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특성이 다른 나물콩 4종을 재료로 콩나물을 재배한 후 SDE 법으로 콩나물의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총 52개의 향기 성분이 분석되었으며, 품종별로 $46{\sim}50$ 개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2. 향기성분은 알콜류 16종, 알데하이드류 17종, 케톤류 10종, furan 류 2종, acid류 2종 및 기타 5종이 분석되었으며, 오리알태는 알데하이드류, 다원콩은 알콜류의 성분 수가 타 품종보다 적게 나타났다. 3. 품종별 향기성분의 상대적 함량은 오리알태가 가장 높았으나 동정된 성분의 갯수는 풍산나물콩과 녹채콩이 많았다. 4. 다원콩은 알콜류와 알데하이드류가 비슷한 함량 조성을 보였으나 기타 품종들은 알데하이드류가 알콜류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5. 4 품종 모두 2-hydroxybenzaldehyde, hexanol, 1-octen-3-ol 등이 상대적으로 함량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nstituents in foods is important in creating flavor compounds to improve the flavor of fo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lavor compounds in soybean sprouts cultivated with 4 different types of soybean seeds. A total of 52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통 식품인 콩나물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우량 나물콩 품종 육성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특성이 다른 나물콩을 재료로 재배된 콩나물의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 비린내 관여 효소는 무엇인가? 콩 관련 식품에 관해서도 몇몇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MacLeod & Ames(1988)는 콩 및 콩 가공식품에서의 향기 조성에는 지방족 탄화수소류, 알콜류, 알데히드류, 케톤류, 터펜류, 벤젠류, 피라진류 등이 관여한다고 하였으며, Kim et al.(2000)은 콩 비린내 관여 효소인 lipoxygenase가 결핍된 콩과 그 가공품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콩의 전지분에서 8개 성분 및 탈지분에서 14개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콩나물에서도 17개 성분을 분석하였다. Jeong et al.
콩 및 콩 가공식품에서의 향기 조성에 관여하는 성분은 무엇인가? 콩 관련 식품에 관해서도 몇몇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MacLeod & Ames(1988)는 콩 및 콩 가공식품에서의 향기 조성에는 지방족 탄화수소류, 알콜류, 알데히드류, 케톤류, 터펜류, 벤젠류, 피라진류 등이 관여한다고 하였으며, Kim et al.(2000)은 콩 비린내 관여 효소인 lipoxygenase가 결핍된 콩과 그 가공품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콩의 전지분에서 8개 성분 및 탈지분에서 14개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콩나물에서도 17개 성분을 분석하였다.
식품의 향기 성분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식품의 향기는 색, 맛, 조직감 등과 함께 품질의 중요한 특성이 되며, 천연식품의 경우 그 식품 특유의 향기를 가지고 있다. Hayase & Kato(1989)는 향기 성분은 식품의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등이 가열처리에 의하여 서로 상호작용함으로써 발생한다고 하였으며, 가열 조건에 따라 같은 식품이라도 서로 다른 향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였다. Schultz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rai, S., M. Noguchi, M. Kaje, H. Kato, and M. Fujimaki. 1970. n-Hexanal and some volatile alcohols their distribution in raw soybean tissues and formation in crude soy protein concentrate by lipoxygenase. Agri. Biol. Chem. 34(9) : 1420-1423 

  2. Chang, S. S., F. M. Vallese, L. S. Hwang, O. A. L. Hsieh, and B. S. Min. 1977. Apparatus for the isolation of trace volatile constituents from foods. J. Agric. Food Chem. 25(3) : 450-455 

  3. Davies, N. W. 1990. Gas chromatographic retention indices of monoterpenes and sesquiterpenes on methyl silicone and Carbowax 20M phases. J. Chromatogr. 503 : 1-24 

  4. Hayase, F. and H. Kato. 1989. Chemical analysis of the com pounds produced by amino-carbonyl reaction in foods and biological systems. J. Oil Chem. 38 : 865-869 

  5. Hildebrand, D. F., F. R. Hamilton, J. H. Loughrin, K. Ali, and R. A. Andersen. 1990. Lipoxygenase 3 reduces hexanal production from soybean homogenates. J. Agric. Food Chem. 38 : 1934-1936 

  6. Jeong, E. J., W. J. Cho, and Y. J. Cha. 2008.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Omandungi-doenjang soups and stew by cooking. J. Life Sci. 18 : 1570-1577 

  7. Kim, J. K. 2001. Flavors of processed food on heating. Food industry & nutrition. 6(2) : 20-26 

  8. Kim, S. H., Y. B. Lee, and I .K. Hwang. 2000. Studies on volatile compounds in lipoxygenase deficient-soybean and its products. Korean J. Food & Nutr. 13(2) : 118-124 

  9. Kim,Y. H., S. D. Kim, E. H. Hong, and S. H. Kim. 1994.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soybean genotypes lacking lipoxygenase. Korean J. Crop Sci. 39(2) : 171-174 

  10. Komthong, P., S. Hayakawa, T. Katoh, N. Igura, and M. Shimoda. 2006. Determination of potent odorants in apple by headspace gas dilution analysis. Lebensmitt-Wissensch Technol. 39 : 472-478 

  11. MacLeod, G and J. Ames. 1988. Soy flavor and its improvement. CRC Crit. Rev. Food Sci. Nutr. 27 : 218-400 

  12. Matoba, T., H. Hidaka, H. Narita, K. Kitamura, N. Kaizuma, and M. Kito. 1985. Lipoxygenase-2 isozyme is responsible for generation of n-hexanal in soybean homogenate. J. Agric. Food Chem. 33 : 852-855 

  13. Quach, M. L., X. D. Chen, and R. J. Stevenson. 1999. Headspace sampling of wheyprotein concentrate solutions using solid-phase micro-extraction.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1 : 371-379 

  14. Robert, P.A. 1995. Identification of essential oil component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Allured Publishing Corporation. IL. USA 

  15. Sadtler Research Laboratories. 1986. The Sadtler standard gas chromatography retention index library. Sadtler, Philadelphia, PA, USA 

  16. Schultz, T. H., R. A. Flath, T. R. Mon, S. B. Eggling, and R. Teranishi. 1977. Isola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a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25(3) : 446-449 

  17. Stehagen E, S. Abbrahansom, and F.W. Mclafferty. 1974. The Wiley/NBS Registry of Mass Spectral Data. John Wiley and Sons. NY.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