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유자 과피 발효물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변화 및 항산화 활성
Flavonoid Component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Citrus grandis Osbeck Pee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0, 2009년, pp.1310 - 1316  

현재석 (제주산업정보대학 식품영양과) ,  강성명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한상원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강민철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오명철 (제주산업정보대학 관광호텔조리과) ,  오창경 (제주산업정보대학 관광호텔조리과) ,  김동우 ((주)네추럴 F&P 중앙연구소) ,  전유진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김수현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당유자 과피를 식품미생물인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발효 전과 후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성분 변화와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LC/MS를 통한 플라보노이드 분석 결과, 발효 후 추출물에서 neohesperidin과 naringin의 함량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hesperidin과 일부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감소하였으며, 특히 3',4',5',5,7-pentamethoxyflavone은 발효 후에 그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에 반하여 친수성 unknown 화합물들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LC/MS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효모를 통한 발효과정 중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른 형태로 전환되었으며, 이렇게 전환되어진 성분들을 함유한 FCGP는 CGP보다 DPPH, hydroxyl, alkyl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 등과 같은 항산화 활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효모를 이용하여 당유자 과피를 발효시킴으로써 생리활성 성분의 일부를 전환시킴으로써 항산화 활성 등과 같은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향후 당유자 과피의 발효에 의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s by fermentation of Citrus grandis Osbeck peel (CGP) using the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35053), comparing to unfermented CGP. Total flavonoid content in the fermented Citrus grandis Osbeck peel (FCGP) was 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위 연구에서는 당 성분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알코올 발효 균주로 사용되고 있는 식품미생물인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KCCM 35053)를 통하여 이전 연구에서 보고되어진 대로(12,19) 소화가 용이하도록 발효시킴과 동시에 당유자 과피에 함유하고 있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새로운 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생리활성 변화와 성분 변화를 보았으며, 기능성식품 및 건강보조식품 등의 식품용 신소재 개발 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 지질과산화물과 그것의 분해산물 중에는 생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있으며 대식세포 기능의 억제, 단백합성 억제, thrombin 과다생산 등과 같은 유해 작용들이 보고되어 왔다. 이에 따라 지질과산화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alkyl radical의 소거활성을 통해 그 생리활성물질로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생활환경과 영양상태의 개선 및 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개인의 평균 수명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으로 노화를 포함한 각종 성인병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는 활성산소가 주목 받고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superoxide anion, hydroxyl radical 및 hydrogen peroxide와 같은 활성 산소종이 세포와 조직의 비가역적 손상 초래, 단백질 변성, 지질과 산화, DNA 산화 및 기능의 변형을 초래하여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1-3). 따라서 생체 내 항산화 방어시스템을 증가시키거나 ROS(reactive oxygen species)를 조절할 수 있는 합성 또는 천연항산화제 개발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에 대한 탐색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4).
당유자는 분류학상 어디에 속하는 과수인가? 제주도 재래 감귤류의 당유자(Citrus grandis Osbeck)는 제주에서 왕귤 또는 뎅유지라고 불리는 제주 재래 감귤로서, 분류학상 운향과, 감귤아과에 속하는 과수이며 인체에 기능성을 가지는 성분으로 limone, obacunone, nomiline, naringin, neohesperidin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최근 유자 및 당유자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개발 및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15-18)
감귤을 가공용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이 자연에 방치됨으로써 발생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남해안의 제주도에서는 전체 과실 생산량의 30%에 해당하는 연간 70만톤 이상의 감귤이 생산되고 있으며 감귤 생산량 중 80~85%는 생식용으로 사용되고 있고, 나머지 15~20%는 가공용으로 소비되고 있다(6). 가공용으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막대한 양의 부산물은 자연에 방치됨으로써 부산물에 함유된 페놀화합물들은 자연환경의 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에 버려지는 페놀화합물의 한 종류인 플라보노이드는 심장 순환기계 질환 및 항암, 항산화, 항염증에 대한 개선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7-10), 이에 따른 감귤류 과피 분말 및 과피 추출물은 기능성식품으로 개발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uoma OI. 1998. Free radical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JAOCS 75: 199-212. 

  2.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D, Mazur M, Tesl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3. Kim HJ, Jin CB, Lee YS. 2007.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 isolated from Inonotus obliquus. Kor J Pharmacogn 38: 1-16. 

  4. Valko M, Rhodes CJ, Moncol J, Izakovic M, Mazur M. 2006. Free radicals, metals and antioxidants in oxidative stressinduced cancer. Chem Biol Interact 160: 1-40. 

  5. Masaki H, Skai S, Atsumi T, Sakurai H. 1995. Active 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6. Lee HY, Seog HM, Nam YJ, Chung DH. 198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mandarin (Citrus reticula) orange juice. Kor J Food Sci Technol 19: 338-345. 

