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Critical thinking involves identifying problem(s), assessing resources, and generating possible solutions and allows clinical nurses to decide which solution is the most reasonable under the given circumstanc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hat ifs" and how they will affect the end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간호교육에서는 가치 있는 지식이며, 임상에서 간호사가 활용하는 바람직한 사고특성이고, 역동적이며 과정적인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결과와 같이 집단간 비교, 변수간 관련적 서술만으로는 지식생성을 자극하는 이론화가 어려운 영역이므로, 비판적 사고의 흐름에 대한 해석을 반영하는 임상현장의 간호사의 임상적 판단의 결과 도출로부터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에 대한 구조의 근원을 추적하는 가설 생성적 접근(Kim, 2008)인 Q방법론이 본 연구주제 탐구에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고, 이 접근을 통해 임상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에 대한 추후탐구 가능성의 향도적 기반이 마련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해 임상적 판단의 주요 요인인 임상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의 주관적 판단의 가치와 구조인 참조 틀을 발견하는 데 목적을 둔다.
  • 본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Q-모집단을 형성하는 과정과 Q-분류과정, 및 자료수집과정에서의 자료의 특징과 종합하여 임상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에 대한 정의적 특성, 그리고 Q요인 간 공통된 요인을 탐색함으로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의 본질적 정의, 그리고 Q 요인 간 특징을 통해서 임상간호사 비판적 사고구성의 지표가 되는 참고적 틀(Frame of Reference)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하여 임상간호경험을 통해 형성된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에 대한 주관적 판단의 가치와 구조를 발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의 주관성을 파악하고 요인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의 임상간호현장에서 간호사가 활용하는 비판적 사고의 참조 틀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Q-방법론을 통하여 이들의 비판적 사고를 탐구하고자한다. 이는 간호교육에서는 가치 있는 지식이며, 임상에서 간호사가 활용하는 바람직한 사고특성이고, 역동적이며 과정적인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결과와 같이 집단간 비교, 변수간 관련적 서술만으로는 지식생성을 자극하는 이론화가 어려운 영역이므로, 비판적 사고의 흐름에 대한 해석을 반영하는 임상현장의 간호사의 임상적 판단의 결과 도출로부터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에 대한 구조의 근원을 추적하는 가설 생성적 접근(Kim, 2008)인 Q방법론이 본 연구주제 탐구에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고, 이 접근을 통해 임상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에 대한 추후탐구 가능성의 향도적 기반이 마련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외에서 간호에서의 비판적 사고를 연구하는 경향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간호계는 그동안 임상적 의사결정, 간호과정, 임상적 문제해결, 그리고 비판적 사고 용어를 같은 현상에 놓고 지칭하는 면에서 서로 혼용하여왔다(Johnson & Weber, 2005). 비판적 사고를 하는 간호사는 관례적인 절차에 따라 간호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이고 효율적인 간호제공을 위해 각각의 상황에서 정확한 간호지식에 근거해서 정보를 새롭게 구성하고 이용하며(Shin, 2003) 이는 근거기반 간호실무(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의 필수능력이고 간호교육의 핵심적 속성(Ahn, 2004)이라면, 비판적 사고의 특성 및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과정을 실제적 관점에서 탐구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고 시급한 간호계의 과제가 된다. 문헌에서 비판적 사고의 특성 중 강조되는 점은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는 일방적 선형적 사고가 아닌 다양한 양상으로 사고하게 하는 과정이며, 비판적 사고 기술의 향상을 위해서는 사고하는 사람의 참조 틀을 확인해야(Ellis, 1997)하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간호계에서 관심을 갖는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기술의 향상을 위해서는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의 참조 틀의 확인이 필요하다.
간호에서의 비판적 사고란? 간호에서의 비판적 사고는 바람직한 임상적 판단 도출을 위하여 추측하기보다는 사실, 증거에 기초한 판단을 할 의향을 가진 목적적이고 목표적인 사고라고 정의되며(Kim & Hong, 2001), Johnson과 Weber (2005)는 비판적 사고를 상황에서 실재적이고 잠재적인 중요성을 갖는 영향 변수, 영향 가정, 실제적이고 잠재적인 관계의 속성과 존재를 확인하는 일련의 사색적이고 조직되고 지적인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어, 비판적 사고는 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최선의 목표를 세우고 임상적 판단을 할 의향으로 전략과 근거를 찾는 지적인 사고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1990년 미국의 간호연맹인정평가위원회에서 비판적 사고를 간호교육의 효과기준으로 포함하면서 미국간호연맹과 미국간호대학협의회에서 인가된 모든 간호교육프로그램에서 비판적 사고를 필수적인 간호교육성과로 제시할 정도로 간호교육에서 강조되었으나 초기부터 비판적 사고관련 문헌은 너무나 이론적이었으므로 교수가 실제적인 수준에서 비판적 사고를 교육하기에 제한이 있었다(Dexter, et al.
Johnson과 Weber (2005)는 비판적 사고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간호에서의 비판적 사고는 바람직한 임상적 판단 도출을 위하여 추측하기보다는 사실, 증거에 기초한 판단을 할 의향을 가진 목적적이고 목표적인 사고라고 정의되며(Kim & Hong, 2001), Johnson과 Weber (2005)는 비판적 사고를 상황에서 실재적이고 잠재적인 중요성을 갖는 영향 변수, 영향 가정, 실제적이고 잠재적인 관계의 속성과 존재를 확인하는 일련의 사색적이고 조직되고 지적인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어, 비판적 사고는 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최선의 목표를 세우고 임상적 판단을 할 의향으로 전략과 근거를 찾는 지적인 사고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1990년 미국의 간호연맹인정평가위원회에서 비판적 사고를 간호교육의 효과기준으로 포함하면서 미국간호연맹과 미국간호대학협의회에서 인가된 모든 간호교육프로그램에서 비판적 사고를 필수적인 간호교육성과로 제시할 정도로 간호교육에서 강조되었으나 초기부터 비판적 사고관련 문헌은 너무나 이론적이었으므로 교수가 실제적인 수준에서 비판적 사고를 교육하기에 제한이 있었다(Dext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Y. H. (2004). Critical Thinking and the standards of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for Health Professions, 1(1), 99-106. 

