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 관영건축공사의 회(灰)미장재와 공법에 관한 연구 - 영건의궤(營建儀軌)의 유회(油灰), 수회(水灰), 양상도회(樑上塗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terials and Technique of Lime Plaster Work in Government Construction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17~19c) - Focused on the Lime Plaster Materials in 'Yeonggeon-Uigwe'(Construction Reports) -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8 no.4, 2009년, pp.63 - 79  

이권영 (동명대 건축대학 실내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1970's, UNESCO and ICOMOS have adopted or emphasized on the principles of historic preservation. One of them is what to require a repair have not to be repaired beyond the limits of the features and techniques to have been born in those days of establishment. On the premise, this paper i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전통건축물의 주를 이룬 구조는 무엇인가? 조선시대 전통건축물은 목재 가구식 구조가 주류였지만, 석재나 벽돌을 주 재료로 하는 성곽이나 교량도 있었고, 목재 가구식 구조의 경우에도 초석이나 기단 등의 하부구조물, 지붕 같은 최상부 구조물, 담장이나 화계, 굴뚝 등과 같은 부대시설물에는 석재를 비롯한 기와, 벽돌, 방전 등이 사용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의궤 기록 가운데 가장 빠른것은 무엇인가? 다른 기록을 통해 유회의 사용을 살펴보면, 현재 남아 있는 의궤 기록 가운데 가장 빠른 것이 17세기 초 『[의인왕후]산릉도감의궤 (1601)』에서다.7) 또 의궤 외의 기록으로 유회에 관한 내용이 조선 초기 『세종실록 권 134』의 「五禮/凶禮儀式/治葬」조와 성종 6년(1475)에 간행된 『國朝五禮儀考異』에서 나타난다.
조선시대 굴뚝 등과 같은 부대시설물 제작시 부재간의 접합은 어떻게 하였는가? 그럴 경우 이들 석재, 기와, 벽돌 각각의 부재간 접합에는 미장재료가 사용되게 될 터인데, 접합하고자 하는 부재의 재질이나 구성 부위도 다르기에 사용된 미장재료와 공법도 달라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규장각 및 장서각 소장도서 各陵修改謄錄 健元陵丁字閣重修都監儀軌 慶德宮修理所儀軌 景慕宮改建都監儀軌 慶運宮重建都監儀軌 國朝五禮儀考異 南別殿重建廳儀軌 南殿增建都監儀軌 [端懿嬪]魂宮都監儀軌 大報檀謄錄 萬機要覽 [明聖王后]殯殿都監儀軌 穆陵改修都監儀軌 文禧廟營建廳謄錄 [思悼世子]殯宮魂宮都監儀軌 垂恩廟營建廳儀軌 [順懷世子]上諡封園都監儀軌 承政院日記 永寧殿修改都監儀軌 永禧殿營建都監儀軌 懿昭廟營建廳儀軌 [懿仁王后]山陵都監儀軌 仁政殿營建都監儀軌 仁政殿重修都監儀軌 [仁顯王后]魂殿都監儀軌 日省錄 [莊祖]顯隆園園所都監儀軌 [正祖]健陵山陵都監儀軌 儲承殿儀軌 朝鮮王朝實錄 宗廟改修都監儀軌 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 中和殿營建都監儀軌 昌慶宮修理都監儀軌 昌慶宮營建都監儀軌 昌德宮萬壽殿修理都監儀軌 昌德宮修理都監儀軌 昌德宮營建都監儀軌 昌德宮昌慶宮修理都監儀軌 度支準折(가람고본) [顯宗]殯殿都監儀軌 

  2. 건축공학대사전편찬위원회 편, 건축공학대사전II, 집문사, 1992 

  3.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집부, 조선기술발전사4, 리조전기편,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6 

  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 

  5. 기술표준원 국가표준종합정보센터 (http://www.standard.go.kr/) 

  6. 김란기, 근대문화재 수복의 가치관과 기술,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 제12권 3호 통권35호, 2003년 9월, 자료 

  7. ${\copyright}$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8.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수리표준품셈 및 실무요약, 1998 

  9. 명지대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문화재청, 2005 

  10. 이권영, 조선 후기 관영건축의 미장공사 재료와 기법에 관한 연구-영건의궤의 사벽과 앙벽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3호, 2008. 3 

  11. 이혜원.정정남, 영건의궤에 나타난 양상도회의 의미와 기법, 한국건축역사학회 2006춘계학술발표대회자료집, 2006 

  12. 장기인, 신편 한국건축대계4, 한국건축사전, 보성각, 1996 

  13. 장순용, 조선시대 의궤의 유회에 관한 고찰, 건축역사연구(한국건축역사학회지), 제10권 2호 통권26호, 2001년 6월, 자료 

  14.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편, 한국고전용어사전5, 사단법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2 

  15. 한국역사정보시스템 (http://www.koreanhistory.or.kr) 

  16. 한국학중앙연구원(http://yoksa.aks.ac.kr)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