 이 주상의 각섬석을 주요 유색광물로 갖는 각섬석 반려암(Pag)를 둘러싸는 누대분포를 하고 있다.
주라기 중성-고철질 화성암 복합체의 특징은 무엇인가? 경기 육괴 북부에 위치하는 화천 구운리 일대에는 아주 특징적인 누대분포 양상을 보이는 주라기 중성-고철질 화성암 복합체가 분포한다. 이 복합체는 광물 조성은 주로 각섬석/흑운모와 사장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섬록암의 특징을 가지는 반면에, 화학조성은 50 wt.% 내외의 낮은 SiO2 함량을 가짐으로서 반려암의 특징을 보여주는 각섬석 반려암과 황반암과 더불어 소규모로 산출되는 섬록암으로 이루어져있다. 고철질 암석이면서도 감람석과 휘석과 같은 무수광물을 주요 유색광물로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각섬석과 흑운모와 같은 함수광물을 갖는 것은 이들 암석들을 형성한 마그마가 일반적으로 산출되는 무수의 현무암질 마그마와는 다른 조성을 갖는 마그마로 부터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관영, 2007, 춘천시 오탄리와 화천군 구운리 일대에 분포하는 고철질-중성 관입암체의 성인에 대한 암석학적· 지화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5p 

  2. 김관영, 박영록, 2006, 암체 내부를 향한 분별정출작용: 화천군 구운리 일대에 분포하는 고철질-중성 심성암체의 성인에 대한 의미, 2006년도 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61p 

  3. 김관영, 박영록, 2009, 화천 구운리와 춘천 오탄리 일대에 분포하는 각섬석 반려암체내에 존재하는 각섬석류의 산출양상 및 생성작용, 2009년도 한국광물학회ㆍ한국암석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154p 

  4. 박기화, 이병주, 조등룡, 김정빈, 1997, 한국지질도(1:50,000), 화천도폭 및 설명서. 33p 

  5. 박영석, 김정빈, 박기화, Jiangfeng Chen, 김 진, 1999, 오탄리 지역에 분포하는 중성-염기성 심성암류에 대한 암석화학적 연구. 지구과학회지, 20, 544-555 

  6. Bea, F., Fershtater, G.B. and Montero, M.P., 1997, Generation and evolution of subduction-related batholiths of the central Urals: constraints on the P-T history of the Uralian Orogen. Tectonophysics, 276, 103-116 

  7. Boynton, W.V., 1984, Geochemistry of the rare earth elements: meteorite studies. In: Henderson P. (ed), Rare earth element geochemistry. Elsevier, 63-114 

  8. Davidson, J.P., 1987, Crustal contamination versus subduction zone enrichment: example from the Lesser Antilles and implications for mantle source composition of Island arc volcanic rocks. Geochim. Cosmochim. Acta., 51, 2185-2198 

  9. Elliot, T., Plank, T. and Zindler, A., 1997, Element transport from slab to volcanic front at the Mariana Arc. J. Geophys. Res., 102, 14991-15019 

  10. Fershtater, G.B., Bea, F., Montero, P. and Scarrow, J., 2004, Hornblende gabbro in the Urals: Types, Geochemistry, and Petrogenesis, Geochemistry international, 42, 610-629 

  11. Floyd P.A., Yaliniz M.K. and Goncuoglu M.C., 1998, Geochemistry and petrogenesis of intrusive and extrusive ophiolitic plagiogranites, Central Anatolian Crystalline Complex, Turkey. Lithos, 42, 225-241 

  12. Grove, T.L., Parman, S.W. and Bowring, S.A., 2000, The role of an $H_2O$ -rich fluid in the generation of primitive basaltic andesites from the Mt. Shasta Region, N. California. Cont. Mineral. Petrol., 142, 375-396 

  13. Jackson, T.A., Lewis, J.F., Scot, P.W. and Manning, P.A.S., 1998, The Petrology of Lamprophyre Dykes in the Above Rocks Granitoid, Jamaica: Evidence of rifting above a subduction zone during the early Tertiary. Caribbean Journal of Science, 34, 1-11 