  2. Alfaro-LeFeevre, R. (2005). Applying nursing process: A tool for critical thinking (6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 Brikczynski, K A. (2006). Benner's philosophy and nursing practice, In M. Alligood & A. Marriner-Tomey (Eds.), Nursing theory: Utilization & Application (3rd ed.). St. Louis, MO: Mosby. 

  4. Carper, B. (1978). Fundamental patterns of knowing in nursing,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1), 13-23. 

  5. Dexter, P., Applegate, M., Backer, J., Claytor, K., Keffer, J., Norton, B., et al. (1997). A proposed framework for teaching and evaluating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3(3), 160-167. 

  6. Edwards, S. L. (2007). Critical thinking: A two-phase framework, Nurse Education in Practice, 7(5), 303-314. 

  7. Ellis, M. F. (1997). Low cardiac output following cardiac surgery: Critical thinking steps,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16(1), 48-55. 

  8. Johnson, B. M., & Webber, P. B. (2005).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asoning in nursing,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9. Kim, H. K. (2008). Q-Methodology: Philosophy of science, theory, analysis, and applications, Seoul: Communication Books Co. 

  10. Kim, K. J., & Hong, M. R. (2001). Nursing and critical thinking: Practical approach, Seoul: Hyunmoonsah. 

  11. Lim, E. J.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ritical thinking skill in clinic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2. Park, J. A. (2008)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general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lsan University. 

  13. Riddell, T. (2007). Critical assumptions: Thinking critically about critical think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6(3), 121-126. 

  14.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 (2007). Spark of Genius, Seoul: Eco's Library Publisher. 

  15. Shin, K. R., Kim, A. K., Park, I. S., Sung, M. S., Lee, Y. H., Choe, M. O., et al. (2004). Nursing education principles, Seoul: Hyunmoonsah. 

  16. Shin, K. R. (1996). A study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associate and baccalaurate degre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1), 43-52. 

  17. Simpson, E., & Courtney, M. (2002).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8(2), 89-98. 

  18. Su, W. M. (2007). Writing context-dependent item sets that reflect critical thinking learning outcomes, Nurse Educator. 32(1), 11-15. 

  19. Watson, J. (1988). Nursing: Human science and human carea theory of nursing, NY: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 Whiteside, C. (1997). A model for teaching critical thinking in the clinical setting,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16(3). 152-162. 

  21. Worrell, J. A., & Profetto-McGrath, J. (2007). Critical thinking as an outcome of context-based learning among post RN students: A literatur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27(5), 420-426. 

  22. Yang, S. A., & Jung, D. Y. (2004).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bout student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6(1), 156-1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