  7. Bok SH, Lee SH, Park YB, Bae KH, Jeong TS, Choi MS. 1999. Plasma and hepatic cholesterol and hepatic activities of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and acyl CoA:cholesterol transferase are lower in rats fed citrus peel extract or a mixture of citrus bioflavonoids. J Nitr 29: 1182-1185. 

  8. Chen YT, Zheng RL, Jia ZJ, Ju Y. 1990. Flavonoids as superoxide scavenger and antioxidants. Free Red Biol Med 9: 19-21. 

  9. Cook NC, Samman S. 1996. Flavonoids-chemistry, metabolism, cardioprotective effects and dietary sources. J Nutr Biochem 7: 66-76. 

  10. Damon P, Flandre O, Michel F, Perdrix L, Lavrid C, Crastes de Paulet A. 1987. Effect of chronic treatment with a purified flavonoid fraction on inflammatory granuloma in the rat. Arzneimittelforschung 37: 1149-1153. 

  11. Yoshio S Bacterial. 1963. paramedicidal and spermatocidal actions of some flavonoids. Gifu Ika Daigaku Kiyo 10: 123-130. 

  12. Ahn SC, Kim MS, Lee SY, Kang JH, Kim BH, Oh WK, Kim BY, Ahn JS. 2005. Increase of bioactive flavonoid aglycone extracable from Korean citrus peel by carbohydrate- hydrolysing enzyme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3: 288-294. 

  13. Puri M, Banerjee UC. 2000. Produ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debittering enzyme naringinase. Biotechnol Adv 18: 207-217. 

  14. Day AJ, DuPont MS, Ridley S, Rhodes M, Rhodes MJ, Morgan MR, Williamson G. 1998. Deglycosylation of flavonoid ad isoflavonid glycosides by human small intestine and liver beta-glucosidase activity. FEBS Lett 436: 71-75. 

  15. Kim YJ, Moon JY, Kim JH, Kim HG, Kim JH, Cho SK. 2007. Effects of mixing method and storage period of Dangyuja-sugar mixture on customer preferences for Dangyuja-tea. Kor J Food Preserv 14: 160-164. 

  16. Lee HJ, Kang GJ, Yoon WJ, Kang HK, Kim YS, Kim SM, Yoo ES. 2006. Anti-inflammatory effect of unripe fruit of Citrus grandis Osbeck in RAW264.7 and HaCat cells. Kor J Pharmacogn 37: 74-80. 

  17. Lim HK, Yoo ES, Moon JY, Jeon YJ, Cho SK.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fruits produced in Jeju island. Food Sci Biotechnol 15: 312-316. 

  18. Lim HK, Moon JY, Kim HN, Cho MJ, Cho SK. 2009. Induction of apoptosis in U937 human leukemia cells by the hexane fraction of an extract of immature Citrus grandis Osbeck fruits. Food Chem 114: 1245-1250. 

  19. Moon SW, Kang SH, Jin YJ, Park JG, Lee YD, Lee YK, Park DB, Kim SJ. 2004. Physiological activity/nutrition: fermentation of Citrus unshiu Marc.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products. Kor J Food Sci Technol 36: 669-676. 

  20. Zhuang XP, Lu YY, Yang GS. 1992.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 in ginkgo. Chinese Herbe Med 23: 122-124. 

  21. Nanjo F, Goto K, Seto R, Suzuki H, Sakai M, Hara Y. 1996. Scavenging effects of tea catechins and their derivatives on 1,1-diphnyl-2-picrylhydrazyl radical. Free Radic Biol Med 21: 885-902. 

  22. Rosen GM, Rauckman EJ. 1980. Spin trapping of the primary radical involved in the activation of the carcinogen N-hydroxy-2-acetylaminofluorene by cumene hydroperoxide hematin. Mol Phamacol 17: 233-238. 

  23. Hiramoto K, Johkoh H, Sako H, Kikugawa K. 1993. DNA breaking activity of the carbon-centered radical generated from 2,2-azobis(2-amidinopropane) hydrochloride (AAPH). Free Radic Res Commun 19: 323-332. 

  24. Muller HE. 1995.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ed by microorganism on ABTS peroxidase medium. Zentralbl Bakteriol Mikrobiol Hyg 259: 151-158. 

  25. Yusof S, Ghazali HM, King GS. 1990. Naringin content in local citrus fruits. Food Chem 37: 113-121. 

  26. Hermann K. 1989. Occurrence and content of hydroxycinnamic and hydroxyl-benzoic acid compounds in foods. Crit Rev Food Sci Nutr 28: 315-347. 

  27. Xu XM, Jun JY, Jeong IH. 2007.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hot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51-1357. 

  28. Kim YD, Mahinda S, Koh KS, Jeon YJ, Kim SH. 2009.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of Jeju native citrus peel during matu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462-469. 

  29. Chance S, Sies H, Boveris A. 1979. Hydroperoxide metabolism in mammalian organs. Physiol Rev 59: 527-6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