  14. Jahns, R.H. and Burnham, C.W., 1969, Experimental studies of pegmatite genesis: Part 1, A model for the derivation and crystallization of granite pegmatites. Economic Geol., 64, 843-864 

  15. Kepezhinskas, P., McDermott, F. and Defant, M.J., 1997, Trace element and Sr-Nd-Pb isotope constraints on a three component model of Kamchatka arc petrogenesis. Geochim. Cosmochim. Acta, 61, 577-600 

  16. Kim, C.B., Park, Y.S., Chang, H.W. and Turek, A., 1999, Geochronology, Petrology and Tectnics of Triassic-Jurassic plutonic rocks of the Ryeongnam and Gyeonggi Massifs, Korea. ICOG-9(The Ni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chronology, Cosmochronology and Isotope Geology), 65p 

  17. Kocak, K., Isil, F., Arslan, M. and Zedef, V., 2005, Petrological and source region characteristics of ophiolitic hornblende gabbros from the Aksaray and Kayseri regions, central Anatolian crystalline complex, Turkey. J. Asian Earth Sci., 25, 883-891 

  18. Lofgren, G.E., 1980, Experimental studies on the dynamic crystallization of silicate melts. In Hargraves, R.B.(eds), Physics of Magmatic Processes. Princeton Univ. Press, Princeton, N.J., 487-565 

  19. Nakamura N., 1974, Determination of REE, Ba, Fe, Mg, and K in carbonaceous and ordinary chondrites. Geochim. Cosmochim. Acta, 38, 757-775 

  20. Nockolds, S.R., 1954, Average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Bull. Geol. Soc. Am., 65, 1007-1032 

  21. Pawley, A.R. and Holloway, J.R., 1993, Water source for subduction zone volcanism: New experimental constraints. Science, 260, 664-667 

  22. Pearce J.A., 1982, Trace element characteristics of lavas from destructive plate boundaries. In: Thorpe R.S. (ed.), Andesites. Wiley, Chichester, 525-548 

  23. Pearce J.A., 1983, Role of the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t active continental margins. In: Hawkesworth C.J. And Norry M.J. (eds.),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s. Shiva, Nantwich, 230-249 

  24. Pearce, J.A. and Gale, G.H., 1977, Identification of ore-deposition environment from trace element analyses. Earth Planet. Sci. Lett., 12, 339-349 

  25. Rock, N.M.S., 1977, The nature and origin of lamprophyres: Some definitions, distinctions, and derivations. Earth-Science Reviews, 13, 123-169 

  26. Rock, N.M.S., 1983, Nature and origin of calc-alkaline lamprophyre; minettes, vogesites, kersantites and sperssartite.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Earth Sciences, 74, Part 4, 193-227 

  27. Rock, N.M.S., 1987, The nature and origin of lampro phyres: an overview. In alkaline igneous rocks, Fitton, J.G. and Upton, B.G.J.(eds), Geol Soc. Sp. Publ., 30, 191-226 

  28. Rock, N.M.S., 1991, Lamprophyres. Blackie, Glasgow, UK. 285p 

  29. Rock, N.M.S., Gaskarth, J.W. and Rundle, C.C., 1986, Late Caledonian dyke-swarms in southern Scotland: A regional zone of primitive K-rich lamprophyres and associated vents. Journal of Geology, 94, 505-522 

  30. Sun S.S. and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 of oceanic basalts: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es. In: Saunders A.D. and Norry M.J.(eds.), Magmatism in ocean basins. Geol. Soc. London. Spec. Pub, 42, 313-345 

  31. Swanson, S.E., 1977, Relation of nucleation and crystalgrowth rate to the development of granitic textures. American Mineralogist, 62, 966-978 

  32. Thorpe, R.S., Gaskarth, J.W. and Henney, P.J., 1993, Composite Ordovician lamprophyre(spessartite) intrusions around the Midlands Microcraton in central Britian. Geol. Magazine, 130, 657-66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